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bile IPv6

Search Result 52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Handover Performance Evaluation for Proxy Mobile IPv6 (Proxy Mobile IPv6의 핸드오버 성능 평가)

  • Hyeon, Seung-Il;Han, Youn-Hee;Kong, Ki-Sik;Shin, Myung-Ki;Jeong,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317-322
    • /
    • 2007
  • IPv6 이동성 관리를 위한 기존의 호스트 기반 프로토콜인 Mobile IPv6는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연구에 의해 표준화되어진 안정적인 기술이지만 실제 상용망에서는 잘 사용이 안되고 있다. 그 이유는 단말의 수정 요구, 과도한 유/무선 자원 사용, 느린 핸드오버 지연시간 등이 있다. 이와 같은 Mobile IPv6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인 Proxy Mobile IPv6가 최근에 주목받고 있다. Proxy Mobile IPv6는 단말에서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수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유/무선 자원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핸드오버 지연시간도 단축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roxy Mobile IPv6와 기존 호스트 기반 프로토콜인 Mobile IPv6, Hierarchical Mobile IPv6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비교 분석한다. 비교 분석 결과로서 Proxy Mobile IPv6는 기존 기법들보다 약 $84{\sim}93%$ 정도의 핸드오버 지연시간 단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dvanced Fast Handover Scheme for Reliable Multimedia Communication in IP-based Wireless/Mobile Networks (안정적인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Mobile IPv6 네트워크에서 진보된 고속 핸드오버 기법)

  • Lee, Ki-Jeong;Park, Byung-Joo;Park, Gil-Cheol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9 no.3
    • /
    • pp.93-99
    • /
    • 2009
  •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lETF)proposed the Mobile IPv6 protocol to provide host mobility in IPv6-based network and to offer a standardized technology. However, Mobile IPv6 (MIPv6) is not applied in actual network because of long handover latency and packet loss problems. Therefore, to compensate these drawbacks, many studies are in progress and FMIPv6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 is one of the studies that has been proposed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MIPv6. But there are problems occurred in using router tunneling which causes packet loss and out of sequence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vanced Mobile IPv6 (AMIPv6) protocol to minimize the handover latency when Mobile Node frequently moves in each subnet. We compared the performance analysis of AMIPv6 handover latency with MIPv6 handover latency in the same network environment to prove that AMIPv6 is more efficient.

  • PDF

A Study on Handover of between MIPv6 and PMIPv6 Environment (MIPv6와 PMIPv6 환경에서의 핸드오버에 관한 연구)

  • Kim, Soo-Duek;Lim, Hun-Jung;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577-578
    • /
    • 2009
  • 최근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휴대용 기기들의 놀라운 성능향상으로 이동 중에도 통신을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 IETF에서는 Mobile IPv6와 Proxy Mobile IPv6라는 기술을 표준화하였다. Mobile IPv6는 호스트 기반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고, Proxy Mobile IPv6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모바일 환경에서의 각 도메인은 Mobile IPv6와 Proxy Mobile IPv6의 프로토콜 기술을 채택하여 이동성을 제공하는데, 각 기술간의 상호 연동과 핸드오버 관점에서의 다양한 고려사항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Mobile IPv6와 Proxy Mobile IPv6의 각각의 환경에서 Inter-Domain 간의 상호 연동과 핸드오버 방법에 대해서 시나리오를 분석한다. 본 논문은 향후 다양한 특성을 지닌 도메인 환경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대해서 고려하고자 할 때 도움을 주고자 한다.

A Study on Mobile IPv6 (Mobile IPv6에 관한 연구)

  • 김우완;장상동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41-44
    • /
    • 2003
  •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IPv6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지금 이동 단말로 인터넷을 즐기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IPv6 의 조기 적용 가능 분야가 이동통신망에서의 무선인터넷 서비스, 흠 네트워킹을 이용한 정보가전 분야로 Mobile IPv6는 이러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이에 Mobile IPv6는 IPv6가 사용되는 한 함께 제공되어야 할 필수 항목 중 하나가 되었다. 여러 망 사업자들, 대학들, 연구기관 및 기업체에서 프로토콜 스펙에 맞는 Mobile IPv6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트라이앵글 라우팅 문제로 인한 핸드오프 지연은 해결해야할 큰 과제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Mobile IP의 이동성지원과 이동성 관리비용을 줄이기 위해 제안된 방법들과 Mobile IPv6에서의 이들의 해결을 위한 내용들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W Mobile IPv6 based on Draft 24 (Draft24 기반의 Mobile IPv6 하드웨어 설계 및 구현)

  • 김영희;공인엽;이정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37-39
    • /
    • 2004
  • Mobile IPv6 기술은 단말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기술로서 AII-IP기반의 차세대 유무선 통합 망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Mobile IPv6는 특정 OS에 의존적일 뿐 아니라, OS 구동 시 발생하는 오버 헤드로 인한 높은 전력 소모로 인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소프트웨어 기반 Mobile IPv6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최신 표준에 따르는 이동성과 고속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하드웨어 Mobile IPv6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그리고 구현된 모듈은 시험 망 패킷 데이터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작을 검증하였다.

