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App.

검색결과 824건 처리시간 0.034초

브랜드앱(Branded App)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 모델(TAM)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Consumer Intention to Use Branded App :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 장성현;이정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1-76
    • /
    • 2014
  • As the smart phone devices gain popularity, companies no longer consider mobile application marketing as an auxiliary marketing tactic. The branded mobile application (branded app) becomes an important part of marketing strategie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antecedents of the use intention of the branded app from the perspective of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study takes a macro perspective in explaining the adoption process by incorporating a set of new, yet promising additional variables into the TAM model such as flow experience, benefits, innovation inclination, and customization feature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urvey research. A total of 270 responses were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25 individuals were removed from the data set due to the insincere responses, leaving the final sample size of 245. Findings support all but one hypotheses of the study. Both perceived utilitarian benefits and customization features of the branded app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branded app. Also, the innovation inclination and perceived entertainment of branded app users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branded app.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bout the use of the branded app influenced positively the flow experience and the users' attitudes toward branded app. Also, the ease of use perceived by branded app user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user's attitude toward branded app. However, the ease of use of branded app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low experience among users. Moreover, the flow experience from the use of branded app users influenced positively the user's attitude toward branded app. Finally, the users' attitudes toward branded app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intention to use the branded app.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academicians are provided.

중년 여성 근로자의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참여 경험 (Experience of middle-aged female workers participating i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management programs using mobile app)

  • 양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05-113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일대일 심층면담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백화점에서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심뇌혈관질환 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50세 이상의 여성 근로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참여경험은 '알아가는 것에 대한 즐거움', '상호 우호적 관계의 활성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나를 관리하게 함', '익숙하지 않은 문화를 받아들임', '어디서나 상담을 받는 듯한 편리함'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모바일 앱이 건강행위 실천의지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바일 앱을 설치 시 낯선 프로그램에 대한 불안을 감소하기 위해 안전한 프로그램임을 보증할 수 있는 인증기준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모바일 앱의 업데이트가 모바일 앱의 순위에 미치는 영향: 앱 스토어의 무료 앱을 대상으로 (Effects of Mobile App Updates on Mobile App Rankings: Free Apps in the App Store)

  • 조희승;임건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5-140
    • /
    • 2016
  • 스마트폰의 확산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애플사의 통계에 따르면 2008년 모바일 앱 누적 다운로드 건수가 1억 건이었으며, 2009년 1년 만에 10억 건을 돌파하였고, 3년 후인 2012년에는 앱 누적 다운로드 수가 450억 건이 넘었다. 2014년 10월 현재 850억 건의 다운로드가 있었다. 이와 같이 급속히 증가하는 모바일 앱에 대한 관심으로 학계에서도 앱의 다운로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는 연구들이 최근에 많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는 분석하지 않은 모바일 앱의 업데이트가 모바일 앱의 순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애플스토어에 등록된 앱들의 전체 순위, 카테고리 내 순위, 업데이트 내용, 리뷰의 수와 평점 등을 수집하였다. 업데이트 내용은 구매계층모형(buying hierarchy model)에 의해 기능성, 신뢰성, 편리성의 업데이트로 분류하고 각각의 업데이트가 앱의 순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했다. 분석결과, 전체 순위에는 기능성 업데이트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카테고리 순위에는 신뢰성 업데이트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앱 다운로드에 관한 연구 중에서 업데이트 내용을 최초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모바일 앱 개발자가 상품개발전략에 업데이트의 내용을 중시하여야 한다는 실무적인 시사점도 제공하고 있다.

An exploratory analysis and usability evaluation of fashion mobile applications - Focus on Korea and U.S. App stores -

  • Ju, Na-An;Lee, Davin;Jeon, Hyung Min;Lee, Kyu-Hye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2호
    • /
    • pp.287-300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typology of fashion-related mobile applications through exploratory investigation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Korea and U.S. App stores. And then, through the qualitative evaluation about fashion mobile applications, this study proposes fashion mobile application's design and contents which can be preferred by users. By conducting keyword search in each store, 122 Korean applications and 150 US applications were analyzed. Empirical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ere seven major types of fashion mobile applications: brand, magazine, information, SNS, game, shopping and coordination. Information type applications took up the largest portion, and SNS and game type applications showed higher ranking among customers. There were more game Apps in US and more shopping Apps in Korean stores. More free Apps were found in Korean App stores, whereas relatively more paid Apps were found in US App stores especially in game, magazine and information type applications. And as a result of usability evaluation of fashion mobile application, users prefer SNS and information category application to shopping and brand category. Also users want continuous improvement and new contents for fashion mobile application.

