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3D

검색결과 1,431건 처리시간 0.03초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nal Multi-Band Monopole Antenna for Mobile Phones

  • Yang, Woon-Geun;Cai, Ling Zhi;Yang, Cheol-Yong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39-344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internal multi-band monopole antenna for mobile phone that can be used for smart phones. The proposed antenna has a small volume of $38{\times}8.5{\times}5\;mm^3$, ground size is $100{\times}60\;mm^2$, and covers the GSM900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880-960 MHz), DCS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 1710-1880 MHz), K-PCS (Korea-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 1750-1870 MHz), US-PCS (US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 1850-1990 MHz), Bluetooth (2400-2483 MHz), Wibro (2300-2390 MHz) and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2400-2483.5 MHz) bands. The measured peak gains of the implemented antenna are 1.15 dBi at 920 MHz, 3.58 dBi at 1795 MHz, 3.46 dBi at 1810 MHz, 2.91 dBi at 1920 MHz, 5.18 dBi at 2345 MHz, 3.37 dBi at 2442 MHz.

빌딩청소용 이동로봇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a Building Cleaning Mobile Robot)

  • 이수영;조원호;최병욱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74-80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remote monitoring and simulation system for a building cleaning mobile robot. It provides a tool of convenient 3D graphical map construction including network camera image viewer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robot. The 3D map is reconstructed from existing 2D building CAD data with DXF format using OpenGL graphic API. Through this system, it is possible to monitor and control the cleaning mobile robot from remote place. A practical experiment is performed to show the reli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monitoring system.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give efficient way of control and monitoring to building cleaning mobile robot.

  • PDF

모션캡처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3D 댄스 콘텐츠 제작 연구 (Research of Mobile 3D Dance Contents Construction Using Motion Capture System)

  • 김남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98-107
    • /
    • 2006
  • 모바일 기기의 성능(3D 엔진, 3D가속 칩 등)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이용자들의 실감 있는 콘텐츠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의 성능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의 제약으로 빠른 시간에 모바일용 실감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애니메이션 되는 캐릭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문 애니메이터가 수작업에 의해 키 프레임 방식으로 모션을 생성한다. 이는 모션 생성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모션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광학식 모션캡처 시스템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정확한 모션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모바일 3D 댄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아울러 대용량 모션캡처 데이터를 적은 리소스를 요구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키 단순화, 프레임 수 조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구현실험 결과를 통해 3D 댄스 콘텐츠 제작에 있어, 광학식 모션캡처 시스템 활용은 기존 일반적인 제작 공정에 비해 제작 시간 단축과 실감 있는 캐릭터 모션을 생성해냄으로써 실감형 콘텐츠 제작과 사용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2차원 레이저 거리계를 이용한 수직/수평 다각평면 기반의 위치인식 및 3차원 지도제작 (3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 Building (SLAM) using a 2D Laser Range Finder based on Vertical/Horizontal Planar Polygons)

  • 이승은;김병국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153-1163
    • /
    • 2014
  • An efficient 3D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 Building) method is developed for urban building environments using a tilted 2D LRF (Laser Range Finder), in which a 3D map is composed of perpendicular/horizontal planar polygons. While the mobile robot is moving, from the LRF scan distance data in each scan period, line segments on the scan plane are successively extracted. We propose an "expected line segment" concept for matching: to add each of these scan line segments to the most suitable line segment group for each perpendicular/horizontal planar polygon in the 3D map. After performing 2D localization to determine the pose of the mobile robot, we construct updated perpendicular/horizontal infinite planes and then determine their boundaries to obtain the perpendicular/horizontal planar polygons which constitute our 3D map. Finally, the proposed SLAM algorithm is validated via extensive simulations and experiments.

모바일 콘텐츠의 수묵 담채 렌더링을 위한 프로세싱 기법 (Processing Methods for Ink-and-Wash Painting in Mobile Contents)

  • 장현호;전재웅;최윤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37-146
    • /
    • 2011
  •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같은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콘텐츠 사용 증가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컴퓨터 그래픽스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묵화 및 담채 렌더링 기법과 같은 비실사적 기법을 모바일 기기 상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모바일 기기는 데스크 탑 환경에 비해 하드웨어적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실사적 렌더링 기법이 적용된 콘텐츠를 렌더링 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제약성을 고려한 특화된 렌더링 파이프 라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실사적 기법중에서도 수묵화 기법과 담채화 기법을 모바일 환경에서 구현하기 위한 3차원 그래픽스 렌더링 파이프라인과 쉐이딩 파일 전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을 이용하면 비사실적 렌더링이 적용된 다양한 3D 모바일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수묵 담채 렌더링 된 콘텐츠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al-time 3D multi-pedestrian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3D LiDAR point cloud for mobile robot

