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media

검색결과 1,420건 처리시간 0.026초

모바일 와이맥스에서 채널 적응적인 미디어 품질 보장 기법 (Channel-Adaptive Streaming Scheme to Guarantee Media Quality in Mobile WiMAX)

  • 김동칠;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0호
    • /
    • pp.990-994
    • /
    • 2010
  •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는 계층적인 인코딩 기법을 사용하는 비디오 부호화 기술의 본질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여 미디어의 품질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우선순위 기반의 채널 적응적인 스트리밍 기법인 PC-MCA(Priority-based Combining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with ARQ)를 제안하였다 PC-MCA는 미디어 프레임의 우선순위에 따라 스케줄링을 하며, 무선 채널 상태와 미디어 프레임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그리고 ARQ 재전송 시간을 차등적으로 조절한다. 이를 통해 안정된 프레임 복호화를 제공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였다.

선박 내 WiMedia WLP 기반 Mobile IP 네트워크에서 성능향상을 위한 버퍼관리 (Buffer Management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WiMedia WLP-Based Mobile IP Networks of Ship Area)

  • 이승범;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6호
    • /
    • pp.1208-121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선박 내 IT 서비스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WiMedia WLP 기반의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이동 단말이 새로운 서브네트워크의 혼잡한 기지국으로 이동한 경우, 기존의 통신 중인 이동 단말들의 무선링크이용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전 기지국은 핸드오버 동안 저장한 패킷들을 표기하고 혼잡한 새로운 기지국에서 버퍼의 혼잡정도에 따라 버퍼링 된 패킷의 폐기 유무를 결정한다. 다양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서 실시한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제안한 핸드오버를 고려한 버퍼관리 방식은 기지국의 혼잡한 무선링크에서 링크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다.

모바일 분노조절훈련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연구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Mobile Anger Control Training Applications)

  • 유경한;강지안;최지은;조재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621-1633
    • /
    • 2022
  • The present study aims to design an application for anger control training of individuals and test its practical usability with the goal of encouraging preventive training in daily life.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whether users can use the application to carry out the actual anger management training program, whether it is useful and convenient, and whether it produces adequate learning effects. In order to conduct usability evaluation, a usability evaluation scale comprised of six factors-utility, reuse intention, learning, error, and reflectivity-was derived, and survey items tailored to each factor were produced. The association between usability evaluation elements, user demographic parameters, mobile usage behavior, and state anger was also examined.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additional menus and features are necessary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application for anger management. The result also revealed that it is vital to build an intuitive application interface that users unfamiliar with mobile app functionality can easily navigate, as well as to add entertaining components in the content, as users may be somewhat bor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deas of modifying and creating anger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were discussed.

Optimizing Distribution Channels: How Digital Marketing Communication Enhances Trust and Loyalty in Indonesian Banking

  • Muhammad Diast REYHANRAFIF;La MANI;Astika Prima NITULAR;Hendra CRISWANTO;Irmawan RAHYADI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8호
    • /
    • pp.1-1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how Indonesian banks utilize digital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to optimize their distribution channels, leading to enhanced customer trust and brand loyalty. It examined specific methods such as sponsorships, social media, institutional partnerships, and mobile banking application features as key components of this digital distribution strateg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employed mixed methods design to assess digital distribution impacts. It involved 385 Jakarta bank customers. The sample size was determined using the Lemeshow formula.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effective digital distribution strategies, including sponsorships, social media engagement, and user-friendly mobile banking applications, significantly enhance customer trust and loyalty. However, overly complex features may negatively impact loyalty. Conclusion: Thisstudy demonstrates a clear connection between the strategic use of digital marketing channels, such as sponsorships, social media, institutional partnerships, and mobile banking features,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er trust and loyalty. The results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Indonesian banks in designing digital distribution strategies that prioritize building trust and fostering integrated customer interactions. Tailored digital marketing approachesthat optimize distribution can significantly enhance both trust and loyalty among Indonesian bank customers.

