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message typ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모바일 환경에서의 텍스트 표현 방식의 상호작용성과 사용모드가 사용자의 만족도, 유용성,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activity and usage mode on user satisfaction, usefulness, and intetion to use in text information presentation in mobile environment)

  • 백현지;이상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3-226
    • /
    • 2017
  • 최근 사용자들은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상황 속에서 모바일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고 있다. 사용자가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할 때, 탭핑과 같은 제스처 활동과 그 과정 속에서 겪는 경험을 통해 인터랙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터랙션을 통한 활동과 경험은 사용자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추후 사용자의 행동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따라서 모바일 내 정보 표현 방식에서도 상호작용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한다. 이와 관련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특히 텍스트 정보 표현 방식과 관련해서는 주로 기능적 측면만을 살펴 본 연구가 많고,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평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전달 시 사용자 중심의 완성도 높은 정보 표현 방식을 위해 상호작용성과 사용모드가 사용자의 정보습득에 대한 만족도, 유용성,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상호작용성은 Modality와 Message 상호작용성의 여부에 따라 High와 Low로 두 가지 방식으로 구성하고, 사용모드는 과업의 여부에 따라 Action 모드와 Goal 모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실험 디자인은 총 $2{\times}2$로, 4개의 실험조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바일 환경 내에서 인터랙션 차이에 따라 동일한 메시지 내용의 텍스트 정보가 (a) 오직 Modality 인터랙션으로만 제공되고, (b) Modality 인터랙션과 Message 인터랙션이 함께 제공된다. 또한 사용 모드에 따라 (a) Action 모드는 문맥에 관한 구체적인 지시사항 없이 실험이 진행되고, (b) Goal 모드는 참가자에게 특정 과업에 대한 지시가 제시된 채로 실험이 진행된다. 연구 결과, 모바일 내 정보제공 시 인터랙션과 사용모드의 차이에 따라 만족도, 유용성,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핀테크 이용 동기에 따른 이용자 태도와 구전의도의 관계 - 혁신저항과 메시지 유형의 조절효과 - (Effects of FIN-TECH use motivation on User Attitude and Word Of Mouth Intention: Focus on a Innovation Resistance Tendency and Type of Message (Rational, Emotional))

  • 설상철;정성광;최우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5호
    • /
    • pp.195-222
    • /
    • 2017
  • 오늘날의 경제는 모든 영역의 경계가 허물어짐에 따라 서로 다른 산업 간의 융복합화가 활발해지며 이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혁신을 이루어내고 있다. 이러한 기술혁명가운데 모바일과 인터넷의 장점을 결합하여 금융과 IT의 업무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오늘날 새로운 기술을 핀테크라 하며 이러한 핀테크는 금융을 의미하는 파이낸스(Finance)와 기술을 의미하는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합성어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핀테크 이용 동기(유용성, 즐거움)가 이용자 태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전반적인 구조적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혁신저항 성향에 따라 핀테크 이용 동기, 이용자 태도, 구전 의도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메시지 유형(이성적, 감성적)에 따라 핀테크 이용 동기, 이용자 태도, 구전 의도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한편,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핀테크 이용 동기요인의 유용성과 즐거움은 사용자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 태도 또한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핀테크 이용 동기, 이용자 태도, 구전의도간의 관계는 소비자들의 혁신저항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로, 핀테크 이용 동기, 이용자 태도, 구전의도간의 관계는 메시지 유형(이성적, 감성적)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의 요약, 시사점 및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패션제품에 대한 모바일 구전효과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shion Mobile Word-of Mouth -Focus on Facebook-)

