• 제목/요약/키워드: Moderated Mediation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8초

고객접점직원의 고객무례경험이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효과: 감정소진과 정서조절역량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rontline Employees' Experienced Customer Incivility on Service Performance)

  • 김민성;허원무;김병수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8호
    • /
    • pp.107-118
    • /
    • 2019
  • Purpose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rvice employees' experienced customer incivility through their emotional exhaustion. We identified service employee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s a boundary condition (i.e., moderating variable) that decreas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employees' experienced customer incivility and their emotional exhaustion. Furthermore, we also investig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employees' experienced customer incivility and their service performance via emotional exhaus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rawing on AET (affective event theory) and COR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we developed three research hypotheses (i.e.,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Online panel survey data from 552 frontline employees at several service organizations (e.g., department stores, retail stores, hotels, restaurants, airlines, banking, insurance company, and etc) in South Korea were examined. To assess two types of validity (i.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model, we employed the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M-plus 8.2 software. Internal consistency also was tested by Cronbach' α. In addition, we employed the SPSS PROCESS MACRO 2.16, which was recommended by Hayes (2013, 2015), to estimate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Results - As predic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employees' experienced customer incivility and their service performance was mediated by emotional exhaustion. Furthermore, service employee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lso played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employees' experienced customer incivility and emotional exhaustion, such that this relationship was less pronounced when service employees had a high level of their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an when thir emotion regulation ability was low. Service employees' emotion regulation ability further moderated this mediation effect of service employees' experienced customer incivility on service performance through emotional exhaustion. These finding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employees' experienced customer incivility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research and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Conclusions - This study empirically elaborated the previous model of service employees' experienced customer incivility and personal resource (e.g., emotion regulation ability) literature by presenting the findings that service employees' experienced customer incivility influences their service performance via emotional exhaustion and that emotion regulation ability effectively reduces this negative effect.

국민연금의 소유지분비율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과 R&D 투자를 중심으로 (Effect of National Pension Service's Shareholding Ratio on Firm Value: Focusing on Stewardship Code Implementation and R&D Expenditure )

  • 조대현;김영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779-787
    • /
    • 2023
  • 본 연구는 국민연금의 소유지분비율과 투자대상기업의 기업가치 간 관계에서, 투자대상기업이 R&D 투자를 늘리도록 독려하여 기업가치의 제고를 간접적으로 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R&D 투자 정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2018년 7월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에 따라 투자대상회사에 대한 R&D 투자 및 기업가치 향상 압박이 도입 전에 비해 더 커졌을 것으로 판단하여 위 매개효과에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이 미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의 한국 상장회사 자료들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국민연금의 소유지분비율과 기업가치 간 관계에서 R&D 투자의 부분적 매개효과가 존재하고,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은 소유지분비율과 R&D 투자와의 관계, 소유지분비율과 기업가치와의 관계를 모두 강화시켜 조절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는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전후에 따라 소유지분비율과 기업가치 간 관계에서 R&D 투자 정도의 매개효과가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가 안전을 만든다.": 작업 부담이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Trust Makes Safety": The Effect of Workload on Safety Behavior)

  • 고도원;정세윤;김병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1-140
    • /
    • 2016
  • This present study tested whether job str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oad and safety behavior of members in organization. In addition, we hypothesized trust in leader/coworkers functions as moderator between not only the workload-job stress link, but also the job stress-safety behavior link.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841 employees in various fields of companies were sampl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 conducted moderated mediation model analysis which elaborately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our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job stress mediated the link between workload and safety behavior of membe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oad and job stress was moderated by trust in leader/coworkers. Moreover trust in leader/coworkers moderated the job stress-safety behavior linkag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교대근무가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일과 삶의 균형(WLB : Work-Life Balance)의 매개효과 (Effects of Shiftwork on Workers' Safety and Health: The Mediation Effect of WLB)

  • 홍민지;오세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6-73
    • /
    • 2020
  • The change in labor consciousness began to draw social attention to work-life balance (WLB). The WLB is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and safety problems of workers. Although shiftwork adversely affects WLB, safety, and health problems of workers, WLB of shift workers has received little empirical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WLB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work and shift worker's safety and health problem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moderates WLB, and finally, whether WLB moderated by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shift worker's safety and health problems. For the study, the data of the 5th wave of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KWCS) conduct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of South Korea was use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worker's safety and health problems is mediated by WLB; however,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showed no moderation effect on WLB. Therefor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has failed to achie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WLB is needed to gain shift worker's long-term safety and healt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Touch Effect of Mental Simulation in Online Fashion Shopping -The Role of Instrumental and Autotelic Needs for Touch-

