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um oxygen concentration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1초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의 분진 폭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ust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 임우섭;목연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95-100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Hartmann type dust explosion apparatus in order to research the dust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HPMC): minimum explosive limit, minimum ignition energy, limiting oxygen concentration, maximum explosion pressure, rate of pressure rise, etc. The samples of HPMC dust were distributed into 120-140 mesh, 170-230 mesh and 325 under, and the gap distance of the discharge electrode was setted up at 5mm.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minimum explosive limit for HPMC dust was founded at 180g/㎥. the minimum ignition energy at 9.8mJ and the limiting oxygen concentration at 12%. (2) The maximum explosion pressure of HPMC dust was $8.1kg/cm^2\;{\cdot}\;$abs at the concentration of $500g/m^3$ and the maximum rate of pressure rise was 203.98 bar/sec at the concentration of $480g/m^3$ for 325 under.

  • PDF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분진의 운상자연발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ontaneous Ignition of a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Dust Cloud)

  • 임우섭;목연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7-140
    • /
    • 2004
  • 최근 산업현장에서는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노 기술로 나아가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로 인해 많은 화학제품의 원료들이 더욱 미세한 상태로 가공 및 취급되어지고 있다. 이에 분진의 특성상 그 위험성이 따라 증가하고 있으므로, 분진폭발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분진운의 발화온도와 폭발한계산소농도 등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HPMC)을 가지고 실험을 하였으며, 생산 및 취급과정에서 뜨거운 표면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및 폭발을 예방하고자, Godbert-Greenwald Furnace장치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분진 입자의 크기가 작아짐으로서 발화온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진입자의 크기가 45${\mu}m$에서 HPMC 분진운의 최소발화온도는 364$^{\circ}C$로 나타났으며, 폭발한계산소 농도는 11%로 나타났다.

기체분리막에 의해 상승된 산소농도가 스파크점화기관의 연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xygen-concentration increased by oxygen-enriching membrane on combustion of S.I. engines)

  • 권병철;김형섭
    • 오토저널
    • /
    • 제14권6호
    • /
    • pp.74-80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gasoline engine. Combustion-characteristics orignated from supplying cylinder with fuel-air mixture which was formed by the rise of oxygen-concentration in air with oxygen-enriching membrane have been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or-limit of oxygen-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shortening combustion-duration because the rise of oxygen-concentration in fuel-air mixture resulted in the promotion of combustion-velocity. Also, the generation of large output of power was expected from combustion in proportion as the amount of oxygen was increased.

  • PDF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의 자연발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ontaneous Ignition of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 최재욱;목연수;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4-40
    • /
    • 2001
  • HPMC의 자연발화는 일정한 주위온도에서 자연발화의 연구와 Godbret-Greenwald가 고안한 전기로에서 운상상태의 최소발화온도를 구하였으며, 시료를 용기에 충전했을 경우 용기의 크기가 클수록 발화한계 온도는 낮아졌으며 겉보기활성화에너지는 Frank-Kamenetskii의 열발화이론으로부터 계산하였고, 운상상태의 발화온도는 21%의 산소농도하에서 최소발화온도를 구하였으며, 산소농도 변화의 실험결과 산소농도 10%에서 발화되지 않았으며 한계산소농도를 구할 수 있었다.

  • PDF

표면열처리용 변성가스의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zard of Converted Gas for Surface Heating Treatment)

  • 최재욱;민철웅;임우섭;이병철;김동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14
    • /
    • 2005
  • 변성가스의 폭발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소농도 변화와 수소의 첨가에 따른 변성가스 조성을 변화시켜 폭발거동에 대한 실험을 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행한 결과 산소농도 $21\%$에서 변성가스와 수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폭발하한계는 낮아졌으며, 산소농도 $6\%$에서 폭발한계산소농도를 구하였다. 변성가스의 최대폭발압력은 $4.61 kg_f/cm^2$의 최적값을 얻었고, 이때 최대폭발압력상승속도는 변성가스 농도 $40\%$에서 $130.75 kg_f/cm^2/s$를 구하였다. 또한 폭발에 필요한 최소점화에너지는 변성가스 농도 $50\%$에서 0.13 mJ를 구하였다.

  • PDF

고산소-저기압 환경에서 JET A1 액체연료의 최소점화에너지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imum Ignition Energy Measurements for Liquid Jet A1 Fuel under at Elevated Oxygen Concentrations and Reduced Atmospheric Pressures)

  • 권행준;박설현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88-93
    • /
    • 2017
  • In the present study,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liquid fuel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o quantify its ignitability as ignition characteristics, the minimum ignition energy (MIE) of liquid fuel was defined and measured under at the elevated oxygen concentrations and reduced atmospheric pressures which that are the most probable conditions likely to be encountered during operation of the space launch vehicle's operating process.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easured MIE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the oxygen concentration at given atmospheric pressures. When the atmospheric pressure was reduced from 1 atm to 0.2 atm at a fixed oxygen concentration, the measured MIE was found to vary with $P^{-2}$ but the lowest MIE was observed at 0.8 atm.

