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bile C

검색결과 1,921건 처리시간 0.033초

GVM과 MobileC를 이용한 모바일 옥편의 구현 (Implementation of Mobile Chinese Dictionary Using GVM and MobileC)

  • 김필진;윤성림;오세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658-660
    • /
    • 2002
  •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컴퓨터뿐만 아니라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인터넷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l]. 이에 웹상에서 제공받던 교육용 컨텐츠를 모바일상에서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교육용 모바일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2]. 본 논문에서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하여 다운로드 솔루션을 채택한 GVM(General Virtual Machine)상에서 실행되는 교육용 모바일 옥편을 설계하고 MoibleC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제작 과정을 통해 단말기의 제한적 환경에서 교육용 컨텐츠의 효과적인 개발 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Mobile C 기반의 GVM 응용프로그램을 Java 기반으로 변환하는 Process (A transformation process of GVM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from Mobile C to Java)

  • 신수원;최윤석;정기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103-10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Mobile C 언어 기반으로 만들어진 GVM 응용프로그램을 자바 기반의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자바 기반으로 변환된 모바일 프로그램은 높은 확장성 및 새로운 기능 추가의 용이함을 기대할 수 있다. GVM에서 자바 기반으로의 변환을 위해 필요한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구조로 응용프로그램을 변환하기 위한 6개의 단계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변환절차는 GVM 코드의 재사용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재사용을 통해 개발시간과 변환시간을 단축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제2계층 트리거를 이용한 FMIPv6 구현 및 분석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the FMIPv6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 Using Layer 2 Triggers)

  • 오승훈;이성식;김영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4호
    • /
    • pp.551-55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신속한 이동성 관리기법인 FMIPv6(fast mobile IPv6)를 리눅스 기반으로 구현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성능을 비교 실험하였다. FMIPv6 기법은 제 2계층의 동작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게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수정하여 단말의 이동에 따라 제2계층에서의 트리거를 발생하도록 하였고 액세스 라우터와 이동 노드로 동작을 구분하여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으로 기존 MIPv6(mobile IPv6)가 적용됐을 때와 비교하여 핸드오버기간동안의 패킷손실과 지연특성을 실험하였으며 FMIPv6에서의 개선된 성능을 고찰 하였다.

모바일 그리드 시스템의 개발 및 성능평가 (The Development of Mobile Grid System and Performance Evaluation)

  • 김태경;김희승;이현주;정태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4호
    • /
    • pp.581-588
    • /
    • 2005
  •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단말기의 성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Mobile IP나 ad-hoc 기술 같은 이동성을 관리하는 기술들도 개발됨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혹은 이동 중에도 분산 컴퓨팅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정적인 분산 어플리케이션 수행을 위해서 모바일 그리드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모바일 그리드는 자원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센서나 모바일 단말기 혹은 무선의 다른 이동 장비들을 포함한 유선의 자원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모바일 그리드 시스템의 구체적인 설계 및 구현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제 구현된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모바일 그리드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D2C(Direct-to-Consumer) 기반 루이비통 모바일 앱에 나타난 뉴 럭셔리(New Luxury)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 Luxury in Louis Vuitton's D2C-Based Mobile Application)

  • 김미경;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41-757
    • /
    • 2021
  • In addition to direct sales to consumers, the direct-to-consumers (D2C) strategy, which provides specialized experiences and services, communicates closely with a consumer's perspective. This tendency is related to the recent trend wherein the luxury fashion system is being transformed into a new luxur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of online D2C platforms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new luxury from the functional, symbolic, and experiential dimension perspectives based on mobile apps, which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mong online D2C platform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premium of new luxury fashion displayed in Louis Vuitton's mobile D2C platform in terms of product utility and functionality is newly defined as a usable luxury experience. Moreover, from the heritage perspective, based on the cultural sympathy of the brand contents, we determine that an attachment can be formed between new luxury fashion consumers and brands. Additionally, the personalization service and experiential content on the D2C platform can directly afford emotional and bonding induced brand immersion in a playful way.

이동 단말기를 위한 OMA DM 기반 관리 에이전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anagement Agent for Mobile Devices based on OMA DM)

  • 신재영;정용우;고광선;엄영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1호
    • /
    • pp.61-68
    • /
    • 2008
  • 이동 단말기들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포함하는 컨버젼스 단말기로 진화하고 있으며, 사용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서비스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도록 고성능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고성능화는 기기 자체에 대한 복잡한 설정을 요구하며, 잠재적인 H/W 또는 S/W 오류 발생 가능성과 설치 프로그램 간 충돌로 인하여 시스템 성능 저하 등의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말기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를 위한 기구로서 OMA(Open Mobile Alliance)가 결성되었다. OMA는 이동 단말기 관리의 표준으로 OMA DM(Device Management)을 제시하였다. 최근에 공개된 OMA DM v1.2는 이전 스펙보다 개선된 이동 단말기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단말기를 위한 OMA DM v1.2 기반 관리 에이전트에 대한 설계 및 구현 내용을 보인다. 이 에이전트는 C언어로 구현되었으며, 이동 단말기의 관리 객체를 획득, 변경 그리고 추가하기 위해 TNDS(Tree and Description Serialization)를 사용함으로써 적은 양의 네트워크 트래픽으로 효과적인 단말기 관리가 가능하다.