압력센서를 사용한 모바일 전자드럼: Beatrum (Pressure sensor-based Mobile Electronic Drum: Beatrum)

  • 김지홍;임원준;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365-368
    • /
    • 2014
  • 본 논문은, 실제 타악기인 드럼을 쉽게 착용 가능하고 이동 가능한 전자악기로 구현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접근성 증가를 목적으로 만든 기기 연구이다. 제안하는 기술은 Arduino를 이용한 기기로써, 크게 스피커와 여러 개의 터치패드부분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이것은 휴대성이 편리하도록 소형화함과 동시에 다루기 쉽도록 신체구조에 맞춘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

  • PDF

Docker 기반의 Secured mobile VoIP를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실증 테스트 (Global Network Verification Test for Docker-based Secured mobile VoIP)

  • 차병래;강은주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4호
    • /
    • pp.47-55
    • /
    • 2015
  • 최근 ICT 분야의 컴퓨팅 패러다임의 변화와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VoIP 기술이 재조명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ecured mobile VoIP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경량 가상화 기술인 Docker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PBX인 오픈소스 Asterisk와 하드웨어 플랫폼,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간의 시스템들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의 지연 테스트와 음성 보안 테스트를 글로벌 실환경에서 실증 테스트를 통해 검증하였다.

네트워크 적응적 QoS를 위한 오토노믹 멀티미디어 트랜스코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nomic Multimedia Transcoding System for Network Adaptive QoS)

  • 서동만;정인범
    • 산업기술연구
    • /
    • 제27권A호
    • /
    • pp.131-139
    • /
    • 2007
  • The recent advance in wireless network technologies has enabled the streaming media service on the mobile devices such as PDAs and cellular phones. Since the wireless network has low bandwidth channels and mobile devices are actually composed of limited hardware specifications, the transcoding technology is needed to adapt streaming media to given mobile devices. Futhermore owing to the diversity of bandwidth in the wireless network by reason of mobile users' movements and environments, it is difficult to provide stable QoS. In this paper, the autonomic multimedia transcoding system is proposed in order for users to provide network adaptive QoS. Our proposed system is based on the estimation of available bandwidth in wireless network for seamless multimedia streaming service.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various mobile clients. In experiments, we evaluate its seamless multimedia streaming and the adaptation transcoding bit rat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bandwidth in wireless network.

  • PDF

기능적·정서적 요인이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친밀감과 피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Functional and Emotional Factors on Use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ward Mobile Messenger Service: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ntimacy and Fatigue)

  • 이애리;박용완;박유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3-63
    • /
    • 2016
  •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모바일 메신저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일상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사용 원인과 결과적 현상을 고찰하고자,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써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가 지닌 독특한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이 모바일 메신저 이용 증가(사용자 몰입과 만족도)에 영향을 줌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동기성 이론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모바일 메신저의 주요한 기능적 특성과 감성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인간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 효과인 친밀감과 부정적 효과인 피로도를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기능적, 정서적 특성 요인이 친밀감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매개변수인 친밀감과 피로도가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모바일 메신저 사용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요인과 친밀감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이 분석됨에 따라, 모바일 메신저 사업자와 사용자들에게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teractive Authoring Tool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 Jeon, Jiyoung;Hong, Min;Yi, Manhui;Chun, Jiyoon;Kim, Ji Sim;Choi, Yoo-Jo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612-630
    • /
    • 2016
  • As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are spreading these days, many users want to produce augmented reality (AR) contents what they need by themselves. To keep pace with such needs, we have developed a mobile AR contents builder (hereafter referred to as MARB) that enables the user to easily connect a natural marker and a virtual object with various interaction events that are used to manipulate the virtual object in a mobile environment so that users can simply produce an AR content using natural photos and virtual objects that they select. MARB consists of five major modules-target manger, virtual object manager, AR accessory manager, AR content manager, and AR viewer. The target manager, virtual object manager and AR accessory manager register and manage natural target markers, various virtual objects and content accessories (such as various decorating images), respectively. The AR content manger defines a connection between a target and a virtual object with enabling various interactions for the desired functions such as translation/rotation/scaling of the virtual object, playing of a music, etc. AR viewer augments various virtual objects (such as 2D images, 3D models and video clips) on the pertinent target. MARB has been developed in a mobile application (app) format in order to create AR contents simply using mobile smart devices without switching to a PC environment for authoring the content.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tail organizations and applications of MARB. It is expected that MARB will enable ordinary users to produce diverse mobile AR contents for various purposes with ease an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mobile AR market based on spread of a variety of AR contents.

스마트폰의 이용형태와 이용환경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 고찰 :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Inquiry on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Using Form and Environment of Smart Phone : Focused on the Viewpoint of Media-ecology Studies)

  • 하성보;강승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89-99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이용형태와 이용환경이 갖는 사회문화적인 함의를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마켓인 T-store의 애플리케이션을 유형화하고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이코노미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인포메이션, 커뮤니케이션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고,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피처폰에 비해 스마트폰을 더욱 개인화된 시공간상에서 이용하면서 집단적으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새로운 일상 문화를 구성하는 제2의 신체이자 복합미디어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집단지성을 구축하고 제3의 틈새공간을 통해 새로운 공론장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