SREM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pplication SREMS)

  • 정경진;김원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73-118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C 기반으로 시설하우스의 생장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존 농업 IT시스템을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앱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모바일 앱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징인 높은 이동성, 자원의 제약성, 모바일 무선네트워크지원, 엔터프라이즈 모바일 컴퓨팅 지원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앱의 채택이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앱을 통해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자원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었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있었으며, 서비스 기반 아키텍쳐의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복잡도가 높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었다. 본 시스템의 개발을 통해서 최신 IT농업을 발전시켜 농민의 소득증대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관광정보서비스, 결재서비스, 만족도, 재이용의도의 구조적 관계: 중국 시에청을 대상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ourism Information, Payment Servic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Focused on the Ctrip APP in China)

  • 이옌링;김영국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9권2호
    • /
    • pp.123-13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x factors (accurac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curity, instant accessibility, and ease of use) on re-use intention; and then to help to establish future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on the Internet, Wenjuanxing. The total of 270 copies through APP-Wechat (Wicket), and 245 were used for analysis. For statistical processing, SPSS22.0 i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amongst factors for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a variety of analysis, such a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ass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using chinese Ctrip mobile app,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attribut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The accuracy of mobile information service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e security, immediacy of access, and usability of the payment service of mobile APP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use intention.

  • PDF

교육용 모바일앱을 개발할 때 주요한 고려사항 (Key Considerations in Educational Mobile App Development)

  • 국중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3-464
    • /
    • 2014
  • 모바일기술이 우리의 비즈니스 방식과 생활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오면서, App 개발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앱개발은 기술적인 측면에 주로 관심을 가지게 되지만, 교육용 모바일 앱(Mobile App)을 개발 할 때, 개발초기에 모바일 개발방법을 결정하기에 앞서, 주요 고려사항을 검토해야한다.

  • PDF

식사사진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모바일 폰 앱의 나트륨 섭취 추정 타당성 연구 (Validity of Estimating Sodium Intake using a Mobile Phone Application of 24-hour Dietary Recall with Meal Photos)

  • 김서윤;정상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7-328
    • /
    • 2020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a mobile phone application (app) that applies a 24-hour dietary recall with meal photos, as a means of being a more accurate method of estimating dietary sodium intake. Methods: Of the 203 subjects enrolled, 172 subjects (84 males and 88 femal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ose with an intake less than 500 kcal and urine output less than 500 ml. Dietary sodium assessment methods used for comparing with the 24-hour urinary sodium excretion are as follows: 1) face-to-face 24-hour dietary recall, 2) 24-hour dietary recall using the mobile app, 3) face-to-face 24-hour dietary recall considering liquid intakes from soup, stew, water kimchi and noodle, etc (liquid-based dishes), 4) 24-hour dietary recall using the mobile app considering liquid intakes from liquid-based dishes, and 5)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Repeated ANOVA with Bonferroni method was used for comparing the average sodium intake, and Pearson's correlation was applied to correlate the methods used. Results: In wome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verage sodium intake between all methods. Moreover, analysis in men and total adult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4-hour urinary sodium secretion, and 24-hour dietary recall using the app and 24-hour dietary recall using the app considering liquid intakes. Sodium intake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with the intake determined from 24-hour urinary sodium excretion. Sodium intake from all methods (excep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alues obtained from 24-hour urine sodium excretion.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validated a mobile phone app using a 24-hour dietary recall with meal photos to better estimate dietary sodium intakes. It is believed that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will enable the application as a tool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sodium intake.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e Services Based on Smartphone Application in Academic Libraries)

  • 정종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1-191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과 앱에 관한 정보통신기술의 원리를 소개하고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들을 살펴보고 미래 도서관의 모바일서비스 예측에 의거 바람직한 스마트폰 앱기반의 모바일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스마트폰 앱기반 모바일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모바일 웹과 앱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서비스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할 스마트폰 앱 평가 원칙을 수립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마케팅과 교육서비스에 앱을 개발하거나 활용한다. 넷째, 앱정보에 대한 앱서지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웹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검증 시스템 (Mobile Application Verification System Web-based)

  • 유기선;문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75-1076
    • /
    • 2009
  • 미국 Apple 사의 App-store와 같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오픈마켓이 국내의 통신사를 통하여 서비스를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 개발자들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유통을 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App-store의 i-Pod과 같이 단일 모델과 다르게 국내 모바일의 종류가 너무 많아서 개발자들이 모든 단말기를 테스트 해볼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웹에 모바일 시뮬레이터를 탑재하여 여러 개발자들이 쉽게 모의 단말기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시스템 제안한다. 이 시스템을 통하여 개발자들이 많은 단말기에 테스트 하는 것을 간소화하고, 검증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