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k nutrients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9초

비닐하우스 재배 수수의 그루터기 재생 및 양분흡수 특성 (Characteristics of Nutrient Uptake and Stubble Regrowth of Grain Sorghum in Plastic Film House)

  • 윤을수;정기열;박창영;황재복;최영대;전승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92-997
    • /
    • 2012
  • 수수의 재생력과 양분 흡수력을 이용해 시설재배지에 집적된 토양양분의 효율적 이용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비닐하우스에 수수를 재배하여 주요 생육시기별로 예취한 후 재생경의 생육 및 양분흡수 특성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취 후 재생경의 출수 소요일수는 유숙기 예취시 35일로 가장 짧게 나타났으며, 가장 긴 소요일수를 보인 출수기도 44일로 관행재배시보다 짧은 소요일수를 나타냈다. 예취 후의 누적 초장에서는 유숙기에서 379.4 cm로 가장 길게 나타났고, 예취 시기가 늦을수록 작은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짧은 무예취구와는 약 2배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수수의 Biomass는 초장과 달리 출수기 예취구가 1.73 Mg $10a^{-1}$로 가장 많은 생산량을 나타냈으며 종실은 무예취구에서 가장 많은 수량을 나타냈다. 식물체 부위별 농도에서 T-N은 잎>이삭>줄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생육초기인 10엽기에서 각 부위별로 높은 양분함량을 보였으며 수확시기에서는 $K_2O$를 제외한 나머지 $P_2O_5$, CaO와 MgO가 줄기보다는 잎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상부의 양분흡수량은 예취시기에 따라 출수기>무예취구>유수형성기${\geq}$유숙기>10엽기 순으로 나타났다. N의 흡수량은 출수기의 $P_2O_5$을 제외한 $K_2O$, CaO, MgO은 무예취구에서 가장 많은 흡수량을 보였으며 평균 흡수량보다 모두 높은 처리구는 출수기와 무예취구로 나타났다.

"고사십이집(攷事十二集)"의 조리가공에 관한 분석적 연구(2) (A Study on the Cooking in 'The Kosa-sibi Jip' (2))

  • 김성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19
    • /
    • 1994
  • In this paper, twenty-five kinds of food presented in Sooljip(戌集) 5 and 6 of Food collections of 'Kosa-sibi Jip(攷事十二集)'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 Staple food, subsidiary food, Tuck(rice cake) and Han-gwa(Korean confectionery), and Tang-jng and tea. Cooking processes have been examined and scientifically analyzed in terms of cooking, Fourteen kinds of Jook (thick gruel with cereal) as well as Urak-Jook were presented among the methods of making Jook, one of staple foods. Milk and ground rice were boiled together into Urak-Jook, which was nutritious because of carbohydrate, added to milk. Hong-sa Myun was mode of ground shrimps, ground bean, ground rice and flour which were kneaded together. It was a nutritiously balanced food. Nineteen kinds of Kimchi presented in this book were classified by the recipes. The five of Jook-soon Ja, U-so Ja, Tam-bok Ja and Jo-gang were made by adding red malt and cereals(boiled rice or candies). Jo-gang, Jo-ga and Jo-gwa-chae were made by adding salt and rice wine. With salt and fermenters added, eight were made. Chim-jup-jeo-ga was made by adding Jang(soy-bean sauce) and the inner chaff of wheat instead of salt. The four of Ka-za-san, Hwang-gwa-san, Tong-gwa-san and Jo-gang were made by adding salt and vinegar. Jo-gang was made by adding salt, rice wine, residue of rice wine and candies. The four of Kae-mal-ga, Ku-cho-chim-chae, Un-gu-hwa and Suk-hwa-chim-chim-chae were made by adding salt and spices. San-got-Kimchi was made without salt. San-got-Kimchi and Suk-hwa-chim-chae were made originally in Korea. Suk-hwa-chim-chae, in particular, was first classified as a kind of Kimchi in this book and oysters were added, which is notable. Pork could be preserved longer when smoked oven the weak fire of thatch ten days and nights. Dog meat was sauced and placed on the bones in a pot. A porcelain was put on the top of the pot. Flour paste sealed the gap between the porcelain and the pot. Some water was poured into the porcelain, and the meat was steamed, with two or three thatched sacks burned, which was a distilled dry steaming. This process has been in use up to now. Various cooking methods of chicken were presented from in Umsik-dimi-bang to in Chosun Musang Sinsik Yori Jebup. These methods were ever present regardless of ages. Such measuring units as Guin(斤) and Nyang(兩)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cooking processes of this book, except in case of Jang(soy bean sauce), vinegar and liquor. Twenty eight kinds of kitchenware and cookers were used, of which porcelains wee most used and pans and sieves followed. The scientific eight cooking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salt was refined through saturated solution. Next, it was recommended Hong-sa Myun containing shrimps should not be taken along with pork, which is thought to be a proper diet in terms of cholesterol contained by shrimps and pork. Third, meat was coated with thin gruel and quickly roasted and cleared of the dried gruel membrane, which prevented nutrients from exuding and helped to make the meat well-done. Fourth, The fruit of paper mulberry trees has the protease which can soften meat. Therefore when meat was boiled with th fruit of paper mulberry trees, it can be softened easily. Fifth, pork was smoked over the weak fire of thatch. Sixth, in cooking dog meat, distilled dry steaming raised the boiling point and made it possible to preserve meat longer. Seventh, in boiling the sole of a bear, lime was added, which made meat tender by making the pH lower or higher than that of raw meat. Finally, in boiling down rice gluten, a porcelain in the pot prevented boiling over the brim, which is applied to pots in which to boil medical herbs.

