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sing-featur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대형참사시 컴퓨터를 이용한 법의치과학적 개인식별 (A Study on the Computer Assisted Dental Identification in Mass Disaster)

  • 신경진;최종훈;윤창록;김종열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1호
    • /
    • pp.81-94
    • /
    • 1999
  • This study intends to find usefulness of the computer assisted dental identification in mass disaster. The variety of dental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research of dental records of 508 adults. And a computer assisted simulation program was used to evaluate the selectivity of dental identification. Findings were as follows : 1. Combinations of dent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155 types. The most various dental characteristic was showed on the mandibular first molar. 99.0% of subjects had dental characteristics for dental identification. 2. The posterior teeth, in comparison with anterior teeth, showed higher selectivity in dental identification which was enhanced by information on the material, type and cavity of the restoration. 3. The variety of dental characteristics was mainly found on the combinations of missing tooth with the material, type and cavity of the restoration. 4. The computer assisted dental identification program, with informa- tion about one's tooth state, made individual identification possible when there was only a part of the teeth in a corpse. 5. The computer assisted dental identification had considerably high selectivity based on the variety of dental characteristics. And it was also performed faster and preciser than the existing identification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various combinations of the feature of the tooth itself with dental characteristics caused by a certain type of treatment on the teeth. And using the computer assisted dental identification program based on this, dental identification can be more efficient economically and more useful than any other forensic identification methods.

  • PDF

표본조사에서 무응답 가중치 조정층 구성방법에 따른 효과 (Forming Weighting Adjustment Cells for Unit-Nonresponse in Sample Surveys)

  • 김영원;남시주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1호
    • /
    • pp.103-113
    • /
    • 2009
  • 표본조사에서 무응답은 비 표본추출오차를 발생시키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단위무응답이 발생하는 경우 무응답에 의한 편향을 줄이는 동시에 추정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단위무응답 조정층을 구성해 무응답 가중치 조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응답 조정층 구성과 관련된 기존의 이론들을 정리하고 어업총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적인 모의실험을 통해 효과적으로 무응답 조정층을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모의실험결과 응답성향에 따른 조정층 구성보다는 예측평균을 기준으로 한 조정층 구성이 효율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다른 관심변수에도 적용될 수 있는 로버스트한 조정층 구성을 위해서는 예측평균만을 고려하는 것보다 응답성향과 예측평균을 모두 고려한 조정층 구성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무응답 조정을 위한 응답률 산출에 있어서 설계가중치의 적용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설계가중치 적용 여부는 추정결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실내위치기반 치매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mentia Patient Ca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door Location Using Bluetooth Beacon)

  • 권대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217-22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배회가능성이 있는 치매환자의 실종예방을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식의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치매환자의 실내위치기반 모니터링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치매환자의 관리범위내 존재유무를 확인해 주며 치매환자가 비콘의 신호수신 설정거리를 이탈하면 즉, 지정된 관리구역을 벗어나면 비상메시지가 보호자와 관리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주요 특성은 비콘을 착용한 치매환자를 특정장소에 설치된 비콘 신호수신용 스마트 기기(AP)에서 신호를 감지하여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가역적 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실내위치기반 치매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요양병원, 재가요양시설 등에서 생활하는 배회가능성이 있는 치매환자의 실종예방에 기여하는 효과적 시스템으로 생각된다.

Displacement-based design approach for highway bridges with SMA isolators

  • Liu, Jin-Long;Zhu, Songye;Xu, You-Lin;Zhang, Yunfeng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8권2호
    • /
    • pp.173-190
    • /
    • 2011
  • As a practical and effective seismic resisting technology, the base isolation system has seen extensive applications in buildings and bridges. However, a few problem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lead-rubber bearings have been identified after historical strong earthquakes, e.g., excessive permanent deformations of bearings and potential unseating of bridge decks. Recently the applications of shape memory alloys (SMA) have received growing interest in the area of seismic response mitigation. As a result, a variety of SMA-based base isolators have been developed. These novel isolators often lead to minimal permanent deformations due to the self-centering feature of SMA materials. However, a rational design approach is still missing because of the fact that conventional design method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se novel devices. In light of this limitation, a displacement-based design approach for highway bridges with SMA isolators is proposed in this paper. Nonlinear response spectra, derived from typical hysteretic models for SMA, are employed in the design procedure. SMA isolators and bridge pier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scribed performance objectives. A prototype reinforced concrete (RC) highway bridge is designed using the proposed design approach. Nonlinear dynamic analyses for different seismic intensity levels are carried out using a computer program called "OpenSees". The efficacy of the displacement-based design approach is validated by numerical simulations. Results indicate that a properly designed RC highway bridge with novel SMA isolators may achieve minor damage and minimal residual deformations under frequent and rare earthquakes. Nonlinear static analysis is also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ilure mechanism and the self-centering ability of the designed highway bridge.