  • 정지은;추호정;이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6-201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type, direction of information, method of suggestion, tie strength, and interactions among these variables on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fashion product information in the mobile Facebook environment. Two subsequent studi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mobile SNS WOM factors. Two independent on-line surveys were implemented. Six hundred forty consumers aged between 20 and 39 were recruited for Study 1, and four hundred and eighty for Study 2. We manipulated the WOM delivery situation by information type (factual/evaluative), information directionality (positive/negative), tie-strength (strong/weak),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text/image/rink). Eight scenarios were develop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were implemented using SPSS 18.0. The Analysis of experiment data produced interesting results. Most WOM factors (including the information typ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tie strength) influence WOM acceptance; however, only the tie strength effected WOM activity. It was also proven that people are prone to accept information that is more realistic, objective, and negative, and they tend to accept information with visual factors, such as images and video clips rather than a simple text message. In this study, we offer a practical perspective to fashion industry and marketers who have an interest in SNS marketing. We have defin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obile WOM that have been formed by a combination of former on/off-line WOM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s of two types of consumer innovativeness, fashion innovativeness and technology innovativeness were also measured and found to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mobile SNS WOM factors and their consequences.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n 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Proposed Message Transit Buffer Management Model for Nodes in Vehicular Delay-Tolerant Network

  • Gballou Yao, Theophile;Kimou Kouadio, Prosper;Tiecoura, Yves;Toure Kidjegbo, August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호
    • /
    • pp.153-163
    • /
    • 2023
  • This study is situated in the context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where in-vehicle devices assist drivers to avoid accidents and therefore improve road safety. The vehicles present in a given area form an ad' hoc network of vehicles called vehicular ad' hoc network. In this type of network, the nodes are mobile vehicles and the messages exchanged are messages to warn about obstacles that may hinder the correct driving. Node mobilities make it impossible for inter-node communication to be end-to-end. Recognizing this characteristic has led to delay-tolerant vehicular networks. Embedded devices have small buffers (memory) to hold messages that a node needs to transmit when no other node is within its visibility range for transmission. The performance of a vehicular delay-tolerant network is closely tied to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nodes' transit buff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ssage transit buffer management model for nodes in vehicular delay tolerant networks. This model consists in setting up, on the one hand, a policy of dropping messages from the buffer when the buffer is full and must receive a new message. This drop policy is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mediate node to destination, queues and priority class of service. It is also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message (size, weight, number of hops, number of replications, remaining time-to-live, etc.). On the other hand, the model defines the policy for selecting the message to be transmitted.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with the ONE opportunistic network simulator based on a 4000m x 4000m area of downtown Bouaké in Côte d'Ivoire. The map data were imported using the Open Street Map tool.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our model improves the delivery ratio of security alert messages, reduces their delivery delay and network over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model. This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within a network of vehicle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road safety.

IMAGE ENCRYPTION THROUGH THE BIT PLANE DECOMPOSITION

  • Kim, Tae-Si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11권1호
    • /
    • pp.1-14
    • /
    • 2004
  •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s, the security in image data and other related source are very important as in saving or transferring the commercial documents, medical data, and every private picture. Nonetheless, the conventional encryption algorithms are usually focusing on the word message. These methods are too complicated or complex in the respect of image data because they have much more amounts of information to represent. In this sense, we proposed an efficient secret symmetric stream type encryption algorithm which is based on Boolean matrix oper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image data.

  • PDF

VANET환경에서의 효율적인 그룹서명기반 메시지 인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ssage 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efficient Group signature in VANET)

  • 김수현;이임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39-248
    • /
    • 2012
  • VANET(Vehicular Ad-hoc Network)는 MANET(Mobile Ad-hoc Network)의 한 형태로, 다수의 차량들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간 통신 또는 차량과 RSU(Road Side Unit)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이다. 특히, 운전자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V2V 통신의 경우 차량 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 차량 인증 및 조건부 프라이버시 보호 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증 및 조건부 프라이버시, 부인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그룹 서명 기법을 사용한 보안 기술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빈번한 가입과 탈퇴로 인한 불필요한 통신을 최소화 하고, 그룹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는 차량 개인서명키에 대한 키 위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그룹서명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차량 간 통신 시에 보다 효율적인 메시지 검증을 위해 BloomFilter를 이용한 메시지 일괄 검증 기법을 제안한다.

