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Nondestructive Bending Strength Evaluation of Ceramics Made fro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article Boards - Effect of Resin Impregnation Ratio -

  • Byeon, Hee-Seop;Won, Kyung-Rok;Oh,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2호
    • /
    • pp.130-137
    • /
    • 2014
  • Nondestructive evaluation (NDE) method by using a resonance frequency mode was carried out for ceramics made from particle boards with different phenol resin impregnation ratios (30, 40, 50, 60%) at carbonizing temperature of $800^{\circ}C$. The material for ceramics was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board.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impregnation ratio.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of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and static bending modulus of elasticity to modulus of rupture (MOR). However, the result indicated that correlation coefficient is higher in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to MOR than that in static modulus of elasticity to MOR. Therefore,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using resonance frequency by free vibration mode is more useful as a nondestructive evaluation method for predicting the MOR of ceramics made fro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article boards by different phenol resin impregnation ratios.

수지함침율이 거대억새 파티클보드로 제조된 세라믹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n Impregnation Ratio on the Properties of Ceramics Made fro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article Boards)

  • HWANG, Jung-Woo;PARK, Hee-Jun;OH,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60-370
    • /
    • 2021
  • 본 연구는 거대억새의 활용방안을 찾기 위하여 거대억새 파티클로 보드를 제조한 다음 페놀수지를 함침한 후 수지함침 율이 30 ± 2%, 40 ± 2%, 50 ± 2%, 60 ± 2% 인 함침보드를 탄화온도 800℃로 탄화하여 수지함침율에 따라 밀도 및 역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밀도, 휨강도성능, Brinell경도 및 압축강도는 수지함침율이 증가 할수록 증가하여 거대억새 파티클로 제조된 세라믹의 물리 및 역학적 성질에 영향을 주었다.

거대억새(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생기반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Mat Prepared fro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 권구중;김은지;박희준;김대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27-33
    • /
    • 2014
  • 거대억새에 폐목재 칩과 펄프슬러리를 첨가하여 제작한 식생기반재의 특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공극률은 펄프슬러리의 첨가량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지만, 목재칩과 펄라이트 첨가량 증가와 함께 다소 감소하였다. 투수계수는 각 다른 원료를 이용하여 혼합한 조건에서 거대억새 첨가량이 적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토양경도는 거대억새 첨가비율이 낮을수록, 펄프슬러리, 목재 칩, 펄라이트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박리강도는 모든 조건에서 거대억새 첨가량의 적을수록 낮았다. 수소이온농도(pH)는 전반적으로 약알칼리성으로 나타났다. 휨파괴계수는 전체적으로 각 조건별로 거대억새의 첨가율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거대억새 파티클보드로 제조된 세라믹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eramics fro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article Board)

  • 오승원;박희준;황정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51-257
    • /
    • 2014
  • 거대억새의 활용방안을 찾기 위하여 거대억새 파티클로 보드를 제조한 후 수지함침율 50%일 때 탄화온도 $600{\sim}1,200^{\circ}C$별로, 탄화온도 $800^{\circ}C$일 때 수지함침율 30~60%별로 탄화하여 세라믹을 제조한 후 물성을 조사하였다. 탄화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화 후 밀도, 두께감소율, 길이감소율 및 중량감소율도 증가하였다. 수지함침율이 증가함에 따라 탄화 후 밀도, 길이감소율 및 중량 감소율은 증가하였으나 두께감소율은 감소하였다.

산화후 소나무림의 이차천이와 종다양성 (Secondary succession and species diversity of pinus densiflora forest after fire)

  • Cho, Young-Ho;Kim, Woe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337-344
    • /
    • 1992
  • A study on the secondary succession and species diversity was conducted at burned sites of which pinus densiflora forest and its floor vegetation was almost destroyed by the forest first in the mts. todok, sansong and palgong from 1977 to 1986. The changes of vegetation during period the year to 11th after fire occurre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ightarrow$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lespedeza cyrtobotyra $\rightarrow$ lespedeza cyrtobotyra $\rightarrow$ lespedeza cyrtobotyra-quercus serrata community. The biological spectra based on $SDR_3$(%) and SP(%) were $H-D_1-R_5-e$ types. The species diversity generally decrease from miscanthus to lespedeza stage and reached minimum at stage of lespedeza, and after that a litter increase for lespedeza-quercus stage. The species distribution curves showed a decrease from miscanthus to lespedeza stage and slight increase at lespedeza-quercus stage in evenness.