포렌식에서 활용 가능한 삼성 스마트폰 백업 파일 분석 기법 (Analysis Scheme on Backup Files of Samsung Smartphone available in Forensic)

  • 이규원;황현욱;김기범;장태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8호
    • /
    • pp.349-356
    • /
    • 2013
  •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들이 사용되면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비롯한 대용량의 데이터들이 스마트폰에 저장되고 있다. 그러나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의 잦은 업데이트는 데이터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으며, 개인의 소중한 데이터를 분실할 위험성을 갖게 한다. 이로 인하여 데이터의 백업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백업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포렌식 관점에서 이 백업 파일들은 스마트폰의 은닉 및 데이터의 고의 삭제시 중요한 수사 대상이 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세계에서 스마트폰 점유율이 가장 높은 삼성 스마트폰의 Kies 백업 파일에 대한 구조를 분석하고, 백업 파일을 복원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다양한 유형의 파일들을 분석하여 타 도구들 대비 높은 파일 추출 결과를 보였다.

영상특징 정렬을 이용한 기하학적 공격에 강인한 워터마킹 기법 (Robust Watermarking Scheme Against Geometrical Attacks Using Alignment of Image Features)

  • 고윤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24-63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이동 및 회전과 같은 기하학적 공격에 강인한 새로운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캐릭터 영상과 같은 임의의 모양을 가지는 영상에 적용하기 위한 기존 극좌표계 이산변환 (PSADT:Polar Coordinates Shape Adaptive Discrete Transform)에 의한 기법을 기반으로 한다. 극좌표계 이산변환에 의한 기법은 영상 객체의 모양이 유지되면 각종 기하학적 공격에 대하여 완벽한 강인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일반 사각형 영상에는 워터마크를 삽입하고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워터마크 신호의 불일치로 인하여 적용에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워터마크 신호를 영상에 내재된 특정인 모서리를 이용하여 정렬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즉 제안된 방법은 악의적 공격에 대해서도 그 모양이나 위치가 바뀌지 않는 일관된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영역에 극좌표계 이산변환에 의한 기법을 사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방법이 압축뿐만 아니라 기하학적 공격에 대해서도 강인함을 보인다.

  • PDF

지표면 식생 변화 감시를 위한 NDVI 영상자료 시계열 시리즈의 적응 재구축 (Adaptive Reconstruction of NDVI Image Time Series for Monitoring Vegetation Changes)

  • 이상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5-105
    • /
    • 2009
  • 지상 관측으로부터 수집된 시계열 원격탐사 자료는 관측환경의 악화와 감지 시스템의 기계적 고장과 같은 관측 장애요인에 의해 많은 미관측 및 악성 자료를 가지게 된다. 육상의 지표면 parameters는 기후와 주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육상 관측 위성 영상에 나타나는 많은 물리적 과정은 계절 주기에 따른 시간적 변화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적응 feedback 시스템은 계절에 따라 변하는 물리적 과정을 포함하는 시계열 원격 탐사 영상 시리즈를 재구축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계절적 변화를 추적하기 위하여 하모닉 모형을 사용하고 수치 영상 모형의 공간적 의존성을 나타내기 위해 Gibbs Random Field를 사용한다. 재구축 과정을 통하여 구성된 적응 하모닉 모형을 사용하여 지표면 연속적 변화를 감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 한반도로부터 관측된 AVHRR 영상 시리즈를 일 주일 간격으로 정적 합성하여 NDVI 시리즈를 구하고 하모닉 모형을 사용하는 적응 재구축 시스템을 이 NDVI 시리즈에 적용하여 한반도 식생 변화를 추적하였다. 연구 결과는 하모닉 적응 재구축 시스템이 실시간 지표면 변화 감시를 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는 잠재성을 보여준다.

