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sile Live-Fir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정밀유도무기 사격시험 결과 기반 신뢰수준 분석 (An Analysis on Confidence Level of Domestic Precision Guided Missile(PGM) based on Live-fire Test Results)

  • 서보길;윤영호;김보람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15-22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current states of domestic Precision Guided Missile(PGM) by analyzing Live-fire test results using general methods to get the Confidence Levels. Methods: Live-fire test results were used to get Confidence Levels of PGM. The Confidence Levels were derived by two general methods. The first method was Binomial distribution and second was convergence of Hypergeometric distribution and Bayes' rul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ore Live-fire tests of PGM are performed, the higher Confidence Level of PGM will be estimated. And the number of Live-fire tests are related to a unit price of PGM. This results means that the increase of live-fire test, which is useful data for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evelopment Tests / Operation Tests for PGMs, is only way to enhance the Confidence Levels of each PGM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e-fire tests and Confidence Levels of PGMs and it will be used on Live-fire Test & Evaluation of PGMs for reference.

유도탄 실사격 및 반응시간 분석보고서를 활용한 함정 통합전투성능 운용시험평가 발전방안 제시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hip Integrated Combat Capability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 using Missile Live-Fire and Reaction Time Analysis)

  • 김병준;강정석;허장완;고장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9-26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missile live-fire during the ship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T&E) as a means of verifying the integrated combat capability(ICC) of various systems installed on naval ships. The research method identified domestic and foreign T&E systems and cases, and reports related to ICC, which were written during the ship's design stage. As a result of research, Republic of Korea is not conducting the missile live-fire at the ship T&E stage due to the lack of relevant systems, while the U.S. is conducting it based on the mission-based T&E and the end-to-end test system. As a way to improve within the current domestic ship acquisition systems, the reaction time analysis, a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f ICC calculated at the ship basic design stage, was proposed to be verified by missile live-fire during ship operational T&E.

사격시험 결과에 따른 정밀 유도무기 발사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Launch Performance for Precision Guided Missile by Live-fire test results)

  • 서보길;최낙선;윤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88-494
    • /
    • 2019
  • 양산되어 군에 전력화되는 정밀 유도무기의 경우, 장기 저장된 이후 사격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최종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군에서 운용되고 있는 ${\bigcirc}{\bigcirc}$ 유도무기 또한 군 전력화 이후 실사격 시험을 통하여 유도무기의 성능 및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특히, '00년 군 주관 실 사격시험에서는 유도무기 발사관 전방덮개조립체 구성품인 '링, 지지용'이 유도무기가 발사되는 과정에서 추진 날개에 걸려 함께 이탈한 결과가 확인되었고, 이는 추진 날개 전개를 방해하여 유도무기 비행 성능에 영향을 주었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 실 사격시험을 성공한 유도무기 발사관을 조사한 결과, '링, 지지용'의 발사관 이격 현상이 확인되어 '링, 지지용' 이격/이탈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방안 수립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실 사격시험 결과로부터 도출된 유도무기 발사성능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이를 ${\bigcirc}{\bigcirc}$ 유도무기에 적용하여 최종적인 발사성능 개선 효과 및 시험결과를 소개한다.

정밀유도무기 특성을 고려한 명중률 및 신뢰수준 산정방안 (A study of estimating the hit probability and confidence lev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Precision Guided Missile)

  • 서보길;홍석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93-197
    • /
    • 2016
  • 현재 국내 유도무기 사격시험의 경우, 유도무기 사격 수량 대비 명중 수량으로 계산된 명중률만을 이용하여 국내 유도무기의 성능을 판단하고 있다. 명중률만으로는 생산된 유도무기 전체의 특성을 표현하지 못하므로 유도무기 사격시험결과에 따라 계산된 명중률을 활용하여 생산된 모든 유도무기의 성능을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하면, 전력화되어 운용 중인 유도무기 또는 생산중인 유도무기의 명중률을 일정 수준 보장하기 위해서는 유도무기 사격시험 결과에 따라 계산된 단순 명중률보다 신뢰성이 높은 신뢰수준을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생산 수량이 적고, 고가이며, 유도무기 사격 시험을 수행하기 전에 유도무기 명중 여부 및 성능을 확인할 수 없는 유도무기 사업 특성을 고려하고, 유도무기 사업 특성에 적합한 초기하분포와 베이지안 규칙을 활용하여 최소 사격 수량으로 유도무기 신뢰수준을 산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국내 유도무기 사격시험 결과 및 국내외 문헌을 활용하여 국내 유도무기 사격 시험 결과 판정 시 유도무기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적정 신뢰수준을 제안한다.

The Design of Integrated Flying Vehicle Model for Engagement Analyses of Missiles

  • Ha, Sue Hyu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930-939
    • /
    • 2019
  • High-Level Architecture(HLA)/Run-Time Infrastructure(RTI) are standards for distributed simulation systems and offer a technology to interconnect them and form one single simulation system. In defense domain, M&S is the only way to prove effectiveness of weapon systems except for Live Fire Testing (LFT). This paper focuses on guided missile simulations in weapon systems for engagement analyses and proposes the integrated flying vehicle model that is based on HLA/RTI. There are a lot of missiles in real world; therefore, we should develop each missile models in M&S in order to apply battlefield scenarios. To deal with the difficulties, in this paper, firstly, I classify these missiles into three models: ballastic, cruise, and surface-to-air missile models, and then I design each missile model and integrates them into a single model. This paper also offers a case study with my integrated flying vehicle model. At the conclusion, this paper presents contributions of this paper.

Battle Lab에서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LVC 연동방안 (The LVC Linkage for the Interoperability of the Battle Lab)

  • 윤근호;심신우;이동준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81-88
    • /
    • 2012
  • M&S 도구로서의 Battle Lab은 무기체계 획득 주기상 소요결정부터 연구개발 및 시험평가/훈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Battle Lab 구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초보적인 Battle Lab을 구축하고 있다. 전장 환경을모의함에 있어서 특히 Live, Virtual, Constructive 모델이 연동되는 M&S 도구의 활용도는 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SE(체계공학)프로세스 전 과정에 걸쳐 적용 될 경우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기술적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장 환경 모의시 모의 체계간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활용도를 극대화한다.L-V 연동은 Virtual 모의기에서의 전술데이터링크 활용으로 Live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과 V-C간 연동은 Virtual/Constructive 모의기에 M&S의 표준 도구인 RTI 활용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을 방공 Battle Lab으로 구축한 사례를 보인다. 방공 Battle Lab은 표적이 접근하는 경우 교전 무기체계에서 상부체계 명령을 통해 교전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Constructive인 표적과 유도탄, 레이더, 발사대 모의기와 Virtual인 중앙방공통제소, 대대, 사격통제소 모의기간에 RTI RPR-FOM 1.0 연동하고, 또한 Virtual 모의기간 전술데이터링크 Link-11B, ATDL-1을 연동하여 Live 체계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