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Phone Addic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초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y on Maritime Safety

  • Davy, James G.;Noh, Chang-Kyun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52
    • /
    • 2012
  • Safety at sea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topic for research.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safety issues are often complex and unclear. Lack of non-technical skills in such areas as communication, teamworking, situational awareness, decision making etc. are well documented as directly affecting safety in high risk work settings such as on board merchant vessels. Competence in non-technical skills can be affected by various habits and circumstances that influence a worker and result in either positive thinking and behaviour or negative thinking and behaviour. Negative thinking can cause stress, anger, frustration; loneliness etc. and this can possibly result in behaviour or actions that undermine the safety of crew and ship. Factors that may contribute to these negative thoughts and behaviours are many and varied and this paper will be looking at one aspect: mobile phone use. In the Republic of Korea, dependency on mobile phones is uniquely high. Maritime students are also susceptible to such dependency and this paper will demonstrate that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mobile phone addiction and dependency, and in particular the symptoms of withdrawal, are important factors that need to be mitigated in order to improve safety at sea. Although the benefits of mobile phones are many it will be suggested that over-reliance, dependency or addiction can result in negative thinking or behaviour that may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 to the factors that cause incidents and accidents at sea. It will be sugges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dealing with this problem is twofold: firstly, through training at the educational level and secondly, by encouraging the shipping industry and government to invest more into providing seafarers with better access to the communication methods that they are used to on shore in order to improve work conditions.

  • PDF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motivation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and gaming groups in the use of youth mobile phones

  • Seo, Gang H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63-1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모바일 폰 이용의 심리적 특성 중 내적요인과 이용 동기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내적요인에서는 자기조절력, 이용 동기에서는 대인관계, 즐거움, 현실회피 성취 욕구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018년 인터넷과 모바일 폰 중독의 장기 추적 자료 중 자기제어 및 이용자 동기대책에 근거한 568건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SPSS 윈도우 23 버전을 사용했고, 수집된 데이터는 피험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이었다, 또한 인체모형 변수를 분석하여 그룹 간 변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독성은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SNS) 집단보다 모바일 폰 게임 집단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이용 동기에서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SNS) 집단이 대인관계 욕구가 높게 나타났고. 현실회피 욕구에서는 모바일 폰 게임집단이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SNS) 집단보다 높은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즐거움 및 성취욕구 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모바일 폰 사용의 컨텐츠에 따라 모바일 폰 과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 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휴대폰 중독적 사용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elf-Control and Addictive Mobile Phone Use by Nursing Students)

  • 김미숙;손수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19-6727
    • /
    • 2014
  •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휴대폰 중독적 사용 정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2년10월 28일부터 2012년 10월 31일까지 B시에 위치한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통제력은 평균 $3.42{\pm}0.45$점, 휴대폰 중독적 사용은 평균 $2.69{\pm}0.45$점이었고, 자기통제력과 휴대폰 중독적 사용 정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447, p<.01). 또한,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자기통제력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은 28%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을 예방하기 위하여 자기 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 김종욱;박상철;전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179-185
    • /
    • 2015
  • 모바일 인터넷 기술의 진보와 함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은 일상생활에서 흔한 일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기존 연구들은 인터넷 중독이나 모바일 폰 중독을 활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SNS 사용맥락에서 중독에 관한 연구는 논의가 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의 인터넷 중독연구의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회화, 즐거움, 고독감과 같은 변수들이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대하였다.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최소자승 추정법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화, 즐거움, 고독감 모두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화 역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Snoezelen Therapy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with Game Addiction

  • Lim, Ji-Yun;Kim, Jong-Hoon;Lee, Seul-Mi;Jang, Woo-Hyuk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3권3호
    • /
    • pp.123-130
    • /
    • 2021
  • Purpose: Despite the existence of Snoezelen method, there is no case of researching the effects on game addi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noezelen therapy on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who overuse computer games or mobile phone games. Methods: Eight students who responded to spend more than 30 hours of computer or mobile phone games in the selection questionnaire were recruited (The total respondents were 224 students).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study group (4 students) or the control group (4 students). Stress (Korean version of Perceived Stress Scale, K-PSS), depression (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Disorders, K-DEP), Anxiety (Korean Beck Anxiety Inventory, K-BAI) and quality of life (Short Form Health Survey version 2 [SF-36]) were assessed three times (before intervention [pre], post-3 weeks [post 1], post-6 weeks [post 2]). Results: First, the study group (-4.75±3.86) and control group (1.00±2.7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analysis of score changes between pre-test and test at 6 weeks (post 2) for K-DEP. Next, pre-test and test at 3 weeks of intervention (post 1) for K-BA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study group (-2.50±1.91) and control group (2.25±2.99). In addition, pre-test and test at 6 weeks (post 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for the study group (-3.00±1.51) and control group (4.75±6.24).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Snoezelen therapy as a therapy method to induce effective responses in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with game addiction.