  • PDF

Studies on the Mode of Uptake of Plasma Glucose, Acetate, β- hydroxybutyrate Triglyceride Fatty Acids and Glycerol by the Mammary Gland of Crossbred Holstein Cattle Feeding on Different Types of Roughage

  • Chaiyabutr, N.;Thammacharoen, S.;Komolvanich, S.;Chanpongsang,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0호
    • /
    • pp.1445-1452
    • /
    • 2002
  • The present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utilization of substrates in the mammary gland of crossbred Holstein Friesian during feeding on different types of roughage. Sixteen pregnant crossbred Holstein heifers consisted of two breed types of eight animals each; Holstein Friesian${\times}$Red Sindhi (50:50=50%HF) and Holstein Friesian${\times}$Red Sindhi (87.5:12.5=87.5%HF). Anima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the same breed type in each group which were fed with either rice straw treated with 5% urea or pangola hay (Digitaria decumbens) as the source of roughage throughout the experiments. Four consecutive experimental periods were carried out in late pregnancy (20-23 days before parturition), early lactation (30 days postpartum), mid-lactation (120 days postpartum) and late lactation (210 days postpartum). Measurement of mammary blood flow in combining with measurement of AV difference was performed for the mammary uptake of substrates. In the period of lactation, udder blood flow was nearly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late pregnant period (p<0.05) in both 50%HF and 87.5%HF feeding on either hay or urea treated rice straw. During mid- and late lactation of both groups of 87.5%HF animals, mammary blood flow and milk yield showed decrease when compared to those during the early lactating period while the trends for persistency were apparent in both groups of 50%HF animals throughout experimental periods. The mean arterial plasma concentrations of glucose, acetate, $\beta$-hydroxybutyrate and free glycerol in each group remained constant throughout experimental periods. During late pregnancy in all groups, the AV difference and extraction ratio of glucose, $\beta$-hydroxybutyrate and triacylglycerol across the mammary gland markedly lowered (p<0.05), which coincided with a lower net uptake by the mammary gland in comparison to the early lactating period. The mean arterial plasma concentration, AV difference and extraction ratio for acetat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ate pregnancy and the early lactating period. The AV difference of free glycerol showed apparent release from mammary tissue during late pregnancy in all groups. In mid- and late lactation, the mammary uptake for glucose, acetate and $\beta$-hydroxybutyrate in both groups of 87.5%HF animals showed apparent decrease as compared to that in the early lactating period, whereas no appearances were observed in 50%HF animals feeding either hay or urea treated rice straw. The mean arterial plasma concentrations for free fatty acid (FFA) and triacylglycerol (C16 to C18) were higher in late pregnancy than in early lactation in both types of crossbred animals. The values of AV difference and the net uptake by the mammary gland for FFA were variable during late pregnancy and lactating periods in al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V difference, extraction ratio and net uptake of triacylglycerol during lactation advance in both groups of 50%HF and 87.5%HF animals feeding either hay or urea treated rice straw.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aptations to either hay or urea treated rice straw by the mammary gland of crossbred HF animals allow for an adequate nutrient supply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ode of mammary uptake of substrates in the same crossbred animals in response to feeding hay or urea treated rice straw. The differences in utilizing nutrients by the mammary gland for milk production between 87.5%HF and 50%HF animals would be dependent on changes in both intra-mammary factors and extra-mammary factors.

