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 concentration

검색결과 1,095건 처리시간 0.031초

LaMnO3형 페롭스카이트 산화물에서 입자상물질의 촉매연소반응 (Catalytic Combustion of Carbon Particulate over LaMnO3 Perovskite-Type Oxides)

  • 이용화;이근대;박성수;홍성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7호
    • /
    • pp.619-626
    • /
    • 2004
  • We have studied the catalytic combustion of soot particulates over perovskite-type oxides prepared by malic acid method, The catalysts were modified to enhance the activity by substitution of metal into A or B site of perovskite oxide. In addition, the reaction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O_2$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The partial substitution of alkali metals into A site in the $LaMnO_3$ catalyst, enhanced the catalytic activity in the combustion of carbon particulate and the activity was shown in the order: Cs > K > Na. For the $La_{1-x}Cs_{x}MnO_{3}$ catalysts, the catalytic activity showed the maximum value with x=0.3 but no more increase on the catalytic activity was shown with x > 0.3. For the $La_{0.8}Cs_{0.2}MnO_{3}$ catalyst, the substitution of Fe or Ni increased the ignition temperature. The ignition temperature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O_2$ concentration, however, no more increase in the catalytic activity was shown with $O_2$ concentration > 0.2. The introduction of NO into reactants showed no effect on the catalytic activity.

Oxidation of Chromium(III) to Chromium (VI) by Manganese Oxides : Variability in Mineralogy

  • Kim, Jae Gon
    • 한국암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석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29
    • /
    • 1999
  • Manganese (Mn) oxides in soils and sediments differ in structure and composition. The influence of that diversity on the chromium (Cr) oxidation is the subject of this report. Oxidation of Cr(III) to Cr(VI) by coarse clay size Mn oxides (synthetic pyrolusite and natural lithiophorite, todorokite, and bimessite) was studied. Chromium oxidation by Mn oxides was initially fast and followed by a slow reaction. More Cr was oxidized by the Mn oxides at lower pH and higher initial Cr(III) concentration in solution. Birnessite had the highest chromium oxidation capacity per unit external surface area (COCUESA) and lithiophorite had the lowest COCUESA. The kinetics of Cr oxidation and COCUESA of Mn oixdes were apparently controlled by reactivity of surface Mn, mineralogy, and solution properties (pH and Cr(III) concentration).

  • PDF

서울지역 은행엽중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eavy Metal Content of Ginkgo Leaves Growing in All Around Seoul)

  • 김민영;강희곤;길혜경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4권1_2호
    • /
    • pp.35-45
    • /
    • 1989
  • Studies on the heavy metal content of ginkgo leaves growing in all around Seou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nd soluble sulfur in ginkgo leaves. These leaves are found growing in park,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s all around Seoul. These analyzed the quantity of Cd, Co, Cu, Fe, Mn, Ni, Pb, Zn, Hg and soluble surfur in separate samples of washed and unwashed leav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is order of heavey metal concentration was found in Seoul area,: Fe>Mn>Zn>Ni>Pb>Cu>Co>Cd>Hg. 2. Pb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commercial area than in the other areas, and it concentration in washed leaves was higher 96~100% and unwashed leaves 85~170%. 3. In the residential area Ni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er where about seven times more Ni as found on the top part of the leaves. 4. Water soluble surfur was higest in the inudstrial area, but the percentage on top of the leaves was only 0.04~0.05% simillar with other area. 5. Fe, Zn and Ni were almost positively correlated to each component but negatively correlated between Mn and souble sulfer. All of content except Mn and Ni were significance between each area in washed and unwashed leaves.