  • Ki-In Na;Byungjae Park
    • ETRI Journal
    • /
    • 제45권5호
    • /
    • pp.836-846
    • /
    • 2023
  • Mobile robots are used in modern life; however, object recognition is still insufficient to realize robot navigation in crowded environments. Mobile robots must rapidly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movements and shapes of pedestrians to navigate safely in pedestrian-rich spaces. This study proposes real-time, accurate, three-dimensional (3D) multi-pedestrian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a 3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point cloud in crowded environments. The pedestrian detection quickly segments a sparse 3D point cloud into individual pedestrians using a lightweight convolutional autoencoder and connected-component algorithm. The multi-pedestrian tracking identifies the same pedestrians considering motion and appearance cues in continuing frames. In addition, it estimates pedestrians' dynamic movements with various patterns by adaptively mixing heterogeneous motion models. We evaluate the computational speed and accuracy of each module using the KITTI dataset. We demonstrate that our integrated system, which rapidly and accurately recognizes pedestrian movement and appearance using a sparse 3D LiDAR, is applicable for robot navigation in crowded spaces.

차량 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지적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3D Cadastral Information by Mobile Mapping System)

  • 민관식;김재명;박병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7
    • /
    • 2014
  • 본 논문은 차량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 및 주변 건물에 대한 3차원 지적정보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차원 지적정보의 구축은 기존의 지적정보와 공간정보의 융합을 의미하며 토지정보와 함께 다양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등록 관리할 수 있는 입체적 토지관리를 의미한다. 기술적으로 GPS/INS 통합기술로 계산한 지형 지물들의 위치정보, 영상 또는 라이다 스캐너에 의한 형상정보 및 속성정보는 건축물 및 지상의 객체가 포함된 3차원 입체 지적정보를 구축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결과적으로 3차원 지적정보 구축을 위한 차량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의 적용으로 토지정보의 과학화 및 고도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PTCR을 이용한 3-D Glass 열성형 금형의 내부 온도 측정에 관한 연구 (Study of Mold Internal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PTCR for 3-D Glass Heat Forming)

  • 이호순;안해원;김시균;김기만;최성대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46-152
    • /
    • 2017
  • In order to make 3-D glass from 2-D glass for mobile device windows, a mold is used for heat forming. In this process,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is very important. Howeve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inside the mold is very difficult owing to the mold structure and the high temp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mold by using Process Temperature Control Rings (PTCR) and to compensate for temperature differences in the heat forming machine and inside the mold. The measuring method uses the ceramic material's shrinkage characteristics, which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mold at various locations.

이동 로봇을 위한 3차원 거리 측정 장치기반 비포장 도로 인식 (3D Depth Measurement System-based Unpaved Trail Recognition for Mobile Robots)

  • 김성찬;김종만;김형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95-399
    • /
    • 2006
  • A method to recognize unpaved road region using a 3D depth measurement system is proposed for mobile robots. For autonomous maneuvering of mobile robots, recognition of obstacles or recognition of road region is the essential task. In this paper, the 3D depth measurement system which is composed of a rotating mirror, a line laser and mono-camera is employed to detect depth, where the laser light is reflected by the mirror and projected to the scene objects whose locations are to be determined. The obtained depth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n image. Such depth images of the road region represent even and plane while that of off-road region is irregular or textured. Therefore, the problem falls into a texture identification problem. Road region is detected employing a simple spatial differentiation technique to detect the plain textured area. Identification results of the diverse situation of unpaved trail are included in this paper.

신속한 건축물 스캔을 위한 SLAM기반 이동형 스캔백팩 시스템 개발 고려사항 도출 (Identifying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SLAM-based Mobile Scan Backpack System for Rapid Building Scanning)

  • 강태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12-320
    • /
    • 2020
  • 3D 스캐닝과 역설계 기술은 기계/제조 분야에서 먼저 시작하였다. 건설 분야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 3D 모델링 활용 환경이 조성되어 3D 스캐닝 기술을 이용하여 공장 사전제작, 구조물 시공 검측, 플랜트 시설물, 교량, 터널 구조물 검측 등 건설 전반에 활용하고 있다. 스캔 방식 중 고정식 LiDAR는 이동식 LiDAR에 비해 정확도와 밀도가 높으나 정합 시간과 데이터 처리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인테리어, 건축물 관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가 필요하지 않은 분야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동하며 스캔할 수 있는 방법이 생산적이고 효율적이다. 이 연구는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실시간 점군 정합을 지원하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기반 스캔백팩 시스템 개발 시 고려사항을 도출한다. 본 연구를 통해 모바일 스캔 기술을 이용한 스캔 생산성 개선을 위해, SLAM기반 스캔백팩(Scan Backpack) 장치 개발을 위한 프레임웍, 시스템 및 컴포넌트 구조를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을 통해 개발 시 고려사항을 도출한다. 프로토타입 개발은 SLAM 및 스캔백팩 2단계로 수행해, 고려사항을 도출하고, 수행 결과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