부산지역 당류편식 중학생의 식습관, 식품섭취실태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Intake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ke Sweets in Busan)

  • 유나희;김미정;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35-74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당분이 많은 과자류나 가당 음료에 대한기호가 강한 중학교 학생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위한 사전 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조사대상자 335명 중에서 33.1%인 111명의 학생들이 당류편식군에 속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습관 점수에 있어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세 끼 식사의 규칙성, 아침식사, 식사량의 적정성, 식사 시의 균형, 녹황색 채소, 고기, 생선, 우유의 섭취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당류편식군의 점수가 낮았으며, 간식의 양, 과자 및 사탕 등의 당류, 인스턴트식품, 패스트푸드, 햄과 소시지, 탄산음료의 섭취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당류편식군의 점수가 높았다. 영양지식 점수에 있어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당류편식군의 점수가 낮았으며, 군별로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또한, 각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남학생은 식품구성탑과 5가지 식품군, 바른 간식 섭취 영역에서 군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은 영양과 건강, 식품구성탑과 5가지 식품군에서 군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식품섭취빈도에 있어서는 쌀밥, 잡곡밥의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이 낮았으며, 라면과 빵, 케이크의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이 높았다. 햄, 소시지의 섭취빈도가 당류편식군에서 높았고 콩, 배추, 무, 콩나물, 시금치, 오이, 고추, 당근, 상추, 양배추 등 채소류는 당류편식군의 섭취빈도가 낮았다. 우유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이 낮았으나 아이스크림은 당류편식군의 섭취빈도가 훨씬 더 높았다. 과자류, 초콜릿 및 사탕, 햄버거, 피자, 탄산음료의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당류 섭취빈도(p<0.05), 당류관련 기호도(p<0.01), 당류관련 식습관 점수(p<0.01)가 낮아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당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당류관련 기호도(p<0.01)와 당류관련 식습관 점수(p<0.01)가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당류관련 기호도 점수가 높을수록 당류관련 식습관 점수(p<0.01)가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당류 섭취빈도가 높아질수록 라면, 빵, 케이크, 햄, 소시지, 아이스크림, 햄버거, 피자의 섭취빈도가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p<0.01), 두부, 콩(남학생 p<0.05, 여학생 p<0.01), 김치(p<0.01), 당근(p<0.01), 우유(p<0.01)의 섭취빈도는 낮아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거주 중학생을 이용하여 $13{\sim}15$세 청소년의 당류편식의 심각성을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사료된다. 당류편식군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도출하여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이 개선될 수있도록 학생들이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행동 변화에 중점을 두는 영양교육이 요구되어지는 바이다.

정상 또는 고지방식을 섭취한 흰쥐에서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이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Hypolipidemic Effects of Peptide Fractions of Casein on Serum Lipids in Rats Fed Normal or High Fat Diet)

  • 오주환;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3-27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이 정상 및 고지방식을 섭취한 흰쥐에서의 혈청 및 조직의 지질 농도에 미치는 섭취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상 지방식이 (7% soybean oil & cholesterol-free; Expt I)를 섭취한 흰쥐는 정상 혈청 지질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배설량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긴 하였지만 이때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군의 혈청,간조직의 지질농도에 대한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순환기계질환의 주요 인자인 HDL/LDL비는 친.소수성 펩타이드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지방 콜레스테롤식이 (18% beef tallow & 1% cholesterol; Expt II)를 급여하였을 경우,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군에서 분중으로의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설량이 유의 적 (p<0.05)으로 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 고지방식이를 급여했을 때 친.소수성펩타이드 분획물군이 casein군에 비해 혈중 및 간조직 중의 지질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HDL/LDL비도 casein군에 비해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군에서 높게 관찰되는 것으로, 이는 고 혈증 위험요소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CL & CB)의 아미노산 조성 결과, 친.소수성 펩타이드 식이의 glycine과 methionine함량은 casein 식이의 조성과 거의 비슷한데, arginine과 lysine함량은 casein 식이의 조성과 상당히 달랐다. 또한 혈중 지질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어지는 arginine/lysine 비와 glycine/methionine 비는 친.소수성 펩타이드 분획물 식이(CL & CB)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물실험 결과와 같이 고찰해볼 때, 아미노산 조성이 혈중 및 조직 중의 지질저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고,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였다. 친.소수성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보았을 때,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서 혈중 및 간조직의 지질함량을 저하 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능한 기전으로는 분중으로의 지질 배설량을 증가시킨 것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섭취기간이 길어질수록 효과가 확실해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casein 펩타이드 분획물의 아미노산 조성비의 차이라기보다는 펩타이드 자체의 효과임이 시사되었다.