  • PDF

정수처리를 위한 전오존-세라믹 막여과 조합공정에 관한 연구(I) : 망간 제거 중심 (Study of a hybrid process combining ozonation and ceramic membrane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I) : manganese removal)

  • 진광호;임재림;이경혁;왕창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33-640
    • /
    • 2008
  • In this research, the $3.6m^3/day$ scale pilot plant consisting preozonation, coagulation, flocculation, and ceramic membrane processes was operated for long term perio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for treating lake water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manganese. The higher concentration of dissolved manganese($Mn^{2+}$) was effectively oxidized to the bigger insoluble colloidal manganese ($MnO^2$) by 1~2 mg/L ozone. The colloidal manganese reacted with coagulant (poly aluminium chloride, PAC) and then formed the big floc. Ceramic membrane rejected effectively manganese floc during membrane filtration. Dissolved organic carbon(DOC) removal was dependent upon $Mn^{2+}$ concentration. While average $Mn^{2+}$ concentration was 0.43 and 0.85 mg/L in raw water, DOC removal rate in preozonation was 26.5 and 13.5%, respectively. The decrease rate of membrane permeability was faster without preozonation than with preozonation while membrane fouling decreased with NOM oxidation by ozone. In conclusion, raw water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manganese can be effectively treated in preozonation-coagulation-ceramic membrane filtration system.

액상반응법으로 제조한 $\textrm{Zn}_2\textrm{SiO}_4$:Mn 녹색 형광체의 발광특성 (Photoluminescent Properties of $\textrm{Zn}_2\textrm{SiO}_4$:Mn Green Phosphors Prepared by the Solution Reaction Method)

  • 박응석;장호정;조태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6-50
    • /
    • 1999
  • 액상반응법에 의해 $\textrm{Zn}_{2-x}\textrm{Mn}_{x}\textrm{SiO}_{4}$ 녹색 형광체를 합성한 후 소성온도($900^{\circ}C$-$1200^{\circ}C$) 및 Mn 활성제 농도(x=0.01~0.20)에 따른 발광특성과 결정특성을 조사하였다. 147nm와 254nm 여기원을 사용한 경우 형광체의 소성온도가 $900^{\circ}C$에서 $120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상대발광피크강도는 약 4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XRD 분석결과 $1100^{\circ}C$이상의 소성온도에서 $\textrm{Zn}_{2}\textrm{SiO}_{4}$:Mn 녹색 형광체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willemite 결정구조를 보여주었다. $1200^{\circ}C$의 온도로 소성된 $\textrm{Zn}_{2-x}\textrm{Mn}_{x}\textrm{SiO}_{4}$형광체 시료의 경우 147nm 여기원에서 Mn 활성제 농도가 x=0.02에서 최대 발광강도를 나타내었으며 x=0.10 이상에서 발광강도가 급격히 저하하는 농도 칭 현상이 나타났다. SEM 분석결과 형광체 입자는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보여주었으며 $1200^{\circ}C$에서 소성된 형광체 입자크기는 약 2~3$\mu\textrm{m}$이었다.EX>이었다.

  • PDF

망간 노출이 흰쥐의 정소기능과 혈청 프로락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nganese Exposure on the Testis Function and Serum Prolactin Concentration in Rat)

  • 이채관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321-327
    • /
    • 2009
  • 망간은 정소 독성을 나타내며, 뇌기저핵에 작용하여 혈청 프로락틴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혈청 프로락틴 농도 상승에 의한 과프로락틴혈증(hyperprolactinemia)은 정소의 정자 생성을 억제한다. 본 연구에서는 망간의 전신 노출이 흰쥐 정소의 정자 생산과 혈청 프로락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대조군 $(0.0mg/m^3)$과 망간 노출군 (Mn $1.5mg/m^3$)으로 나누고, 노출군은 다시 노출 기간에 따라 4주와 13주 노출군 등 4군으로 분류하였다(n=10). 노출 기간에 따라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와 사료 섭취량 등 일반적 소견 관찰, 혈액과 정소의 망간 농도, 정자의 수와 기형 등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망간 노출에 따른 혈청 프로락틴 농도를 조사하여 망간 노출 조건에 따른 혈청 프로락틴 농도 변화 및 정소 독성을 조사하였다. 망간 노출 4주 및 13주군에서 노출기간에 따라 혈액 및 정소의 망간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대조군에 비하여 망간 노출군에서 노출기간에 따라 정자의 수가 감소되었으며, small head와 bent tail 등 기형 정자의 빈도는 증가하였다. 혈청 프로락틴의 농도는 망간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 및 사료 섭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1.5mg/m^3$ 농도의 아만성 망간 노출은 흰쥐의 혈청 프로락틴 농도를 증가시키고, 정소 독성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전신 노출에 의한 망간의 흰쥐 정소 독성의 무유해영향농도(NOAEL)는 $1.5mg/m^3$ 이하로 예측된다.

