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Node

검색결과 1,309건 처리시간 0.033초

DHCP를 사용한 Mobile IP 프로토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IP Protocol using DHCP)

  • 권영미;이극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87-196
    • /
    • 2002
  • DHCP의 기능을 확장하여 mobile IP의 홈 에이전트 및 외부 에이전트의 기능을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DHCP 노드가 동적 IP 할당의 전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하여 에이전트를 통한 이동 IP 할당보다. 단순한 구조를 유지하게 한다. DHCP는 윈도우즈 NT 계통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여기에 mobile IP의 기능을 별도의 프로세스로 장착하지 않고 DHCP메시지의 옵션 필드들을 이용해 mobile IP의 기능이 DHCP 노드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 PDF

SDN 기반의 Inter PMIPv6 도메인 핸드오버 (SDN based Inter Proxy Mobile IPv6 Domain Handover)

  • ;염상길;김동수;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10-211
    • /
    • 2015
  • Proxy Mobile IPv6 (PMIPv6) is a network based IP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PMIPv6 make sure that the IP address of the mobile node remains the same as long as the mobile node roams with in the PMIPv6 domain. A mobile node roams with in a PMIPv6 domain. PMIPv6 protocol doesn't provide the mobility support once the mobile node moves from one PMIPv6 domain to another PMIPv6 domain. This paper proposes a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based PMIPv6 scheme which provides the mobility support for inter PMIPv6 domain movement of mobile node. In the proposed architecture each PMIPv6 domain has a SDN controller and SDN controllers from different domai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share the mobility information.

GPS-Based Shortest-Path Routing Scheme in Mobile Ad Hoc Network

  • Park, Hae-Woong;Won, Soo-Seob;Kim, So-Jung;Song, Joo-Seok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529-1532
    • /
    • 2004
  • A Mobile Ad Hoc NETwork (MANET) is a collection of wireless mobile nodes that forms a temporary network without the need for any 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 or centralized administration. Therefore, such a network is designed to operate in a highly dynamic environment due to node mobility. In mobile ad hoc network, frequent topological changes cause routing a challenging problem and without the complete view of the network topology, establishing the shortest path from the source node to the destination node is difficult. In this paper, we suggest a routing approach which utilizes location information to setup the shortest possible path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this geographic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node is used by the source node and intermediate nodes receiving route request messages to determine the shortest path to the destination from current node.

  • PDF

Design of Stochastic Movement Model Considering Sensor Node Reli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 Cho, Do-Hyeoun;Yeol, Yun Dai;Hwang, Chi-G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156-162
    • /
    • 2020
  • Wireless Sensor Network (WSN) field is mainly studied to monitor and characterize large-scale physical environments to track various environmental or physic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pressure, wind speed and humidity. WSN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wild surveillance, military target tracking and monitoring, dangerous environmental exploration and natural disaster relief. We design probabilistic mobile models that apply to mobile ad hoc network mobile environments. A probabilistic shift model proposed by dividing the number of moving nodes and the distance of travel into two categories to express node movement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model of movement through simulation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random movement model, ensuring that the width and variation rate of the first node node node node (FND) was stable regardless of the node movement rate. In addition, when the proposed mobile model is applied to the routing protocol, the superiority of network life can be verified from measured FND values. We overca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andom movement model, showing excell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and stable in terms of changes in node movement.

A Grid-based Efficient Routing Protocol for a Mobile Sink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Lee, Taekky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35-43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id-based efficient routing protocol for a mobile sink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n the proposed protocol, the network is partitioned into grids and each grid has a grid head. For the efficient routing to a mobile sink, the proposed protocol uses a mobile sink representative node to send the data to a mobile sink and grid heads are used as a mobile sink representative node. Furthermore, the proposed protocol uses nodes in the boundary of the center grid as position storage nodes. The position storage nodes store the position of a mobile sink representative node and provide source nodes with it for data delivery. With these features, the proposed protocol can reduce a lot of overhead to update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improve the delay of data delivery to a mobile sink. The proposed protocol performs better than other protocols in terms of the delay and the energy consumption per node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무선 이동 망에서 개선된 Mobile IP 지역 위치등록을 이용한 이동 노드의 이동성 관리 (On Managing Mobility of Mobile Nodes using an Improved Mobile IP Regional Registration in Wireless Mobile Networks)

  • 한승진;이정현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1권3호
    • /
    • pp.47-54
    • /
    • 2004
  •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순한 문장 및 음성 전송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이동 망에서 Mobile IPv4 지역 위치등록(Regional Registration)을 개선하여 트래픽의 전송 지연과 메시지 발생양을 기존의 방법에 비해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CN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HA를 경유하지 않고 MN이 위치한 지역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방법에 대해 메시지 발생양과 패킷의 지연시간과의 관계를 보이고, 개선된 MIPv4 지역 위치등록을 이용하여 이를 최소화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위치 등록 비용과 메시지전송 비용에 대해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IPv6 네트웍 환경에서 지수가중적 이동평균 기법을 이용한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Improvement Performance on Using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at IPv6 networks)