  • PDF

탄화온도별로 제조된 거대억새 세라믹의 비파괴 휨강도 평가 (Nondestructive Bending Strength Evaluation of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eramics Made from Different Carbonizing Temperatures)

  • 원경록;오승원;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23-731
    • /
    • 2014
  • 공진주파수 모드를 이용하는 비파괴 평가기술법을 거대억새 파티클 보드를 페놀수지로 함침한 후 탄화온도별(600, 800, 1000, $1200^{\circ}C$)로 제조한 세라믹에 적용하였다. 동적 탄성계수와 정적 휨 탄성계수는 탄화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휨 강도에 대한 동적 탄성계수 및 정적 휨 탄성계수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휨 강도에 대한 상관관계에서 정적 탄성계수 보다 동적 탄성계수가 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 모드를 사용하는 동적 탄성계수측정법으로 소성온도에 따라 제조된 거대억대 파티클보드의 휨 강도를 예측하는 비파괴 평가 방법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하천 제방사면에 식재한 다년생 초본류의 군락 형성 비교 (Community Formation Comparison of Herbaceous Perennials planted on Urban Stream Levee Slope)

  • 양홍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33-148
    • /
    • 2014
  • 도시하천 제방사면의 다년생 초본류 군락 형성 연구를 위해 2009년 4월 중순 물억새, 억새, 띠, 수크령, 새를 식재하였다. 새는 분주를 식재하였고, 나머지 초종은 이년생 포트를 식재하였다. 식재 후 3년간 매년 2회의 잡초 제거를 통해 2011년 군락이 형성되었다. 2012년과 2013년은 잡초를 제거하지 않고 실험초종이 군락을 유지하는지 관찰하였다. 잡초를 제거한 2011년과 잡초를 제거하지 않은 2012년간, 잡초를 제거하지 않은 2012년과 2013년간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있는지 5월, 7월 9월의 줄기수와 초장을 활용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t-검정을 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2년의 줄기수가 2011년보다 적어(p<0.001) 잡초의 피해를 입었다. 억새, 띠, 수크령, 새의 초장은 2012년이 2011년보다 작아 잡초의 피해가 나타났다. 물억새의 초장은 5월과 7월에 차이를 보여 잡초의 피해를 입었으나 (p<0.001), 9월에는 차이가 없어(p=0.098) 피해를 입지 않았다. 2012년과 2013년간t-검정 결과, 새를 제외한 나머지 초종은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없었다(p>0.05). 이들 초종은 군락이 형성된 후 잡초의 피해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다. 새는 줄기수와 초장 모두 차이를 보여 잡초의 피해가 컸다. 물억새, 억새, 띠, 수크령은 군락 형성 후 잡초 제거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으나, 새는 잡초의 피해가 커 군락 유지가 어려웠다. 군락 형성 및 유지, 하천경관 개선, 제방사면 보호의 관점에서 물억새, 억새, 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몇몇 지피식물의 비탈면녹화공사 활용성 연구 - 억새, 톨훼스큐, 수크령, 한국잔디 - (Pratical Use of Several Ground Covers on a Slope Revegetation Construction -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Festuca arundinacea, Pennisetum alopecuroides, Zoysia japonica -)

  • 조성록;김재환;심상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7-107
    • /
    • 2015
  •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a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of ground cover plants mixed with herbeceous and woody plants on a cut slope. 4 different ground cover plants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ennisetum alopecuroides, Festuca arundinacea and Zoysia japonica) were seeded at the same rate of $10.0g/m^2$ with herbaceous plants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Dianthus sinensis, Aster yomena, Chrysanthemum zawadskii and Coreopsis drummondii L) at the total seeding rate of $7.5g/m^2$ and native woody plants (Lespedeza bicolor Turcz,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Albizzia julibrissin) at the total seeding rate of $7.5g/m^2$, respectively. This experiment was treated with 3 replications on a randomized block design. Data such as surface coverage rate(%), the germinating number, plant height and visual quality were analyzed. There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observed in the soil hardness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rface coverage rate and the germinating number. The surface coverage rate and the germinating number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Pennisetum alopecuroides plot when compared with the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lot, the Festuca arundinacea plot and the Zoysia japonica plot, respectively from the viewpoint of ground covers. Especially, the surface coverage rate was considerably low in the Festuca arundinacea plot. However, the surface coverage rate and the germinating number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observed in this treatment from the viewpoint of herbaceous and woody plants. Also, both of the plant height and visual quality were high in the Pennisetum alopecuroides plot when compared with the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lot, the Festuca arundinacea plot and the Zoysia japonica plot,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Pennisetum alopecuroides was the optimum plant from the treated ground covers mixed with nativ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for the balanced emerg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ecological slope vegetation.

