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tab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8초

어깨, 팔꿈치, 손목의 자세에 따른 최대악력과 근육활동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mbinational Posture of Shoulder, Elbow and Wrist on Grip Strength and Muscle Activity)

  • 김태형;정승래;강성식;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1-119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ostures that were frequently conducted in manufacturing industry. To find grip strength and muscle activities of each posture,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MVC) and ElectroMyoGraphy (EMG) were meas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appropriate posture could be suggested and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Most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have been occurred in the fields of manufacturing industr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was reported that the rat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of upper extremity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body parts. Accordingly,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discomfort and grip strength of upper extremity. However, these studies dealt with single selection of wrist, elbow and shoulder. So, it was insufficient for comprehensive studies about upper extremity. And in order to improve the work posture, the physiological changes being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wrist, elbow and shoulder postures should be observed and analyzed.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irty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o records of MSDs involved were recruited. Independent variables were postures of wrist(pronation, neutral, supination), postures of elbow(flexion $45^{\circ}$, $90^{\circ}$) and postures of shoulder(flexion $0^{\circ}$, $90^{\circ}$).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MVC values and EMG values. Jamar dynamometer and TeleMyo 2400T G2 was used to measure MVC and EMG. MVC and EMG for 12 postures were measured for three second and for three times. Experiment was performed randomly. A 10 minutes rest period was provided after each t. To measure muscle load, the EMG signals of eight muscles (Biceps, Medial triceps, Lateral triceps, Brachioradialis, Extensor carpi ulnaris, Extensor carpi radialis, Flexor carpi ulnaris and Flexor carpi radialis) were evaluated. MVC values and EMG values were analyzed using Minitab ver. 14. The results showed that MVC value was the highest at shoulder $0^{\circ}$, elbow $45^{\circ}$ and wrist supination. In case of wrist postures, MVC of supination is the highest. In case of elbow and shoulder postures, MVC of flexion $45^{\circ}$ and $0^{\circ}$ was the highe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teraction between wrist and elbow posture under shoulder flexion and between shoulder and wrist under elbow flexion $45^{\circ}$. In case of the angle of shoulder $0^{\circ}$, elbow $45^{\circ}$ and wrist supination, the EMG values of four muscles(Medial Triceps, Extensor carpi ulnaris, Extensor carpi radialis, Flexor carpi ulnaris) were the highest. Based on this study, it is worth to note that the combination postures of upper extremity have a large impact on the MVC and EMG. The optimal condition upper extremity was shoulder flexion $0^{\circ}$, elbow flexion $45^{\circ}$ and wrist supination for preventing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심박변이도(心搏變移度)의 측정시간(測定時間) 표준화(標準化) 연구(硏究)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Measuring Time for Heart Rate Variability)

  • 김규태;박영재;박영배;오환섭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8-103
    • /
    • 2006
  • Objectives : We performed this study to search the best time for HRV measuring and which index has the validity in a short term measuring. Methods : At first, three examiner measured electrocardiogram(ECG) of 5 people(4 male + 1 female) for 20 minutes in two times. and we devided ten regions (0-5, 5-10, 10-15, 15-20, 0-10, 0-15, 0-20, 5-15, 10-20, 5-20 minutes). After that we finded the HRV index for each regions. To evaluate the validity, we used Gag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Study by MINITAB(ver. 13.20). If the '%Study Var' is under 30 and 'Number of Distinct Categories' is over 4, we could tell it has validity(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Results : 1) The region and HRV index has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was HF index in 10-15 minutes. The HF index in 15-20 minutes gained 27.41(%Study Var) and 5(Number of Distinct Categories). 2) The HF index in 10-15 minutes has the better reproducibility than repeatability. The value of measurement is under the control. There is consistency among the examiner. The distribution of measurement is not large.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examiner and each people. 3) The HF index in 10-15, 0-10, 0-15, 0-20, 10-20 minutes was not enough to gain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But it had some meanings ; %Study Var, Number of Distinct Categories is 32.68, 4 for 10-15 minutes, 34.43, 4 for 0-10 minutes, 34.44, 4 for 0-15 minutes, 33.56, 4 for 0-20 minutes, 32.07, 4 for 10-20 minute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e best index of measuring HRV is the HF index in 15-20 minutes. So, from now on we should measure the HRV for 20 minutes and extract the HF index in 15-20 minutes. It must be the standard for HRV measuring.

