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de of failure

검색결과 2,213건 처리시간 0.028초

지진하중에 의한 쏘일네일 두부구속효과 (Constrained Effect of Soil Nail Head on the Earthquake Load)

  • 오종근;강홍식;안광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43-50
    • /
    • 2013
  • 본 연구는 진동대 모형실험기를 이용하여 동하중 재하 시 네일 두부 구속방식에 따른 쏘일네일 보강사면의 거동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진동대 모형실험은 네일 두부의 구속과 비구속조건 등을 변화시키면서 장주기 특성을 지닌 Hachinohe 지진파와 단주기 특성을 지닌 Ofunato 지진파를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사면의 파괴유형과 지반 가속도특성, 수직변위 및 수평변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진동대 모형실험을 수행한 결과 단주기파가 장주기파 보다 사면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네일 두부의 구속이 동하중에 대하여 전단저항력이 크게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쏘일 네일 두부를 구속함으로써 지진하중 작용 시 사면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중합 Glass Ionomer Cement와 Amalgam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D STRENGTHS OF LIGHT-CURING GLASS IONOMER CEMENTS TO DENTAL AMALGAM)

  • 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57-364
    • /
    • 1996
  • 소아치과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3 종의 광중합형 GIC의 아말감에 대한 접착능을 평가 할 목적으로 60 개의 아말감 부착시편을 이용하여 중간결합제인 Scotchbond 의 사용여부에 따른 경화된 아말감에 대한 광중합 GIC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경계부의 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아말감에 대한 광중합형 GIC의 전단강도는 Fuji II LC, Vitremer, Vitrebond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중간결합제인 Scotchbond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서 Scotchbond 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결합파절면은 Scotchbond를 사용한 경우의 대부분에서 Scotchbond와 아말감의 경계부에서 시편의 탈락이 나타났다. 아말감과 광중합 GIC의 결합을 시도할 경우에는 Scotchbond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역량스펙트럼 방법을 이용한 피뢰기의 지진취약도 해석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Lightning Arrester using Capacity Spectrum Method)

  • 김광전;송종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255-263
    • /
    • 2014
  • 본 연구에서 피뢰기의 지진취약도 해석은 역량스펙트럼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많은 구조부재를 가진 구조물의 지진취약도 해석은 수십 혹은 수백 개의 지진하중에 대한 비탄성 지진응답을 계산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같은 간단한 방법이 응답이력해석 보다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역량스펙트럼 방법에 의해 평가된 지진응답의 정확성은 응답이력해석에 의한 결과의 정확성 보다 떨어진다. 역량스펙트럼 방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등가단자유도 방법과 성능점 계산기법이 적용되었다. 지진취약도에 대한 지진에 대한 지반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60개의 다른 지반종류의 지반운동을 입력지진으로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응답이력해석에 의한 지진취약도 곡선의 비교로부터 역량스펙트럼 방법에 의한 지진취약도 곡선이 응답이력해석에 의한 지진취약도 곡선과 상당히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뢰기의 주된 지진에 의한 파괴모드는 부싱의 파손임을 알 수 있었다.

금속 보스 압력분포비 설계 변경에 따른 복합재 연소관 파열압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rst Pressure of Composite Motor Case due to the Change of Metal Boss PDR Design)

  • 김남조;정승민;윤경수;정상기;황태경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27
    • /
    • 2019
  • 연소가스에 의한 내압 조건에서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제작되는 복합재 연소관은 돔에서 구조적으로 취약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압력분포비(PDR) 변화에 따른 복합재 돔의 파열압력을 비교하기 위해 유한 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돔 내/외면 응력, 금속 보스 체적을 산출함으로써, 정량적으로 복합재 연소관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PDR 2.5-3.0에서 파손 모드의 임계점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PDR 2.5-3.5 설계는 연소관 파열압력의 변동 없이 금속 보스 무게 감량이 가능하며, 돔 형상 및 오프닝 크기에 대해 설계 기준값이 변경되므로 해석 및 시험을 통한 규명이 필요하다.