  • 오지현;정충교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 /
    • pp.323-326
    • /
    • 2007
  • Mobility Anchor Points are used for the mobility management in HMIPv6 networks. Currently a mobile node selects the MAP farthest away from itself as a new MAP among available candidates when it undertakes a macro handoff. With this technique, however, the traffic tends to be concentrated at a MAP with the largest domain size and the communication cost increases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node and the MAP. In this work, we proposed a cost effective MAP selection scheme. When leaving the current MAP domain. the mobile node calculates the optimum MAP domain size to minimize the local mobility cost at the new MAP domain considering mobile node's velocity and packet transmission rate. The mobile node then selects a MAP domain of size close to the optimum domain size calculated among the candidate MAP domains. In this way, it is possible for the mobile node to select an optimal MAP adaptively taking the network and node states into account, thus reducing the communication cost.

  • PDF

IPv6기반 이동인터넷 환경에서 이동노드의 안전한 시동에 관한 방법 (Secure Bootstrapping Methods of a Mobile Node on the Mobile IPv6 Network)

  • 나재훈;정교일;한치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2권3호
    • /
    • pp.1-8
    • /
    • 2005
  •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표준화 기구에서 최근에 완료된 MIPv6 (Mobile IPv6) 관련 표준 RFC3775, RFC3776는 이동노드와 홈에이전트 사이에 사전에 보안연계 (SA : Security Association)가 설정 된 이후에 이동중에 홈에이전트와 상대노드에게 이동사실을 안전하게 통보하는 위치갱신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표준 규격에는 이동노드의 시동(Bootstrapping)과 시동의 경우에 이동노드와 홈에이전트 간에 보안연계를 설정하는 문제에 대하여 제시된 방식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노드와 홈에이전트간의 안전한 시동을 위한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 방식은 인증, 위치갱신, 홈에이전트 할당 그리고 보안연계 분배를 AAA의 안전한 채널을 통하여 이동노드와 홈에이전트간에 수행한다. 그리고 제안된 방식을 기능, 라운드트립 그리고 보안강도 관점에서 특성분석 하였다.

Mobile IPv4/Mobile IPv6 통신을 위한 모바일 헤더 변환 메커니즘 (A Mobility Header Conversion Mechanism for Mobile IPv4 and Mobile IPv6 Communications)

  • 김대선;홍충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B호
    • /
    • pp.61-70
    • /
    • 2007
  • IPv4/IPv6 통신 서비스를 위한 변환기는 호스트의 변경 없이 IPv6 호스트와 IPv4 호스트간의 통신을 지원해 준다. 그러나 호스트가 모바일 노드일 경우 삼각형 라우팅 문제가 발생한다. Mobile IPv4 모바일 노드가 이동할 경우 홈 에이전트와 IPv6의 CN(Correspondent Node)에게 반드시 이동 정보를 보내 주어야 하지만 현재 NAT-PT는 IPv4와 IPv6의 이동성 헤더인 모바일 IPv4/Mobile IPv6의 헤더 변환은 지원해 주지 않기 때문에 삼각형 라우팅 문제가 발생하여 Mobile IPv4와 Mobile IPv6간에 비효율적인 통신을 일으킨다. 본 논문에서는 Mobile IPv4와 Mobile IPv6 통신에서 발생하는 삼각형 라우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 헤더 변환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모바일 PULSE : 모바일 싱크 노드를 가진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복구 시간과 전력 소모량을 고려한 라우팅 프로토콜 (Mobile PULSE : A Routing Protocol Considering the Power and the Route Recovery Time in Sensor Networks with A Mobile Sink Node)

  • 이치영;이신형;유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2B호
    • /
    • pp.151-161
    • /
    • 2009
  • PULSE 프로토콜은 센서 노드의 슬립을 통해 소모 전력량을 크게 줄인다. 그러나 이 프로토콜은 싱크 노드의 이동을 고려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모바일 싱크 노드를 가진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은 빠른 경로 복구와 전력 소모 최소화를 모두 달성해야 한다. 본 논문은 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모바일 PULSE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프로토콜의 경로 복구 능력과 전력 소모량을 확인하였다. 이 프로토콜은 기존의 PULSE 프로토콜에 비해 약 40% 정도 경로 복구 시간을 단축하였고, 드롭되는 패킷의 양도 약 1/2 수준으로 줄였다. 전력 소모량 면에서는 최대 0.8%의 증가만이 나타남으로써, 기존의 PULSE 프로토콜의 전력 효율적인 특징을 그대로 유지함을 보였다. 본 논문은 모바일 PULSE 프로토콜의 경로 복구 능력과 전력 소모량을 확인함으로써 모바일 센서 네트워크에 적합한 프로토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