  • PDF

맥솔(脈率) 측정방법(測定方法)의 신뢰도(信賴度) 분석(分析) (The Analysis on the Reliability of Measuring Pulse-Respiration Ratio)

  • 김동훈;양동훈;허웅;박영재;박영배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3-144
    • /
    • 2005
  • Objectives: Pulse-Respiration Ratio has been used for estimating subject's Han-Yeol [寒熱] status since it mentioned in suwen [素問]. In practicing Pulse-Respiration Ratio over 5 means the status of Yeol [熱], Pulse-Respiration Ratio below 3 means the status of Han [寒]. We performed this study to examine the Optimum Standard for Measuring Pulse-Respiration Ratio on the Basis of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Methods: After subject's 5 minutes rest we measured subject's ECG, respiration pattern, EEG, EMG simultaneously. In this research examiner's number is two, subject's number is four, and the number of repeat is two. We calculated Pulse-Respiration Ratio through dividing Respiration cycle average by Pulse cycle average according to each standard including time section, $EEG(relative-{\alpha}$ density, $relative-{\beta}$ density, ${\alpha}/{\beta}$ and EMG. We analyzed these data through Gage R&R study using MINITAB 13.20 program and considered the results of below 30 %R&R and over 4 Number of Distinct Categories to have a significance. Results: 1. In the applying of time standard, Pulse-Respiration Ratio from section 3, 4, 6, 8 had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aspect of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2. In the applying of $EEG({\alpha}$ I , ${\beta}$ I , ${\alpha}/{\beta})$, EMG(E I) standard,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s. 3. In the applying of time standard(section 5, 6, 7), $EEG({\alpha}$ I , ${\beta}$ I , ${\alpha}/{\beta})$ and EMG(E I) standard simultaneously, Pulse-Respiration Ratio from ${\alpha}/{\beta}$ in section 6, ${\beta}$ I in section 8 had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aspect of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Conclusions: We can suggest the Optimum Standard for Measuring Pulse-Respiration Ratio on the basis of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as followings; 1. Pulse-Respiration Ratio Measuring time should be at least 15 minutes. 2. Applying of time(section 6, 8) and $EEG({\beta}$ I, ${\alpha}/{\beta})$ standard simultaneously is recommended considering reliability and validity but more study is needed. 3. EMG(E I) may be helpful to detect the segment of physical rest and exclude artifacts but more study is needed.

  • PDF

나이 차이에 따른 스마트폰 기능 수행도 연구 (A Study of Functional Performance on Smartphone according to Age Difference)

  • 윤철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18-32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을 통해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나이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피험자 집단은 청년층 30명과 장년층 30명으로 구성하였다. 스마트폰 기능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해 12개의 과제를 설정했다. 동시에 사용자들에 대해 스마트폰 사용 습관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사용자 이력 및 사용 습관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과제별 실측치 측정결과를 미니탭 버전14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10개의 과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체적으로 장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모든 과제 수행에 있어서 처리시간이 많이 걸렸다. 특히 키 입력이 많이 필요한 과제의 경우 그 경향이 크게 드러났다. 스마트폰 사용 습관에서는 청년층은 전반적으로 모든 기능들을 골고루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장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이용하는 기능들이 전화걸기, 문자, 카카오톡, 검색 등 일부 기능에 치우쳐 있었다. 이런 결과로부터 청년들은 장년층보다 스마트폰을 더 빈번하게 사용함으로서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해짐에 따라 기능 수행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KLM 분석 결과, 처리시간이 단축된 가장 큰 요인은 청년층이 장년층에 비해 키 입력에서 시간이 적게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제조에 있어서 장년층들이 좀 더 쉽고 편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추가적인 설계에 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Effect of feed restriction on the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 of broiler breeders

  • da Silva Teofilo, Guilherme Ferreira;Lizana, Rony Riveros;de Souza Camargos, Rosiane;Leme, Bruno Balbino;Morillo, Freddy Alexander Horna;Silva, Raully Lucas;Fernandes, Joao Batista Kochenborger;Sakomura, Nilva Kazue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5호
    • /
    • pp.690-697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d libitum and restricted feeding regimen on fasting heat production (FHP) and body composition. Methods: Twelve Hubbard broilers breeders were selected with the same body weight and submitted in two feeding regimes: Restricted (T1) with feed intake of 150 g/bird/d and ad libitum (T2). The birds were randomly distributed on the treatments in two runs with three replications per treatment (per run). The birds were adapted to the feed regimens for ten days. After that, they were allocated in the open-circuit chambers and kept for three days for adaptation. On the last day, oxygen consumption (VO2)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VCO2) were measured by 30 h under fasting. The respiratory quotient (RQ) was calculated as the VCO2/VO2 ratio, and the heat production (HP) was obtained using the Brower equation (1985). The FHP was estimated throughout the plateau of HP 12 hours after the feed deprivation. The body composition was analyz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scanning at the end of each period. Data were analyzed for one-way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Minitab software. Results: The daily feed intake was 30 g higher to T2 (p<0.01) than the T1. Also, the birds of the T2 had significatively (p<0.05) more oxygen consumption (+3.1 L/kg0.75/d) and CO2 production (+2.2 L/kg0.75/d). That resulted in a higher FHP 359±14 kJ/kg0.75/d for T2 than T1 296±17.23 kJ/kg0.75/d. In contrast, the RQ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with an average of 0.77 for the fasting condition. In addition, protein and fat composition were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 while a tendency (p<0.1) was shown to higher bone mineral content on the T1. Conclusion: The birds under ad libitum feeding had a higher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 but their body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compared to restricted feeding.