Ni/Ni-aluminide//Ti/Ti-aluminide 구조경사형 층상재료의 균열 전파 거동 (Crack propagation behavior of in-situ structural gradient Ni/Ni-aluminide//Ti/Ti-aluminide laminate materials)

  • 정동석;김진곤;조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269-275
    • /
    • 2005
  • Ni/Ni-aluminide//Ti/Ti-aluminide 경사기능 층상 복합재료를 박막 hot press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NiAl과 $TiAl_3$ 금속간화합물 층이 자전고온합성반응을 통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었고, 얇고 연속적인 $Ni_3Al$과 TiAl 층이 고상 확산을 통해 형성되었다. 파괴저항은 하중 방향이 crack arrester인 경우가 금속 층이 균열의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에 crack divider 방향인 경우보다 높다. $Ni_3Al$과 NiAl 금속간화합물 층은 각각 벽개파괴와 입계파괴 거동을 보였고, $TiAl_3$층의 파괴 형태는 입내벽개파괴이었다. Ni/Ni-aluminide 층에서 관찰되는 기공과 금속 층과 금속간화합물 층의 미결합 부위가 낮은 파괴저항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Acoustic emission (AE) 원파형 해석을 통해 제작된 복합재료의 파괴특성을 고찰하였다.

Shear Behavior and Performance of Deep Beams Made with Self-Compacting Concrete

  • Choi, Y.W.;Lee, H.K.;Chu, S.B.;Cheong, S.H.;Jung, W.Y.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6권2호
    • /
    • pp.65-78
    • /
    • 2012
  •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fresh properties of a moderately high-strength (high-flowing) self-compacting concrete (SCC) and to investigate shear behavior and performance of deep beams made with SCC. Fresh and hardened properties of normal concrete (NC) and SCC were evaluated. The workability and compacting ability were observed based on casting time and number of surface cavities, respectively. Four-point loading tests on four deep beams (two made with SCC and two with NC) were th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ir shear behavior and performance. Shear behavior and performance of beams having two different web reinforcements in shear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terms of crack pattern, failure mode, and load-deflection response. It was found from the tests that the SCC specimen having a normal shear reinforcement condition exhibited a slightly higher load carrying capacity than the corresponding NC specimen, while the SCC specimen having congested shear reinforcement condition showed a similar load carrying capacity to the corresponding NC specimen. In addit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present experimental results and theoretical results in accordance with ACI 31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ACI 318-89) and Commentary-ACI 318R-89, 1999), Hsu-Mau's explicit method (Hsu, Cem Concr Compos 20:419-435, 1998; Mau and Hsu, Struct J Am Concr Inst 86:516-523, 1989) and strut-and-tie model suggested by Uribe and Alcocer (2002) based on ACI 318 Appendix A (2008)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aforementioned methods to predict the shear strength of SCC specimens.

High-Velocity Impact Damage Behavior of Carbon/Epoxy Composite Laminates

  • Kim, Young A.;Woo, Kyeongsik;Cho, Hyunjun;Kim, In-Gul;Kim, Jong-H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190-205
    • /
    • 2015
  • In this paper, the impact damage behavior of USN-150B carbon/epoxy composite laminates subjected to high velocity impact was studied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Square composite laminates stacked with $[45/0/-45/90]_{ns}$ quasi-symmetric and $[0/90]_{ns}$ cross-ply stacking sequences and a conical shape projectile with steel core, copper skin and lead filler were considered. First high-velocity impact tests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test conditions. Three tests were repeated under the same impact condition. Projectile velocity before and after penetration were measured by infrared ray sensors and magnetic sensors. High-speed camera shots and C-Scan images were also taken to measure the projectile velocities and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damage shapes of the projectile and the laminate specimens. Next,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explicit finite element code LS-DYNA. Both the projectile and the composite laminate were modeled using three-dimensional solid elements. Residual velocity history of the impact projectile and the failure shape and extents of the laminates were predicted and systematically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the understanding on the penetration process of laminated composites during ballistic impact, as well as the damage amount and modes. These were thought to be utilized to predict the decrease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also to help mitigate impact damage of composite structures.

