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yeokguk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동결건조 미역국을 이용한 방사선 멸균 우주식품 개발 (Development of Freeze-dried Miyeokguk, Korean Seaweed Soup, as a Space Food Sterilized by Irradiation)

  • 이주연;송범석;박진규;조원준;김재훈;윤요한;최종일;이주운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9-6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al (Total aerobic count, Coliform, Coagulase positive Staphylococci, Salmonella, Yeast/Mold, 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 Hunter'color values ($L^*$, $a^*$, $b^*$) and organoleptic quality of freeze-dried Miyeokguk, Korean seaweed soup in space food. Bacillus cereus was 1 log level while not detected in the sample irradiated at 10 kGy. Hunter's color values of the samples irradiated less than 10 kG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 showed that the preference scores in all the sensory properties decreased when it was irradiated over 10 kGy, but sensory score of less than 10 kGy samples was similar in all terms.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gamma irradiation at 10 kGy was enough to sterilize the freeze-dried Miyeokguk without deterioration of sensory quality.

유아교육기관의 급식 기호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Satisfaction and Preference with Meal Service of Child Education Center)

  • 김선현;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924-93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al service conditions in child education centers as well as th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levels of preschoolers. Preschoolers' menu preferences for bab, miyeokguk, baechu-kimch, jajangmyeon, and yogurt were all high. There were also high preferences for jjim, jorim, bbokkum, and tugim. Attention articles meal service strong concern for check family communication tools, and parents had passive for frequency of giving parent's opinion.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on importance to meal service were purchased a fresh groceries, balance nourishment for preschooler and meal service menu for kid's health promotion when ranke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on satisfaction to meal service were hygiene education, mealtime and place, equipped with a sanitary feeding facilities and purchased a fresh groceries when ranked.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한국음식의 선호도와 인지도 분석 (Analysis of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Korean Foods through Systematic Review)

  • 추한나;권용석;김기옥;황유진;조수묵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03-52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30 representative Korean dishes by a systematic review of preferences and recognition of Korean foods. The papers for the review were located using the keywords 'hansik', 'hanguk eumsik' from DBpia, KISS, NDSL and RISS, and 18 relevant papers were finally short-listed. To analyze the preferences of Koreans and foreigners for Korean dishes, respondents were chosen from various regions such as Asia, Europe, South Pacific, Africa, and North/South America. A total of 4,053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selected papers and Korean dish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based on books publish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mong the main dishes, two kinds of cooked rice were selected, bibimbap and kimbap. Also, noodles, dumplings, and sliced rice cake soup varieties mul-naengmyeon, guksujangguk, mandu, and tteokguk were selected as main dishes. The side dishes selected included 6 kinds of soup, miyeokguk, yukgaejang, samgyetang, gomtang, seolleongtang, and galbi-tang. Other side dishes selected were six types of stews namely doenjang-jjigae, kimchi-jjigae, sundubu-jjigae, haemultang, maeuntang, and dakbokkeum-tang. Three kinds of grilled side dishes selected were bulgogi, galbi-gui, and samgyeopsal-gui. Galbi-jjim was selected in the category of braised or steamed foods. Tteokbokki and japchae were the stir-fried food selected. Pan-fried foods and fried foods selected included a kind of haemul-pajeon and dak-gangjeong respectively. Seasoned vegetables selected were samsaek-namul including gosari-namul, sigeumchi-namul and doraji-namul. Two kinds of baechukimchi and kkakdugi were selected as kimchies, and sikhye was selected in the category of beverages and tea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selection criteria in developing recipes for representative Korean menus.

상주지역의 불천위제사 제수문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Sacrifice Food of Bulchunwi Sacrificial Ceremony in Sangju Area)

  • 김귀영;김보람;박모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39-751
    • /
    • 2015
  • 최근 6차 산업이 부각되면서 종가문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종가의 권위를 상징하는 불천위제례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불천위를 모시는 종가는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봉화, 영주, 예천, 상주, 영덕, 영양 등 주로 경북 북부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 경상북도 상주에서도 불천위를 모시는 종가가 14위나 되어 이들 종가를 대상으로 불천위 진설도와 제수 실태를 현장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에서 2015년 동안 진행되었고, 소재 노수신, 월간 이석, 우복 정경세, 조당 이목수의 불천위 제례를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 불천위 제수의 진설과 제수 품목, 조리법에 국한하였고, 심층인터뷰와 더불어 문헌을 비교 검토하였다. 1. 진설의 열은 월간이 4열이고, 다른 종가에서는 5열로 진설하였다. 열에 따른 진설 품목은 5열이 실과류, 4열이 나물류, 3열이 탕류, 2열이 적, 편류 1열이 메, 갱, 면으로 구성되었다, 진설품목은 메, 갱, 면, 장, 포, 침재, 대추, 밤, 배, 감, 사과, 호두, 고사리, 도라지, 조기, 편, 쌈은 공통적이나, 적, 탕, 전, 나물류는 종가별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탕은 우복종가가 7탕으로 가장 많고, 소재와 입재종가는 5탕, 월간은 3탕을 진설하였다. 2. 적은 월간종가가 계적, 어적, 육적을 쌓아 올려 하나의 제기에 담아 도적으로 진설하였고, 우복종가는 계적, 어적, 육적을 각각의 제기에 담아 진설하였다. 그리고 소재종가와 입재종가는 계적을 별도로 진설하고, 육적과 어적은 하나의 틀에 담아 도적으로 진설하였고, 어적을 별도로 진설하여 이중으로 진설하였다. 포는 대구포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진설의 위치가 월간종가에서는 우포(右脯)로 진설되고, 다른 종가에서는 좌포(左脯)로 진설하였다. 3. 제수품으로 생고기 사용 여부는 우복종가에서 생고등어, 입재종가에서 생조기, 소재종가에서 육회를 사용하는 정도였다. 즉,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조기와 같은 육어고기는 대부분 익혀 사용하였다. 그 외 대부분 제수는 무침이나 데치는 조리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갱은 미역국이 2종가, 탕국이 2종가였는데, 탕국은 탕의 식재를 삶고 남은 육수를 활용한 것이다. 특히 월간종가는 미역탕국을 갱으로 사용하였다. 4. 제수품목 중 종가에서 주문하는 음식은 유과, 약과, 본편(시루떡, 찰떡, 증편, 경단), 술이고 나머지 대부분의 제수는 당일 종가에서 준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천위 제례의 음식문화는 의례적 요소가 강하다. 이러한 식문화는 종가의 권위를 상징하고, 대외적으로 표명하고자 했던 조선중기에 비교적 정착되었다. 하지만 조선후기 일제 강점기와 전쟁, 산업화 등 역사적 격동기를 함께 하면서 종가의 불천위 제례 문화가 많은 변화를 거듭하였다. 문화는 그 자체만으로 한 시대를 파악하는데 의미가 있다. 종가의 통과의례 중 핵심적 문화행위인 제례, 그 중에서도 종가의 존재와 정체성에 직결되는 불천위 제례에 대한 현장조사와 그에 대한 고증연구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