군장병 휴대전화 사용제도 시행에 따른 개인정보 안정성 확보 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secure personal information stability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mobile phone use system for milityary personnel)

  • 황보원규;신동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49-58
    • /
    • 2022
  • 군장병의 일과 후 병 휴대전화 사용을 전면 허용함에 따라 휴대전화 개통시 통신사에서 개인정보 직접 수집을 최소화 하여 군장병의 개인정보 안정성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다. 국방부는 일과 후 군장병의 휴대전화 사용을 도입하기에 앞서 사이버 불법도박, 게임중독, 음란물 시청 등 일부 역기능에 대한 우려 및 보안사고 예방을 위해 휴대전화 촬영기능을 차단하는 등의 보안통제 체계를 구축해 왔다. 이동통신사는 통신대리점에 휴대전화 개통 등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개인정보 보호조치 실태점검 등 관리감독을 수행하지만 통신대리점에서 위탁업무 목적외로 개인정보의 수집하는 행위가 발견되고 있다. 군장병이 휴대전화를 개통할 경우 개인정보 이동권을 활용하여 개인정보관리 전문기관을 신설하고 개인정보관리 전문기관에 군장병의 개인정보 전송을 요구하는 체계를 제시한다.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차이 (Comparing the Mobile-phone Overuse by Gender and School Levels)

  • 윤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1-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과 학교급별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남녀공학 중 고등학교를 각 1개씩 편의표집하고, 휴대전화 과다사용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으며, 565명의 자료 중 휴대전화 과다사용 수준이 표본 평균보다 높은 253명을 추출하여 일원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다변량분산분석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추가적인 단변량 분석 결과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일상생활장애'와 '내성' 요인에, 학교급에 따른 차이는 '학교생활장애', '일상생활장애', '긍정적기대' 요인에 대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단계적 분석을 적용할 경우 성별 차이는 '일상생활장애'에서, 학교급별 차이는 '긍정적기대'를 제외한 4개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휴대전화 과다사용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성별과 학교급과 같은 사용자의 기본 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신숙;이영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627-634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 간에 스마트폰 중독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회적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다.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 사회적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의 정도가 높다. 즉 스트레스 정도가 지나친 경우에 스마트폰 사용 횟수나 빈도가 많을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중독이나 학교 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여부는 궁극적으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규명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노인의 스마트 폰 게임 중독 경향에 따른 뇌파 비대칭(asymmetry)와 연결성(Coherehnce)의 정량화뇌파(QEEG) 비교 분석 (Comparison of QEEG between EEG asymmetry and Coherehnce with elderly people according to smart_phone game Addiction Tendency)

  • 원희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44-652
    • /
    • 2017
  • 본 논문은 노인의 스마트폰 게임 중독 성향 여부에 따른 뇌파 비교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즉 정량화 뇌파 결과에서 비대칭과 연결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폰 중독이 뇌파와 수면 문제와 우울 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스마트폰 게임 중독 성향이 있는 노인1명과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 1명 총 2명이다. 참여자의 스마트폰 중독 성향은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고 뇌파분석은 정량화 뇌파분석(QEEG)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증상을 보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 노인의 뇌파는 개폐안시 모두 비대칭(asymmetry)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과몰입 증상을 보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노인은 개폐안시 연결성에 있어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뇌파분석 비교를 통해 스마트폰 게임사용이 뇌의 인지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을 실시함으로써 노인성 인지장애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 양상을 탐색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학습활동의 종단적 관계 검증 : 성별 간 다집단 복합 분석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ddictive Use of Mobile Phones and Learning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Multiple and Complex Group Analysis across Gender)

  • 전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267-279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학습활동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1)시간의 경과에 따른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학습활동의 변화와 (2)상기 두 변수 간의 관계 방향성을 검증하고, (3)성별 간 다집단 복합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 1~3차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초4 데이터와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학습활동은 지속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전 시점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이 이후 시점의 학습활동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학습활동은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에 종단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두 변수 간 종단적 관계 검정 결과에 대한 성별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 방지를 위한 지침 마련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