쾌삭 303계 스테인리스강 소형 압연 선재 제조 공정의 생산품질 예측 모형 (Quality Prediction Model for Manufacturing Process of Free-Machining 303-series Stainless Steel Small Rolling Wire Rods)

  • 서석준;김흥섭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2-22
    • /
    • 2021
  • This article suggests the machine learning model, i.e., classifier, for predicting the production quality of free-machining 303-series stainless steel(STS303) small rolling wire rods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lassifier, manufacturing data for 37 operating variables were collected from the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MES) of Company S, and the 12 types of derived variables were gener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data preprocessing, exploratory data analysis, feature selection, machine learning modeling, and the evaluation of alternative models. In the preprocessing stage, missing values and outliers are removed, and oversampling using SMOTE(Synthetic oversampling technique) to resolve data imbalance. Features are selected by variable importance of LASSO(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regression, extreme gradient boosting(XGBoost), and random forest models. Finally, logistic regression, support vector machine(SVM), random forest, and XGBoost are developed as a classifier to predict the adequate or defective products with new operating conditions. The optimal hyper-parameters for each model are investigated by the grid search and random search methods based on k-fold cross-valid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XGBoost showed relatively high predictive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models with an accuracy of 0.9929, specificity of 0.9372, F1-score of 0.9963, and logarithmic loss of 0.0209. The classifier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productivity by enabling effective managemen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STS303 small rolling wire rods.

다중소스 데이터 융합 기반의 가스 누출 예측을 위한 선형 보간 및 머신러닝 기법 (Linear interpolation and Machine Learning Methods for Gas Leakage Prediction Base on Multi-source Data Integration)

  • 홍고르출;조겨리;김미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3-4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요인을 고려한 천연 가스 누출 정도 예측을 위해 관련 요인을 포함하는 기상청 자료와 천연가스 누출 자료를 통합하고, 요인 분석을 기반으로 중요 특성을 선택하는 머신러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3단계 절차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통합 데이터 셋에 대해 선형 보간법을 수행하여 결측 데이터를 보완하는 전처리를 수행한다. 머신러닝 모델 학습 최적화를 위해 OrdinalEncoder(OE) 기반 정규화와 함께 요인 분석을 사용하여 필수 특징을 선택하며, 데이터 셋은 k-평균 클러스터링으로 레이블을 지정한다. 최종적으로 K-최근접 이웃, DT(Decision Tree), RF(Random Forest), NB(Naive Bayes)의 네 가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가스 누출 수준을 예측한다. 제안된 방법은 정확도, AUC, 평균 표준 오차(MSE)로 평가되었으며, 테스트 결과 OE-F 전처리를 수행한 경우 기존 기법에 비해 성공적으로 개선되었음을 보였다. 또한 OE-F 기반 KNN(OE-F-KNN)은 95.20%의 정확도, 96.13%의 AUC, 0.031의 MSE로 비교 알고리즘 중 최고 성능을 보였다.

인공지능 기반 빈집 추정 및 주요 특성 분석 (Vacant House Prediction and Important Features Explora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In Case of Gunsan)

  • 임규건;노종화;이현태;안재익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3-72
    • /
    • 2022
  • The extinction crisis of local cities, caused by a population density increase phenomenon in capital regions, directly causes the increase of vacant houses in local cities. According to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Gunsan-si has continuously shown increasing trend of vacant houses during 2015 to 2019. In particular, since Gunsan-si is the city which suffers from doughnut effect and industrial decline, problems regrading to vacant house seems to exacerbat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of a system which can predict and deal with the building that has high risk of becoming vacant house through implementing a data driven vacant house prediction machine learning model. Methodologically, this study analyzes three types of machine learning model by differing the data components. First model is trained based on building register, individual declared land value, house price and socioeconomic data and second model is trained with the same data as first model but with additional POI(Point of Interest) data. Finally, third model is trained with same data as the second model but with excluding water usage and electricity usage data. As a result, second model shows the best performance based on F1-score.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Machine, XGBoost and LightGBM which are tree ensemble series, show the best performance as a whole. Additionally, the complexity of the model can be reduced through eliminating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variables and vacant house status lower than the 0.1 based on absolute valu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XGBoost and LightGBM based machine learning model, which can handle missing values, as final vacant house predic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