방사능 재난에 대한 방사선비상계획구역내 주민의식조사 (A Study on the Residents Consciousness in Emergency Planning Zone for Radioactive Disasters)

  • 박남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729-745
    • /
    • 2022
  • 연구목적: 본 논문은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 거주하는 주민의 방사능재난 발생시 대피방법과 대피시설 등에 대한 인식 현황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무작위표집으로 표집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주민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1:1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미니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은 첫째, 방사능재난에 대한 지자체 업무에 관해 비교적 낮으면서 부정적인 인지도를 나타냈다. 둘째, 주민안전교육 측면에서는 교육 경험이 적으나 필요하다고 느끼며 주민대피방법과 행동요령, 구호소 위치 등에 대한 교육을 원하였다. 셋째, 방사능재난 관련 구호소는 위치를 잘 모르고 있고 안내를 받은 적이 없으며 구호소 이용시 가족과 함께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구호소 시설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도가 낮은 편이었다. 넷째, 방사능재난에 대비하여 필요한 우선순위는 방사능재난에 대한 교육과 훈련, 시설 보완, 방호약품 보급 등을 지적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원전 주변 지역 주민은 방사능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정부나 지자체의 정책과 업무 내용을 비교적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만족도는 낮았다. 우선순위로 지적한 사항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는 방사능재난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정책 내용을 주민에게 홍보하고 교육해야 한다.

$^{18}F$-FDG를 이용한 전신 PET 검사에서 혈당 측정 검사지의 정확한 사용에 따른 혈당 수치의 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Blood Glucose Leve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act Use of Blood Glucose Measurement Test Strips in $^{18}F$-FDG Wholebody PET)

  • 박순기;이남기;남궁창경;정우영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00-103
    • /
    • 2010
  • $^{18}F$-FDG PET 검사는 포도당 대사를 이용하여 전신의 종양을 평가하는 검사로 전처치 과정에서 혈당 측정의 중요성이 매우 높다. 혈당 수치가 높은 상태에서 FDG를 투여하면 FDG와 혈중 포도당이 세포 내 흡수에 서로 경쟁하게 되고 종양으로의 FDG 섭취가 감소되어 정확한 검사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혈당 측정에 사용되는 혈당 측정 검사지는 경우에 따라 모세혈관혈 전용 측정 검사지와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을 모두 측정 가능한 범용 측정 검사지로 구분되어 있는데, 정확한 혈당 측정 검사지(스트립)의 사용에 따른 혈당 수치의 차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0년 3월부터 4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에서 $^{18}F$-FDG whole body PET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46명(남자: 32명, 여자: 14명, 평균연령 $57.3{\pm}12.3$세) 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기기는 Abbott사의 Optium Xceed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였고,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을 모두 측정 가능한 범용 측정 검사지를 사용하여 동일 환자의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의 혈당 수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모세혈관혈 전용 측정 검사지를 사용하여 동일 환자의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의 혈당 수치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MINITAB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검정을 시행하였다.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을 모두 측정 가능한 범용 측정 검사지로 측정한 동일 환자의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의 혈당 수치는 각각$95.2{\pm}12.4$ mg/dL, $104.1{\pm}14.4$ mg/dL (t=8.0, 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세혈관혈 전용 측정 검사지로 측정한 동일 환자의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의 혈당 수치는 각각 $91.5{\pm}13.6$ mg/dL, $108.1{\pm}16.2$ mg/dL (t=9.2, 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의 혈당 수치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고 본 연구의 결과도 유사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18}F$-FDG PET 검사 전에 혈당 수치를 측정할 때 모세혈관혈 전용 측정 검사지로 정맥혈의 혈당을 측정하는 것은 부정확한 혈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적합한 측정 검사지와 규정된 측정절차를 이행하는 것이 측정 편차를 줄일 수 있어 PET 검사의 전처치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혈당 측정 시에 혈액 채취 부위를 모세혈관 또는 정맥혈관 중에서 항상 동일한 부위에서 측정하는 등의 표준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산란계의 혈액화학치 측정에 의한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조기 진단 (Early Diagnosis of Fatty Liver-Hemorrhagic Syndrome using Blood Biochemistry in Commercial Layers)