거대억새 파티클로 제조된 보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oard Made fro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articles)

  • 오승원;박희준;황정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43-48
    • /
    • 2012
  • 거대억새 자원의 활용도 제고방안의 일환으로 거대억새 파티클을 이용하여 보드를 제조하고 수지첨가량, 수지타입 및 밀도에 따른 물성을 검토하였다. 흡수율은 보드의 밀도 및 수지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휨강도와 박리강도는 밀도 및 수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파티클간 결합력이 강해져 증가하였다. 두께 팽창률은 보드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지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수지타입에 따라 두께 팽창률과 흡수율은 액상 페놀수지로 제조한 보드가 더 나은 치수안정성을 보였고, 보드밀도 $0.4g/cm^3$ 로 제조한 경우 수지 첨가율 11~13% 일 때 휨강도는 분말상 및 액상 페놀수지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박리강도는 액상의 페놀수지로 제조한 보드가 더 좋은 값을 나타내었다.

도시하천 제방사면에 식재한 몇몇 벼과식물의 활착 및 군락유지 특성 (Characteristics of Rooting and Community Maintenance of Some Gramineae planted on Urban Stream Bank Slope)

  • 양홍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2-59
    • /
    • 2017
  • 도시하천 제방사면의 벼과식물 활착과 군락형성 연구를 위해 2010년 10월 중순 물억새, 억새, 띠, 새를 줄떼식재하였다. 플라스틱 묘상(길이 60cm ${\times}$ 너비 30cm ${\times}$ 깊이 5cm)에 원예용상토를 4cm 깊이로 채우고 실험초종의 씨앗을 2010년 4월 하순 파종한 후 2010년 10월 초까지 형성된 뗏장을 너비 6cm ${\times}$ 길이 15cm ${\times}$ 두께 4cm로 잘라서 제방사면에 수평 폭 약 10~15cm 간격으로 심었다. 줄떼식재 후 군락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2011년~2013년까지 3년간 매년 2회 잡초를 제거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2년에 줄떼 간격의 빈 공간을 줄기가 상당부분 채워 초기군락이 형성되었으며, 2013년에는 줄떼 간격의 빈 공간을 거의 채워 군락이 형성되었다. 군락형성 후 2014년과 2015년은 잡초제거 없이 군락유지가 가능한지 관찰하였다. 2013년과 2014년의 줄기수간, 초장간 t-검정과, 2014년과 2015년의 줄기수간, 초장간 t-검정을 수행하였다. t-검정에는 5월, 7월, 9월에 조사한 줄기수와 초장을 활용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4년의 줄기수와 초장이 2013년보다 줄어들어(p<0.001) 잡초의 피해를 입었다. 물억새, 억새, 띠는 2014년과 2015년의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없어(p>0.05) 군락형성 후 잡초제거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으나, 새는 2015년의 줄기수와 초장이 2014년보다 현저히 줄어들어(p<0.001) 잡초의 피해가 커 군락유지가 어려웠다. 하천제방사면의 초본류 군락 형성과 유지의 관점에서 줄떼식재의 경우 물억새, 억새, 띠가 적합한 초종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 5년 매년 9월에 조사한 물억새, 억새, 띠, 새의 줄떼식재와 포트식재 간 줄기수와 초장의 t-검정에서, 줄기수는 줄떼식재가 포트식재보다 많았고(p<0.001), 초장은 포트식재가 줄떼식재보다 길었다(p<0.05). 줄기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줄떼식재가 제방사면 유실보호 관점에서 포트식재보다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