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 prognathis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형태에 대한 하악이부의 형태 및 하악절치의 위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morphology of mandibular symphysis and location of lower incisor under the influence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김성식;박재억;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63-774
    • /
    • 1998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골격형태가 하악이부형태와 하악전치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후방적인 악골부조화가 나타나지 않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정상군)와, 하악전돌의 악골부조화를 보이며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하악전돌군)를 비교하여, 두개안면골격형태에 따른 하악이부형태와 하악전치의 위치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안면골격형태의 비교에서 하악에 관련된 ${\angle}SN-Mn,\;{\angle}FMA,\;{\angle}Pal-Mn,\;{\angle}LFH$은 하악전돌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지만,(p<0.05) 상악에 관련된 항목은 차이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p>0.n). 2. 하악전치를 둘러 싸고 있는 치조돌기는 하악전돌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수평적으로 좁고,수직적으로 긴 형태를 나타내었다(p<0.05). 하악이부의 형태에서도 수평적으로는 하악전돌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좁게 나타났으나, 수직적으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p>0.05). 3. 하악전돌군의 두개안면골격형태와 이부계측항목과의 상관관계에서 두개저와 하악하연에 기인하는 수직적인 악골부조화가 증가할수록 LaABH, LiACBW, LaACBW, LiABBW, SW, ${\angle}LISA$가 감소하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p<0.05), 전후방적인 악골부조화와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4. 하악전돌군에서 수직적인 두개안면골격형태를 나타내는 ${\angle}SN-Mn,\;{\angle}FMA,\;{\angle}Pal-Mn,\;{\angle}LFH$ 와 하악이부의 계측 항목인 LiACBW, LiABBW, SW, ${\angle}LISA$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여, 수직적인 악골부조화로 하악이부의 형태와 하악전치의 경사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p<0.001).

  • PDF

Novel three-dimensional position analysis of the mandibular foramen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ndibular prognathism

  • Kang, Sang-Hoon;Kim, Yeon-Ho;Won, Yu-Jin;Kim, Moon-Key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6권2호
    • /
    • pp.77-85
    • /
    • 2016
  • Purpose: To analyz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ina (MnFs) in patients diagnosed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aterials and Methods: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were collected from 85 patients. The vertical lengths of each anatomic point from the five horizontal planes passing through the MnF were measured at the coronoid process, sigmoid notch, condyle, and the gonion. The distance from the anterior ramus point to the posterior ramus point on the five horizontal planes was designated the anteroposterior horizontal distance of the ramus for each plane. The perpendicular distance from each anterior ramus point to each vertical plane through the MnF was designated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anterior ramus to the Mn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were examin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heights of the coronoid process, sigmoid notch, and condyle for the five horizontal plan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eight of the MnF, with the highest significance associated with the MnF-mandibular plan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0.424, 0.597, and 0.604, respectively). The horizontal anteroposterior length of the ramus and the distance from the anterior ramus point to the MnF were significant by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nF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ertical heights of the sigmoid notch, coronoid process, and condyle as well as to the horizontal anteroposterior length of the ascending ramus. These findings should be clinically useful for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ndibular prognathism.

하악전돌증 환자의 악교정 수술후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HARD AND SOFT TISSUE CHANC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OF MANDIBULAR PROGNATHISM)

  • 최유경;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07-724
    • /
    • 199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imate hard and soft tissue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for the correction of the mandibular prognathism and to describe interrelationship and ratios of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The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lateral cephalograms of 31 treated patients(17 males and 14 females) was used ; these patients had received combined orthodontic-surgical treatment by means of a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Their ages ranged from 16 to 31 years and mean age was 21.4 years. A computerized cephalometric appraisal was developed and used to analyse linear and angular changes of skeletal and soft tissue profile. The statistical elaboration of the data was made by means of $SPSS/PC^+$.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rrelations of soft and hard tissue horizont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high and the ratios were $97\%$ at LI, $107\%$ at ILS, and $93\%$ at Pog'. 2. The correlations of vertical changes at Stm, LI and horizontal changes at Pog were high$(26\%)$ and at the other areas were not statistically high. 3. The correlations of soft ad hard tissue vertical changes were not significantly high in all areas except Gn' $(30\%)$ and Me' $(56\%)$. 4. The soft tissue thick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upper lip and increased in lower lip, and the amount of changes after surgery was reversely correlated with initial thickness. 5. The facial convexity was increased and relative protrusion of upper lip was increased and that of lower lip was decreased. 6. The upper to lower facial height(Gl-Sn/Sn-Me') was increased and upper to lower jaw height(Sn-Stms/Stmi-Me') was increased.

  • PDF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술 후 안면비대칭의 개선에 따른 악관절장애 증상의 변화 (CHANGES OF TEMPOROMANDIULAR JOINT SYMPTOMS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THE ASYMMETRIC PROGNATHISM PATIENTS)

