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Entertainment is the new era in mobile communication. Mobile Entertainment service is a combination of games, music, videos, chatting and telecommunication which has created a wide market in India. There is a vari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customers towards Mobile Entertainment services.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gender impac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ur control intention and behaviour towards mobile entertainment service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PB) provided a framework. Total 566 male and 376 female mobile users of different age group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three-stages. First, reliability tests were performed. Upon satisfactory resul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is used to analysis convergent,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model. Once the model was valid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Multi-group analysis is used to find the impact of gender behaviour towards Mobile entertainment servic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model is viable in predicting variation in gender impact on mobile entertainment services. The findings have revealed that attitude, perceived behaviour control and inten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ur to use mobile entertainment but subjective norm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ur to use mobile entertainment.
모바일서비스는 정보시스템의 기능을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서비스의 성공모형은 정보시스템의 성공모형에 모바일의 특성을 적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다양한 모바일서비스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Commerce, Communication, Entertainmant, Information등은 많이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서비스 유형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서비스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고 서비스 유형별로 각 요인들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본다.
모바일콘텐츠는 무선 단말기에서 서비스되는 모든 콘텐츠를 의미하고 크게 커뮤니케이션, 인포메이션, 엔터테인먼트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콘텐츠들은 각각의 특성들이 있기 때문에 콘텐츠 유형에 따라 서비스 성공을 위한 영향요인들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고 서비스 유형별로 각 영향요인들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본다. 또한, 영향요인들의 영향력과 사용자의 인식도를 비교 분석하여 유의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VOD 서비스 이용자들의 콘텐츠에 있어 유선 인터넷 VOD 콘텐츠와 모바일 VOD 서비스 이용자들간 이용하는 모바일 VOD 콘텐츠 장르선택과 유선 인터넷 VOD 콘텐츠 선택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전체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수준의 VOD활용이 나타났으며 활용 유형은 다양한 콘텐츠와 기분전환, 재미,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남성이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VOD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횟수가 높을수록 VOD 활용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만족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VOD서비스가 모바일 VOD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 VOD 개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공개적이고 쉬운 요금제도 등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 대상자들은 주로 재미 위주의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하여 VOD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VOD에 대한 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nected car platform architecture called Mobile Second for developing of verity convergence services. A Mobile Second platform architecture is designed to provide more powerful and diverse convergence services for vehicles and drivers by applying technologies of Connected Car and ICT Convergence in various ways. The Mobile Second platform is implemented by applying Tizen IVI and Android to hardware platforms for IVI, Nexcom's VTC1010 and Freescale's i.MX6q/dl respectively. The Mobile Second platform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vehicle's information via IVI devices, mobile devices and PCs, etc., and provides Vehicle Selective Gateway(VSG) and Vehicle Control Framework for the driver to control his/her vehicle, and also provides a web framework to enable the use of VSG's APIs for the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vehicle information in various mobile environments as well as IVI devices. Since the Mobile Second platform aims to create new variety of services for Connected Car, it includes service frameworks for Smart Care / Self diagonostics, Mood & Entertainment services, and Runtime, libraries and AP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related applications. The libraries given by the Mobile Second Platform provides both a native library for native application support and a Java Script-based library for web application support, minimizing the dependency on the platform and contributing the convenience of developers at the same tim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dvances rapidly, a personalization technology can be incorporated with the mobile Internet environment, which is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s to support more accurate personalized services. A location-based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 is one of the essential technologies of the location-based application services, and is also a crucial technology for the ubiquitous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of a location-based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 for the mobile Internet environment.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three modules the interface module, the neighbor selection module and the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module. The proposed system incorporates the concept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in the Electronic Commerce along with that of the mobile devices for possible expansion of services on the mobile devices. Finally a service scenario for entertainment recommendation based on the proposed recommender system is described.
Online and mobile games represent digital entertainment. Not only the game grows fast, but also it has been noted for unique business models such as a subscription revenue model and free-to-play with partial payment. But, a recent revenue mechanism, called a loot-box system, has been criticized due to overspending, weak protection to teenagers, and more over gambling-like features. Policy makers and research communities have counted on expert opinions, review boards, and temporal survey studies to build countermeasures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of online and mobile games. In this process, speed was not seriously considered. In this study, we attempt to use a big data source to find a way of observing a trend for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Specifically, we tried to apply the Word2Vec data mining algorithm to news repositories. From the findings, we acknowledged that the suggested design would be effective in lightening issues timely and precisely. This study contributes to digital entertainment service communities by providing a practical method to follow up trends; thus, helping practitioners have concrete grounds for balancing public concerns and business purpose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제18권1호
/
pp.55-74
/
2011
The growth in the use of ubiquitous computing based on mobile services as an enabler to conduct business more effectively has been phenomen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has been applied in different contexts to examin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T). As more and more companies are finding ways to utilize ubiquitous computing based on mobile services, an important issue is to understand what factors will impact the decisions of consumers in adopting the services. Based on TAM with three additional groups of external factors, i.e., service-related factors (ubiquitous access, context awareness) and technology-related factors (perceived security risk, network connectivity) that are theoretically justified as having influence on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hich are additionally considered, a research model for the investigated technology acceptance was developed and empirically examined, using responses from more than intended users of ubiquitous computing based on mobile services.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is to identify service beliefs considering unique characteristics for ubiquitous services such as perceived ubiquitous access and perceived context awareness. Secondl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twork characteristics beliefs such as perceived security and perceived connectivity. Third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such as ubiquitous characteristics, network characteristics, behavioral beliefs, and intention to use ubiquitous web services. This study u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ubiquitous access has a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Context awareness has an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ly, User familiarity has an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User innovativeness has an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Thirdly, perceived security risk has an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Network connectivity has an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Fourth, there exist differential effects among factors in structural model among information, transaction, and entertainment services.
최근 들어 증강현실 시장이 급성장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아가면서 다양한 플랫폼 인터페이스가 등장하였다. 스마트폰 기반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따라 맞춤식으로 추천 여행 정보를 제공하며 추천 여행 정보를 토대로 맞춤식 동선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한된 시간 내에 효율적인 여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지도 중심의 단순 여행 동선을 제공하는데 불과하여 트레일이나 트레킹 등의 도보 여행 시 기존 지도 애플리케이션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되면서도 서버와의 지속적인 통신이 없더라도 사용자 동선에 따라 가이드가 가능하면서도 해당 지역의 문화나 유적 등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도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새로운 증강현실기법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Field-Experiential Learning Framework Using the Location Based Mobil-learning System (LBMS) and it is mobile Augmented Reality (AR) for smart learning system which is advanced e-learning. AR is technology that seamlessly overlays computer graphics on the real world. LBMS-AR has become widely available because of mobile AR. Mobile AR is possible to get information from real world anytime, anywhere. Nowadays, there are various areas using AR such as entertainment, marketing, location-based AR. We analysed the result of survey and implemented the functions. Also, for survey about application's effectiveness, we have focus group interview (FGI). Then we demonstrated and explained the application to them. The result of survey about application's effectiveness shows that application have higher utilization in education area. One of the most promising areas is education. AR in education shows lifelike images to users for realism. It's a good way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nd attention. We utilize only a beacone for image-based AR without other sensor.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