모바일 캐릭터의 광고기법에 따른 타켓별 유형분류와 소비자 반응 연구 (A Study of consumer's behavior and classifications by advertising techniques of mobile character)

  • 강대인;주효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393-402
    • /
    • 2004
  • 모바일광고는 이동성을 가진 PDA, 웹폰 등 모든 이동성 기기를 통 털어 정보화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과 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며 앞으로 그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기술과 적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편재성, 도달성 ,편리성등의 속성을 지닌 모바일광고에 현재는 위치성, 정보성, 개인화가 더해져 단순한 음성통화의 기능만을 한 초기의 모바일광고의 기능에서 데이터 통신의 기능이 첨가되면서 모바일 인터넷 환경을 더욱 발전시키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음악, 그래픽, 음성, 문자 등을 기반으로 하는 SMS 형식, 그래픽형식, 왑 푸시방식의 SMS 형식, 리치미디어 형식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식 속에 모바일 캐릭터는 2D형식의 픽셀아트 기법과 동영상등의 그래픽 기법으로 뗄레야 뗄 수 없는 상관관계로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뉴미디어 시대의 기업 마케팅에 있어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모바일 광고속의 모바일 캐릭터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모바일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마케팅 도구로서의 모바일 캐릭터의 모형들을 현재까지 개발되어 상용화되어지고 있는 이동통신사들의 타켓별 고객서비스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소비자의 반응을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하여 그에 따른 최적의 모바일 캐릭터의 기법을 제안하려 한다.

  • PDF

모바일 환경에서 XML 전자서명 서비스를 위한 모듈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 of Module for XML Signature Service on Mobile Environment)

  • 황경민;이재승;이성현;조태범;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595-598
    • /
    • 2008
  • 이동 통신기술의 발달로 모바일 환경에서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고, 원활한 모바일 응용서비스 개발을 위해 국내 모바일 폰에 WIPI(Wireless Internet Protocol for Interoperability) 플랫폼이 의무 탑재되고 있다. 이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WIPI가 탑재된 모바일에서 단말에 비종속적으로 상호운용이 가능하다. 현재 모바일 환경에서 전자상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제자의 서명인증 및 서명 부인방지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WIPI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XML 전자서명 모듈을 개발하여 WIPI가 탑재된 모바일에서 상호운용이 가능한 XML 전자서명 서비스를 위한 모듈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An Efficient Software Defined Data Transmission Scheme based on Mobile Edge Computing for the Massive IoT Environment

  • Kim, EunGyeong;Kim, Seokho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2호
    • /
    • pp.974-987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nd efficient data transmission scheme based on mobile edge computing for the massive IoT environments which should support various type of services and devices. Based on an accurate and precise synchronization process, it maximizes data transmission throughput, and consistently maintains a flow's latency. To this end, the proposed efficient software defined data transmission scheme (ESD-DTS) configures and utilizes synchronization zones in accordance with the 4 usage cases, which are end node-to-end node (EN-EN), end node-to-cloud network (EN-CN), end node-to-Internet node (EN-IN), and edge node-to-core node (EdN-CN); and it transmit the data by the required service attributes, which are divided into 3 groups (low-end group, medium-end group, and high-end group). In addition, the ESD-DTS provides a specific data transmission method, which is operated by a buffer threshold value, for the low-end group, and it effectively accommodates massive IT devices. By doing this, the proposed scheme not only supports a high, medium, and low quality of service, but also is complied with various 5G usage scenarios.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and the proposed scheme is that the existing schemes are used to handle each packet only to provide high quality and bandwidth, whereas the proposed scheme introduces synchronization zones for various type of services to manage the efficiency of each service flow. Performance evaluation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the previous schemes in terms of throughput, control message overhead, and latency. Therefore, the proposed ESD-DTS is very suitable for upcoming 5G networks in a variety of massive IoT environments with supporting mobile edge computing (MEC).

Mobile Application을 이용한 UC(Unified Communication) 시스템 개발 (UC(Unified Communication) Systems Development using Mobile Application)

  • 김희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873-879
    • /
    • 2013
  • 본 논문에서 고급 업무형 커뮤니케이션(UC) 기능은 통신활동의 중복, 낭비, 재작업을 줄여 프로세스 개선에 대한 높은 효율을 제공한다. UC 앱 개발을 통해 메시지 전송, FMC 통화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개발과 UC 서버 구축을 위한 조직도 DataBase구축, 검색을 위한 JSP 구현, XMPP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시스템 구축한다. IP-PBX의 IP 네트워크에서 구동되는 UC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에서 인프라의 활용도를 높이고 실제 생활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