  • Lee, Ha Kyung;Choi, Dooyo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376-389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interplay of device types and the need for touch (NFT) on product attitudes and determines how the mental simulation of touch mediates such relationships. Specifically, we test the roles of instrumental and autotelic NFT i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ental simulation of touch. We instructed the potential participants to shop for a leather jacket on a webpage. With a total of 152 data points from the responses of participants who used a laptop and a touch device that uses a direct-touch interface (e.g., tablets), we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and PROCESS procedures using SPSS 20.0. The results show a greater mental simulation for touch when using a touch device than a laptop. When individuals' instrumental NFT is low, using a touch device while shopping online heightens mental simulation of touch, which impacts product attitudes. In particular, such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strengthens as the value of individuals' autotelic NFT increases. However, when individuals' instrumental NFT is high, a touch device cannot drive mental simulation for touch, increasing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Linking Personality, Emotional Labor and Employee Well-being: The Role of Job Autonomy

  • Young-Kook Moon;Kang-Hyun Shin;Jong-Hyun Lee
    • 감성과학
    • /
    • 제25권4호
    • /
    • pp.139-156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ause and consequence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based on the emotional labor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boundary condition of the current research model, the study proposed that job autonomy would moder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employees' well-be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was first tested whether neuroticism and extroversion of employees predicted the focal outcomes (i.e., burnout and work engagement) via distinct emotional labor strategies. Second, the moderation effects of job autonomy were tested for each emotional labor strategy in predicting the focal outcomes. Third,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of job autonomy on the mediation process were exa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urface act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burnout, whereas deep act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version and work engagement.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autonomy, it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burnout and between deep acting and work engagement. In addition, from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of job autonomy were significant.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4차 산업혁명시대의 디지털 고객경험과 구매간 영향관계 - 디지털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tial Factors of Digital Customer Experiences on Purchas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Focusing on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Self Efficacy-)

  • 정상희;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101-115
    • /
    • 2020
  •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고 있는 고객들은 구매 깔때기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풍부한 정보로 무장한 현명한 고객의 등장과 맞물려 제품 선택의 폭과 디지털 채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정보를 탐색하고 구매하는 방식이 혁신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의 고객여정은 전통적인 깔때기 모형이 제시하는것보다 훨씬 복잡하게 되었다. 그래서 직선형이 아닌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는 비선형적인 정교한 접근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패션, 자동차, 화장품, 온라인 쇼핑몰의 4개 상품군 이용고객 1,200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으로 상품군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고객경험 속성을 도출하고 검정하였다. 디지털경험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디지털 자기효능감이 구매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디지털 자기 효능감을 조절된 매개변수로 도입하여 검정한 결과 고객만족도와 고객 충성도 간 디지털 자기효능감은 조절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 되었다. 실무적으로는 디지털 자기효능감이 높은 고객에게 디지털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고다, 그러나 디지털 자기 효능감이 낮은 고객에게는 디지털 마케팅 피로도를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과의존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 김지연;김현하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2호
    • /
    • pp.269-290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와 우울·불안의 관계를 인터넷 과의존이 매개하여 중학생의 우울·불안을 자존감이 조절하는지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스트레스 척도, 인터넷 과의존 척도, 우울·불안 척도, 자존감 척도를 이용하여 2019년 공개된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아동데이터 383명 자료(중학교 1학년 114명, 2학년 138명, 3학년 131명)에 대해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모델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 과의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터넷 과의존이 이를 매개하며,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를 자존감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인터넷에 과의존을 하게 되며, 우울·불안이 증가하여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자존감이 보호요인으로 중요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안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

  • 왕위;김수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23-40
    • /
    • 2023
  • 리더십 유형과 리더가 지닌 역량은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불확실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급속한 변화로 인해 조직 혁신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며 적절한 혁신은 조직의 경쟁우위와 지속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 변혁적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을 이끌어 내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심리적 안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 공공기관에 종사하는 공무원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공무원들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예상과 다르게 심리적 안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정성의 유의하지 않은 조절효과는 선행연구와의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총체적으로 본 연구는 혁신행위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관련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혁신행위에 대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와 목적을 두었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학업 실패 내성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Learned Helplessnes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Resilience)

  • 최현정;이동귀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2호
    • /
    • pp.189-205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학업 실패 내성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충주시 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 337명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부모의 양육 태도 검사, 학습된 무기력 검사, 학업 실패 내성 검사, 그리고 회복탄력성 검사 문항이 포함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학업 실패 내성, 회복탄력성 사이에는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학습된 무기력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학업 실패 내성, 회복탄력성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를 학업 실패 내성이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학업 실패 내성과 학습된 무기력 사이를 회복탄력성이 조절하였다. 넷째, 학업 실패 내성과 학습된 무기력 사이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완화를 위하여 부모의 양육 태도를 점검하여 긍정적으로 전환하고, 학업 실패 내성과 회복탄력성을 제고할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