  • PDF

In-Situ Spectroelectrochemical Studies of Manganese(II) Oxidation

  • Zhang, Haiyan;Park, Su-Moon
    • 분석과학
    • /
    • 제8권4호
    • /
    • pp.569-574
    • /
    • 1995
  • In-situ spectroelectrochemica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oxidation of Mn(II) at platinum, gold, lead dioxide, and bismuth doped lead dioxide electrodes. The Mn(III), $MnO_2$, and/or ${MnO_4}^-$ species are produced depending on experimental conditions employed during electrolysis. Mn(III) is shown to be produced from a very early stage during the anodic potential scan and undergo disproportionation-conproportionation reactions depending on the relative concentration of each species near the electrode surface. An oxidation mechanism consistent with these observations is proposed.

  • PDF

소성 및 산소농도 조건에 대한 Mn-Cu-TiO2 촉매의 탈질 특성 (NOx removal of Mn-Cu-TiO2 catalyst for the calcination and oxygen concentration conditions)

  • 장현태;차왕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00-905
    • /
    • 2015
  • 본 Mn-Cu-$TiO_2$ Civil 촉매를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NH_3$-SCR 공정에서 소성조건 및 산소농도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소성된 촉매시료를 사용하여 $H_2$-TPR 시스템에서 반응온도에 따른 수소전환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소성조건에 대한 비표면적변화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적합한 소성온도는 약 $300^{\circ}C$이며, 소성온도가 $500^{\circ}C$이상일 경우 Mn, Cu 성분의 저온활성이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SCR반응에서 기상산소는 중요한 반응변수이며 반응에 적합한 농도는 약 8vol%이었다.

졸-겔법으로 제조한 Zn2SiO4:Mn, M(M=Cr, Ti) 녹색 형광체의 발광특성 (Luminescence Properties of Zn2SiO4:Mn, M(M=Cr, Ti) Green Phosphors Prepared by Sol-gel Method)

  • 안중인;한정화;박희동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637-643
    • /
    • 2003
  • PDP(Plasma Display Panel)용 녹색 형광체의 발광특성과 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Zn$_2$SiO$_4$:Mn에 co-dopant로 Cr과 Ti 를 각각 첨가하여 졸-겔법으로 합성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Zn$_2$SiO$_4$:Mn, M(M=Cr, Ti) 형광체는 고상반응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110$0^{\circ}C$에서 willemite 구조의 단일상이 형성되었다. 제조된 Zn$_2$SiO$_4$:Mn, M(M=Cr, Ti) 형광체에 대하여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VUV) 영역의 147 nm 여기광원을 사용하여 발광특성을 조사하였다. Co-dopant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n의 농도는 2 ㏖%, $H_2O$/TEOS의 비율은 36.1로 고정하였고, 이때 Cr과 Ti 모두 0.1 ㏖%에서 가장 좋은 발광특성을 나타냈다. Cr이 co-doping된 경우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잔광시간은 짧아지나 발광강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Ti를 co-doping했을 때는 오히려 낮은 농도에서 발광강도의 증가를 보이며 2.0 ㏖%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Co-Mn-Br계 균일촉매를 이용한 2,6-Dimethylnaphthalene의 산화반응 (Oxid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by Co-Mn-Br Based Homogeneous Catalyst)

  • 김동범;박승두;차운오;노항덕;곽규대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863-87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촉매로 Co-Mn-Br계를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온화한 반응조건에서 2,6-Dimethylnaphthalene(DMN)의 산화 반응 특성과 촉매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ell}$의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촉매의 농도를 조절하며 실험하였다. 먼저 반응시간에 따른 반응중간생성물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여 반응경로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2-formyl-6-naphthoic acid, 2-methyl-6-naphthoic acid, 그리고 2-hydroxymethyl-6-methylnaphthalene이 반응중간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NDA)의 수율은 Co와 Br의 농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제품의 품질 척도 중 하나인 color-b는 Mn의 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매연소는 Mn과 Br의 농도조절로 줄일 수가 있었다. 조촉매로 Ce/Cu 화합물을 첨가함으로 NDA의 수율을 증가시키고 용매연소를 줄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