  • 소현희;전은옥;변성환;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5-175
    • /
    • 2009
  • 국내 실용 산란계 농장에서 FLHS 병력을 지닌 계군과 정상계군에 대한 특정 혈액화학치를 비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LHS 계군의 간의 지방 함량과 vacuolation score가 Non-FLHS 계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FLHS를 확인하는데 간의 지방 함량과 조직 병리학적 소견을 평가하는 것이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또한, FLHS 계군과 Non-FLHS계군이 실험군으로서 명확하게 구분이 되었다. Non-FLHS와 FLHS 계군의 다섯 가지의 혈액화학치를 측정한 결과, cholesterol, AST, LDH의 평균 수치가 Non- FLHS 계군보다 FLHS 계군이 높았으며, FLHS를 확인하는데 cholesterol, AST, LDH가 유의성 있는 항목임을 알 수 있었다(p<0.05). FLHS 계군은 Non-FLHS 계군보다 CK는 높지 않으면서, AST가 높게 나타났으며, FLHS를 진단하기 위해 AST를 측정할 때, CK를 비교 항목으로 이용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rum AST는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산란계에서 FLHS 발생시 현저하게 상승되는 항목으로, FLHS 계군 중에는 250 IU/L 이상을 보이는 개체가 있었으나, Non-FLHS 계군에는 250 IU/L 이상을 보이는 개체가 없었다. MINITAB을 이용하여 판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AST의 판별 추정 계수가 cholesterol이나 LDH보다 큰 수치를 나타내어, AST가 FLHS의 판별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유용한 항목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급식 직원의 고용유형에 따른 인적 자원 관리 활동에 대한 인식과 조직 몰입도 (The Organization Commitment and Percep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Employment Types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 이옥;조민주;장혜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62-171
    • /
    • 2014
  • 본 연구는 경기 성남 용인 지역 학교 영양사 60명, 조리원 240명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소의 인적 자원 관리 활동의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도와 조직 몰입도를 살펴보고, 생산성을 분석하여 이들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정규직원과 비정규직원이 인적 자원 관리 활동과 조직 몰입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응답자는 모두 여성이고, 60.3%가 40대, 89.3%가 기혼자이며, 42.0%가 1년~3년의 근무 경력을 지녔고 정규직이 53.6%, 비정규직이 47.3%였다. 인적 관리 활동은 '인력 확보', '직원 교육', '경력 개발', '보상관리', '근로 조건', '근로 환경', '이직 관리', '수행력 평가' 8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이들 영역 중에서 학교급식소는 '직원 교육'을 가장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었다. 그러나 보상 관리, 근로 조건 영역의 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서 업무성과에 따른 보상, 보상제도, 복리 후생 제도에 선택권 부여, 다양한 직원혜택에 관한 개발이 필요하였다. 고용유형별로는 정규직(2.75)이 비정규직(2.55)보다 근로 환경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인적 관리 활동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P<0.001). 특히 인력 확보 관리, 채용의 공정성, 신입직원 오리엔테이션, 수행력 기준의 적합성, 수행력 평가의 공정성면에서 비정규직원이 낮게 평가하였다. 직영 학교급식소의 생산성은 작업시간당 급식수는 13.7명, 1식당 작업소요시간 4.5분, 한 끼 식사당 인건비는 500원, 정규직원 1인당 1일 급식수는 109.6명으로 나타났다. 인적 자원 관리, 조직몰입도, 생산성의 관계 분석에서는 인적 관리 활동 중에서 수행력 평가 영역만 조직 몰입도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쳤고(${\beta}$=0.292, P<0.05), 직영학교급식소의 인적 자원 관리 활동과 급식생산성(작업시간당 급식소)은 양의 상관관계(r=0.432, P<0.001)를, 직원의 조직 몰입도와 생산성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6, P<0.01). 이상의 결과에서 학교급식 관리자는 급식생산성은 인적 자원 관리 활동과 조직 몰입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조직의 성공적 운영을 위하여 조직 목적에 적합한 인적 자원 관리 활동의 계획과 실행이 가능하도록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직무 수행력 평가는 직무 몰입도 향상에 주요 영향인자임을 인식하고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학교급식의 특성을 감안하여 정규직원뿐 아니라 비정규직원의 니즈를 반영한 인적 자원 관리 활동과 직무 평가시스템의 구축을 이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에서 보상 관리 활동의 적극적 전개가 요구되었는데 "업무 성과에 따른 보상", "개인 또는 팀별 보상제도"와 근로 조건 "경쟁력 있는 급여", "승진기회의 공정성"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객관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공정한 평가를 직원들의 사기 진작이 필요하겠다. 특히 비정규직원 교육에 주의를 기울이고, 보상 체계를 유연하게 구사한다면 조직 몰입도와 더불어 생산성은 더욱 향상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