  • PDF

Research of solutions for inter-working problem between a mobile IPv4 and a mobile IPv6 using the Dual Stack Transition Mechanism in transition environment (전이 환경에서 이중 스택 메커니즘을 사용한 이동 IPv4와 이동 IPv6 연동 문제 해결 방안 연구)

  • 권금연;황인준;강현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655-657
    • /
    • 2004
  • IPv4가 가지는 주소 부족 및 보안등의 문제들로 인하여, 인터넷 환경은 IPv6로 전이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노트북 및 PDA등 단말들이 소형화, 간편화되면서 단말의 이동성 문제가 쟁점화 되고 있다. 이러한 오늘날의 인터넷 환경에서. IPv4에서 IPv6로의 전이 환경에서의 두 프로토콜의 연동을 위해 여러 메커니즘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단말의 이동성 제공을 위해 IPv4 기반으로는 이동 IPv4(Mobile IPv4)가 표준으로 제정되었으며 IPv6 기반으로는 이동 IPv6(Mobile IPv6)가 현재 표준 제정 완료 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이 환경에서 이동성 지원을 위하여 이중스택 메커니즘을 사용한 이동 IPv4와 이동 IPv6의 연동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모색해본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Mobility Support Protocols for IPv6 over Wireless LAN (IEEE 802.11 무선랜 환경에서의 이동성 지원 IPv6프로토콜의 성능분석)

  • Hwang Seung-Hee;Han Youn-Hee;Hwang Chong-Su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2 no.3
    • /
    • pp.391-403
    • /
    • 2005
  • Several nv6 mobility support protocols for mobile Internet services are proposed in IETP : Mobile Ipv6, Hierarchical Mobile Ipv6, and Fast Handovers over Mobile Ipv6. Recently, IEEE 802.11 network has also been widely deployed in public areas for mobile Internet services. In the near future, IPv6 mobility support over IEEE 802.11 network is expected to be a key function to actualize the All If-based mobile various services. For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se protocols, the IPv6 mobility support protocols should b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ignaling, handover latency, lost packets, and required buffer sire as well as the impact of lower layer such as IEEE 802.11 network.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tocols over IEEE 802.11 network. We define a packet-level traffic model, a network system model, and a mobility model. From these models, we construct a framework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We also make cost functions to formalize each protocol's performance. Lastly, we analyze the effect of varying parameters used to show diverse numerical results, and compare with each other. From the analysis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each Protocol has contrary or contrastive advantages with other Protocols, so there is no protocol that holds a dominant position.

Security Threats Analysis for Network-based Mobile IPv6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 보안 취약점 분석)

  • Kim, Hyun-Gon;Seo, Jae-Hyeon;Oh, Byeong-Kyun;Ahn, Tae-Nam;Kim, Jin-Hy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4 no.10
    • /
    • pp.137-147
    • /
    • 2007
  • In the host-based Mobile IPv6, a mobile node is responsible for doing the signaling to its home agent to enable session continuity as it moves between subnets. To remove the mobile node's signalling processing load,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has been proposed recently. It allows session continuity for a mobile node without its involvement in mobility management. The proxy mobility agent in the network performs the signaling and does the mobility management on behalf of the mobile node. However, to make secure communications for a mobile node, security mechanisms against diverse attacks should be adopted. To do this, first of all security threats to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should be also identified and analyzed. Potential attack objectives may be to consume network services at the cost of a legitimate mobile node and, eavesdropping and fabrication of user traffic through interception of a mobile node's communications. This paper identifies and discusses security threats to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in details. The results of threats analysis are limited to threats that are peculiar to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except threats to IPv6 in general.

An Optimized Authentication Method between Mobile Node and Home Agent using AAA in Mobile IPv6 (Mobile IPv6에서 AAA를 이용한 이동노드와 홈 에이전트간의 최적화된 인증 방안)

  • 김미영;문영성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0 no.6
    • /
    • pp.714-719
    • /
    • 2003
  • A Mobile IPv6 services exposes its vulnerability when a mobile node is roaming the subnets belonging to the different domains. The AAA infrastructure is strongly recommended when the ISPs need to authenticate the mobile user comes from the different domains. In addition to the basic requirements for the AAA service, the authentication latency and AAA message overhead should be minimized for the continuity of the mobile service. This paper considers the roaming service with AAA infrastructure in Mobile IPv6 and proposes an authentication scheme using delegation to authenticate the mobile node with effective manne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 is confirmed using the cost analysis. The result shows at least 50% of performance enhancement when the MN is roaming fast under the control of the dele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