G4C 스마트 앱 서비스 특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중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Using Intention by G4C Smart Application Service Characteristics: Comparing Korea and China)

  • 상회강;김화경;이종호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1호
    • /
    • pp.85-100
    • /
    • 2014
  • Purpose - Recently, the prevalence of high-spee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4G) and mobile devices (smart phones, tablet PC, etc.) is leading innovative changes across all fields in society as well as business environments. Furthermore, a diversified mobile application service has spread rapidly through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ccordingly, the traditional E-government services paradigm has rapidly changed into mobile intelligence.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using intention of G4C smart app servic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using G4C smart app services are defined; these are user cognitive factor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iness), user characteristics factors (user innovativeness, self-efficiency, social influence), service quality factors (convenience, interactivity, accessibility), and system quality factors (instant connectivity, safe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is designed not only to collect data with a questionnaire survey (9/22/13~10/23/13) but also to test hypotheses with SEM by SPSS 21.0 and AMOS 21.0 in both Korea and China. All items are used with Likert 5 scales. A total of 643 questionnaires (Korea 318, China 325) are used. Results -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iness in user cognitive factors have positive influence on using intention. The user innovativeness, self-efficiency, and social factors in user characteristics factor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using intention. The convenience, interactivity, and accessibility in service quality factor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both reliability and using intention. Safety in system qual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both reliability and using intention. Reliabil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using intention. The control variables (Korea and China) affect its control hypothesis. Strategies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assist the public using the intention of smartphone's e-government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mobile application service can be considered a new emergence of the paradigm just like the government's on-line portal websites appeared in the past. Under this prevailing situation of mobile smart devices, to promote the success of e-government mobile APP services, accurat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users should precede anything, to provide services to grasp and satisfy users' desire properly. Conclusions - This study proposes implications to help E-governmental officers and companies make strategies. First, this is expected to give some information on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regarding the process of G4C smart APP service based on the empirical study. Second, this helps to make future policies and ways about E-government G4C smart APP service. Third, it is proved that super spee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evices including phones will be crucial to change the structure of E-government services in 2-3 years. Four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rust and using intention of users. Fifth, considering what type of environment users are placed in, to present proper public information matching their inclination, is important. Finally, various ways of experiencing service to explore potential users and ceaseless public relations are required.

모바일 IPv6에서 실시간 통신을 위해 해쉬 값을 적용한 빠른 인증 기법 (A Fast Authentication Method using Hash Value for Realtime Communication in Mobile IPv6 network)

  • 강형모;문영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1호
    • /
    • pp.113-120
    • /
    • 2006
  • 모바일 IPv6에서 외부 망을 이동하는 이동노드는 보안의 위협으로부터 올바른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인증이 필요하다. AAA 는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받는 노드에게 인증 및 권한 부여, 과금 계산을 하는 신뢰적인 기반 구조이며, Mobile IPv6 워킹 그룹은 이동노드의 인증을 위해 AAA 기반 구조의 사용을 권고한다. AAA 기반 구조는 강력한 인증 기능을 제공하지만, 노드가 이동할 때마다 많은 베시지 교환을 통해 이동노드를 인증한다. 이러한 많은 메시지 교환은 지연을 발생시키고, 지연은 실시간 통신에 어려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노드의 인증 과정으로 발생하는 지연을 줄이기 위해 이동노드의 해쉬 값을 이용한 향상된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을 사용한 이동노드는 이동 직후 일정시간 확장된 기존의 인증협약을 사용하고 새로운 인증협약 설정으로 발생하는 지연을 없앤다. 제안 기법의 성능 평가는 다른 기법들과의 비용 비교 분석을 통해 그 효율성을 검증한다. 그 결과 이동노드가 다른 서브넷으로 이동하는 경우 일반적인의 기법보다 25% 이상의 성능 향상을 보인다.

이동통신환경에서의 소규모 그룹통신을 위한 XMIP 프로토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Explicit Multicast with Mobile IP for Small Group Communications in Mobile Networks)

  • 박인수;박용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2호
    • /
    • pp.267-28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다세션 소규모 멀티캐스트 통신을 위해 제안된 Explicit Multicast 전송방식과 IETF Mobile W를 효과적으로 결합한 XMIP 프로토콜을 구현하고 검증한다. Xcast 패킷 헤더 내에 목적지 주소들을 소스 노드가 명시하여 Xcast 네트워크로 전송하면 각 Xcast 라우터는 멀티캐스트 트리의 지원없이도 유니캐스트 라우팅 정보만을 기초로 목적지를 향해 경로설정과 전송을 수행한다. XMIP 프로토콜은 이러한 Explicit Multicast 프로토콜의 특징을 상속받아 상태유지의 필요없이 유니캐스트 라우팅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므로 전송방식이 명확하고 단순하다. 본 연구에서는 Xcast 네트워크와 IETF Mobile IP의 연동을 함께 고려해서 Mobile IP의 이동 에이젼트인 HA/FA를 수정 보완하여 HA+/FA+로 각각 확장한다. HA+로 전송된 Xcast 패킷은 Mobile IP 바인딩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FA+로 향하는 X-in-X 터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다. 이 메커니즘으로 IETF Mobile IP 멀티캐스트 트래픽 집중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무선랜기반 실험망을 구축하고, Xcast 응용으로서 다중 사용자를 위한 인스턴트 메신져를 개발하고 실험하므로써 최종 개발한 XMIP/Xcast 프로토콜의 실효성을 검증한다.

모바일 RFID 단말을 위한 미들웨어 개발 (Middleware Implementation for Mobile RFID Terminal)

  • 예성빈;정희택;한순희;강영만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236-243
    • /
    • 2007
  •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RFID는 물류를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으로 연구되고 있다. 더욱이, RFID와 무선 단말을 융합하는 모바일 RFID의 연구가 시작 되면서 B2B 서비스 영역에서 B2C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B2B2C에 이르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요한 수단인 모바일 RFID 단말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RFID 단말을 개발하기 위해, 미들웨어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다중 코드 인식 모듈, 판독기 제어 모듈, 코드 해석 모듈, Dispatcher 모듈의 기능을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를 에뮬레이터 상에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