  • 김영삼;류동목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5호
    • /
    • pp.518-52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orthognatic surgery on asymmetric prognathism patients improve the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All 30 patients underwent mandibular setback with B-SSRO including 22 patients Le Fort I surgery in KyungHee medical center.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A cephalograms & transcranial radiographs were measured midline deviation in Mx and Mn, occlusal canting change, condyle position, the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were checked before surgery, within 1 month after surgery, $3{\sim}6$ months, 12-24 months after surgery respectively. Results: The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were relieved after surgery in 17 patients of 25 patients. Conclusion: Orthognatic surgery may benefit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in facial asymmetry patients by obtaining a postoperative stable occlusion and better physiologic neuromuscular function. Specially impovement of occlusal canting may reduce condyle displacement of midline deviation side and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하악전돌증 환자의 수술후 안모길이 및 폭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st-operative changes in facial height and width of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 김은주;문철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7-375
    • /
    • 2000
  • 하악전돌증(mandibular prognathism or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 환자의 경우 전후방과 수직적 악골(maxilla)의 부조화정도가 심하거나 안면측모(facial profile)에 대한 심미적 인식도가 클 때에는 교정치료만으로는 심미적으로 만족한 결과를 얻기가 어려우므로 악교정수술(orthognathc surgery)과 병행되어야만 한다. 이럴 경우 심미적인 개선은 환자의 치료결과에 대한 만족도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지만 미에 대한 기준을 객관화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어 그 평가도 환자자신의 주관적인 관점에 의하여 내려지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얼굴심미에 대한 기준이 서구인의 외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전통적인 둥그런 얼굴보다는 달걀형의 갸름한 얼굴모양을 선호한다. 이 연구는 하악전돌증으로 인한 악교정수술결과 술후 얼굴폭이 넓어져 수술전보다 얼굴의 모양이 둥그렇게 되었다고 호소하는 환자가 있어 시도하게 되었다. 악교정수술전후의 안모길이 및 폭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악교정수술을 받은 총 14명 환자(남자 8명, 여자 6명)의 정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skull PA analysis)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술후의 안모변화 및 환자의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4명의 환자중 3명($21.4\%$)이 얼굴이 넓어졌다고 답하였다. 2. 악교정수술(orthognathic surgery)후 하악골폭경 (mandibular width)은 A군은 변화가 없었으며, B군은 0.7mm 감소하였고, 안면폭경 (zygomatic width)은 A군에서는 0.45mm, B군에서는 0.66mm의 증가를 보였다. 3. 악교정수술후 얼굴길이의 변화는 A군에서는 상안면 고경(upper facial height)이 0.52mm증가, 하안면고경(lower facial height)이 1.19mm감소, 하악골 고경(mandibular height)이 0.7mm감소하였으며, B군에서는 상안면 고경이 0.67mm 감소, 하안면고경이 3.66mm 감소, 하악골 고경이 5mn감소하였다. 4. 수술후 안면폭경에 대한 안면고경(facial height)의 비율은 A군에서 $1.5\%$, B군에서 ,$3.6\%$ 감소하였다. 5. 수술후 안면폭경에 대한 하악골 길이(mandibular height)의 비율은 A군에선 $1.3\%$, B군에서 $4.4\%$ 감소하였다. 6. 수술후 하악골폭경에 대한 하악골 길이(mandibular height)의 비율은 A군에서 $1.3\%$, B군에서 $4.3\%$ 감소하였다. 7. 수술로 인한 얼굴폭의 변화는 무시할만한 것으로 판단되나 수술후 얼굴의 길이가 짧아져 상대적으로 얼굴의 폭이 넓어보일 수 있으므로 수술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 및 환자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 PDF

최근 10년간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에 관한 역학적 연구(1990${\sim}$1999) (An Epidemiologic study on the Orthodontic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Orthodontics,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Last 10 Years(1990${\sim}$1999))

  • 윤영주;김광원;황미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83-300
    • /
    • 2001
  • 본 연구는 부정교합 유형이나 지역 분포 및 시대적 변화 등을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환자의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자료나 정보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다가오는 21세기에 변모될 치의학을 준비하고 발전의 도약을 마련하기 위해, 향후 부정교합 치료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간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진단받은 부정교합 환자 중 진단용 모형과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된 3,070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정교합의 양상과 내원환자의 분포 및 변화추세를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내원환자의 수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남자가 43.5%, 여자가 56.5%로 여자가 남자보다 약 1.3배 더 많았다. 2. 연령별 분포에서 7세에서 12세 군의 내원율이 3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13세에서 18세 군이 32.0%, 19세에서 24세 군이 19.6%, 25세 이상 군이 7.1%, 0세에서 6세 군이 3.4%으로 가장 낮았다. 3. Hellman 치령별 분포에서 남녀 모두 영구치열의 완성기인 IVa가 5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내원환자의 거주지 분포에서 광주시내 거주자가 내원환자의 71.0%로 10km이내가 56.3%, 20km이내가 14.7%였다. 5. 내원환자의 주소(chief complaint)별 분포에서 전치부 반대교합이 22.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악전돌은 12.6%, 상악전치전돌은 12.2%를 보였다. 6. Angle씨 부정교합 분류별 분포에서 제I급 부정교합이 38.9%, 제 II급 1류 부정교합은 20.7%, 제 II급 2류 부정교합은2.0%, 제III급 부정교합은 38.4%였으며, 남자에서는 제III급 부정교합이, 여자에서는 제I급 부정교합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7. 치아의 수직관계이상에 있어서 제II급 1류와 2류 부정교합에서는 과개교합이 24.3%와 56.7%로, 제III급 부정교합에서는 개교합이 2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에 있어서 제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골 발육부전으로 인한 경우가 39.3%, 제I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골 과다성장으로 인한 경우가 4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9. 교정치료시 발치유무에 따른 분포에 있어서 발치 치료는 33.1%, 비발치 치료는 66.9%를 차지하였고, 발치치료 중 38.6%가 상하악 좌우측 제1소구치를 발거하였다. 10. 악교정 수술환자는 매년 계속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전체 환자의 7.9%가 악교정 수술을 받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