LP가스의 폭발 현상 및 화염전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sion Phenomenon and Flame Propagation of LP Gas)

  • 최재욱;이동훈;김태근;민철웅;임우섭;최병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2호통권35호
    • /
    • pp.65-70
    • /
    • 2007
  • LP 가스의 폭발현상 및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소농도변화와 LP 가스의 농도에 따른 혼합가스 조성을 변화시켜 실험을 행하였다. 산소농도 21%에서 LP 가스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폭발하한계는 낮아졌으며, 최소산소농도(MOC, Minimum Oxygen Concentration)는 1.0 bar, 1.5 bar, 2.0 bar에서 각각 14.5%, 12.0%, 11.5%로 낮아졌다. 최대폭발압력은 압력이 증가할 경우 $6.46kg/cm^2,\;9.41kg/cm^2,\;13.49kg/cm^2$로 증가하였으며, LP 가스의 초기압력이 클수록 화염의 전파속도가 증가하였다.

  • PDF

Damage-Free Treatment of ITO Films using Nitrogen-Oxygen (N2-O2) Molecular DC Plasma

  • Kim, Hong Tak;Nguyen, Thao Phoung Ngoc;Park, Chinho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3권4호
    • /
    • pp.112-115
    • /
    • 2015
  • In this study, the surface of ITO films was modified using $N_2-O_2$ molecular plasma, and the effects of oxygen concentration in the plasma on the ITO surfac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Upon plasma treatment of ITO films, the surface roughness of ITO films seldom changed up to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0% to 40%, while the roughness of the films slightly changed at or above the oxygen concentration of 60%. The contact angle of water droplet on ITO films dramatically changed with varying oxygen concentration in the plasma, and the minimum value was found to be at the oxygen concentration of 20%. The plasma resistance at this condition exhibited a maximum value, and the change of resistance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compared to that of contact angle.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jectured that the chemical reactions in the sheath of the molecular plasma dominated more than the physical actions due to energetic ion bombardment, and also the plasma resistance could be used as an indirect indicator to qualitatively diagnosis the state of plasma during the plasma treatment.

산소농도와 압력 변화에 따른 도시가스의 폭발특성 (The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City Gas on the Change of Oxygen Concentration and Pressure)

  • 최재욱;이인식;박성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8-43
    • /
    • 2005
  • 도시가스의 폭발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소의 농도와 초기압력의 변화에 따라 실험을 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행한 결과 산소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폭발범위는 점차적으로 좁혀졌으며, 산소농도 $12\%$에서 폭발한계산소농도를 구하였다. 도시가스의 초기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폭발하한계가 약간 증가하였다. 또한 초기압력이 $0{\~}1.0 kgf/cm^2{\cdot}g$로 변함에 따라 최대폭발압력은 $6.3 kgf/cm^2{\cdot}g,\;12.7 kgf/cm^2{\cdot}g$을 구하였으며, 최대폭발압력상승속도는 $245.63 kgf/cm^2/s,\;427.88 kgf/cm^2/s$를 구하였다.

  • PDF

프로필렌의 공정안전 운전을 위한 CO2 첨가량에 따른 폭발범위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Explosion Range by CO2 Addition for the Process Safety Operation of Propylene)

  • 최유정;허종만;김정훈;최재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99-606
    • /
    • 2019
  • 위험물질에 의한 제조물을 취급하는 설비와 시설은 대부분 고온, 고압으로 공정을 운전을 한다. 이로 인해 화재폭발로 인한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폭발 사고는 석유 화학 가스설비 등 위험물 시설의 가장 주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중, 프로필렌은 석유화학 플랜트의 기초 원료 및 첨가 중합반응에 의한 합성물질을 제조하는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산소농도의 변화에 대한 폭발범위를 구함으로써 프로필렌을 사용하는 사업장에서 발생 될 수 있는 폭발을 예방하기 위하여 불활성 가스인 $CO_2$를 이용하여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라 산소농도의 변화에 대한 폭발범위를 구하였다. 온도는 $25^{\circ}C$, $100^{\circ}C$, $200^{\circ}C$로 변화시켜 측정하였으며, 용기 내 압력을 $1.0kgf/cm^2.G$, $1.5kgf/cm^2.G$, $2.0kgf/cm^2.G$, $2.5kgf/cm^2.G$$CO_2$를 가압시켜 측정하였다. 폭발한계는 온도, 압력 및 산소농도와 관계가 있으며, 온도와 압력이 높아질수록 최소산소농도는 낮아지고, 산소농도가 낮아질수록 폭발범위는 좁아졌다. 또한, 최소산소농도 이하의 농도에서는 프로필렌의 증기와 점화원이 존재하여도 폭발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