2차 모우드 섭동법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도 추정 (Damage Estimation of Structures by Second Order Modal Perturbation)

  • 홍규선;윤정방;류정선
    • 전산구조공학
    • /
    • 제5권3호
    • /
    • pp.119-126
    • /
    • 1992
  • 교량, 발전소, 해양구조물과 같은 토목구조물은 사용기간중에 지진, 바람, 파랑하중등에 의해 구조적 손상을 받기 쉽다. 장기간에 걸쳐 구조물에 손상이 누적되면 구조물 전체의 파괴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존하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한 구조물의 손상도를 추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nverse Modal Perturbation기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손상도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erturbation식은 구조물의 강성 및 질량행렬의 변화량과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모우드형상의 변화량의 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구조물의 손상은 강성행렬의 변화량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손상도추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2차-Perturbation식을 구성하고, 이것을 반복적인 절차를 거쳐 해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은 일련의 예제해석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추정된 결과로 부터 본 방법이 구조물의 손상을 적절히 산정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한한 Bandwidth를 갖는 비선형 불규칙 파열에서의 Threshold Crossing Rate, 위상분포와 파군특성 (Threshold Crossing Rate, Phase Distribution and Group Properties of Nonlinear Random Waves of finite Bandwidth)

  • 조용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225-233
    • /
    • 1997
  • 부체의 장주기동요, 연안구조물과 계류선의 파괴 등과 같은 역기능으로 인해 파군현상의 정확한 해석은 시급한 과제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연안계에서 발생하는 파랑과 가장 근접한 비선형불규칙 파랑계를 산정하여 해안구조물의 피로거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파군당 파랑의 수와 해안구조물의 first excursion failure mode를 결정하는 high run에서의 파랑수를 중심으로 파군현상을 해석하였다. 해석과정에 mapping technique과 유의파경사를 perturbation parameter로 섭동이론이 사용되었다. 해석결과 Gaussian wave계에서 균등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위상함수는 평균값 주위에 집중분포하였고, 그 정도는 비선형성이 증가할수록 심화되었다. threshold crossing rate의 경우 비선형성이 심화될수록 평균해수위보다 큰 쪽으로 분포형이 이동하였으며 파군당 파랑수와 high run에서의 파랑수도 비슷한 경향을 보여 최근 설치범위가 심해쪽으로 확대되는 해안구조믈의 경우 피로거동에 대한 보강이 요만된다.

  • PDF

Shear strength of non-prismatic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out stirrups

  • Qissab, Musab Aied;Salman, Mohammed Munqith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7권4호
    • /
    • pp.347-358
    • /
    • 2018
  • The main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hear strength of non-prismatic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under monotonic loading considering different parameters. Experimental program included tests on fifteen non-prismatic reinforced concrete beams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the first and the second groups, different parameter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which are: steel fibers content, shear span to minimum depth ratio ($a/d_{min}$) and tapering angle (${\alpha}$). The third group was designed mainly to optimize the geometry of the non-prismatic concrete beams with the same concrete volume while the steel fiber ratio and the shear span were left constant in this group. The presence of steel fibers in concrete led to an increase in the load-carrying capacity in a range of 10.25%-103%. Also,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was increased due to the addition of steel fibers in a range of 18.17%-993.18% and the failure mode was changed from brittle to ductile. Tapering angle had a clear effect on the shear strength of test specimens. The increase in tapering angle from ($7^{\circ}$) to ($12^{\circ}$) caused an increase in the ultimate shear capacity for the test specimens. The maximum increase in ultimate load was 45.49%. The addition of steel fib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st-cracking behavior of the test specimens. Empirical equation for shear strength prediction at cracking limit state was proposed. The predicted cracking shear strength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