일부(一部) 전남지역(全南地域) 여자중학생(女子中學生)들의 영양실태(營養寶態) 조사연구(調査硏究) - 전라남도(全羅南道) 장흥군(長輿郡)과 보성군(寶城郡)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Nutrition Intake of Middle School Girls in Chonnam Area)

  • 류혜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85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a data which can provide a basis for future direction in nutritional education and to build up right eating habit and to find the way how to improve food life and the nutritional supply by evaluating the current nutritional intake of average middle school girls through the survey study of their daily food intakes and physical status. The survey of nutritional intakes and physical status in two girls middle schools, namely Jang'hung girls middle school at Jang'hung Up and Bo'song girls middle school at Bo'song Up, were carried by teachers majoring in Home Economics and nurse-teachers from 5 July to 7 July 1983. From a total of 1080 subjects of two girls middle schools, 887 subjects were surveyed. The results obtained from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 1) Physical Status Average height, weight and chest girth of subjects in both middle schools were much lower than the Korean average standard (p<0.005${\sim}$p<0.001) and t-score of differences between two middle school girls were not significant. Rohrer index, nutrition rate and physique rate were also lower than Korean averag standard through all the ages in both girls middle schools. Menarche appeared mainly between the age of 13 to 15 (91.55 %), with a mean age of 14 (35. 01 %) and which was experienced by the subjects of 51.52 percentage among total surveyed Iniddlf school girls. 2) Nutritional Intakes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all nutrient except iron, vitamin A, thiamin, ascorbic acid and niacin was lower than Korean Recommanded Dietary Allowances (RDA) . Especially average intake of calorie and calcium were much lower than Korean RDA(p<0.001) while average intake of thiamine and ascorbic acid were much higher than Korean RDA (p<0.001). T-score of differences of iron, thiamin, riboflavin between two middle school girls were very significant (p<0.001). Generally iron and riboflavin were the highest rate of intakes through three meals and breakfast took charge of considerable amount of all nutrient intake without omitting anything (about 30 % of daily nutrient intake). The nutrients of which ratio of nutrient intake by snack was more than 16.7 % were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ascorbic acid etc. and snack foods which were intake frequently in both middle school girls commonly were fruits, milk and milk products, bread and biscuits in sequence. 3) Correlations and t-score between physical status, menarche and nutrient intakes. Average intake of calorie at Jang'hung are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ight, weight, nutrition rate and physique rate and this correlation was very significant (p<0.005). Average intake of calorie was also correlated with chest girth and Rohrer index (P<0.05). At Bo'song area, averse intake of riboflavi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the items of physical status (p<0.05-p<0.005), vitamin 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est girth and Rohrer index (p<0.05 respectively) and thiamin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est girth, Rohrer index and nutrition rate (p<0.05 respectively). Especially niaci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items of physical status very significantly (p<0.005).The time of menarch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ron in both middle school girls commonly P<0.05 at Jang'hung, p<0.10 at Bo'song).

  • PDF

마산시 일부 여대생의 건강상태 및 영양섭취 실태 조사 (A Study on Health Condi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Masan Area)

  • 박은주;정효숙;신동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01-1514
    • /
    • 2004
  • 본 연구는 경남 마산지역에 거주하는 여대생 285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 및 영양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한 285명의 여대생의 평균연령은 20.1세(18~26세)이며 흡연자는 5명(1.8%)으로 그들은 하루에 평균 3.6개피의 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그들의 평균 흡연기간은 1.8년이었으며 대상자 모두가 간접흡연을 경험한다고 답했다. 음주습관은 82.5%의 대상자가 술을 마신다고 답했고 그들이 술을 마시기 시작한지는 평균 2.8년, 일주일에 94.1 g의 알코올을 섭취하였다.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고 답한 사람은 약 11%이며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사람은 31.6%이었다. 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고 답한 사람은 불과 11.6%이며, 36.8%가 식사를 불규칙으로 한다고 답했다. 하루 3끼식사를 거의 거르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대상자의 54%이며 하루에 한 끼는 매일 거른다고 답한 대상자도 30%나 되었다. 결식을 하게 될 경우 주로 거르는 식사는 아침이 77.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저녁, 점심 순이었다. 자주 과식을 한다고 답한 사람은 26.3%이며 대부분이 가끔은 과식을 한다고 답하였다. 1끼 식사 시간은 10~20분, 20분 이상, 10분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편식이 심한 사람은 5%이며 약간 편식을 한다고 답한 사람은 49.1%이었다. 대상자들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161.0 ㎝, 체중 53.9 kg이며 체질량 지수(BMI)는 평균 20.8로 저체중은 13.3%, 정상체중은 80%, 과체중은 6.7%이며 BMI 30이상의 비만군은 없었다. 체지방량은 평균 26.4%이며, 견갑골 피하지방두께와 삼두근 피하 지방두께는 각 14.2 ㎜, 16.9 ㎜이었다. 허리둘레 66.2 ㎝, 엉덩이 둘레 91.9 cm이며 WHR은 0.72로 조사되었다. 대상자들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각각 115.9 ㎜Hg, 70.9 ㎜Hg로 전반적으로 정상범위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는 조사된 영양소 중 단백질, 인, 비타민 E, 비타민 B_6, 비타민 C를 제외하고는 영양권장량보다 낮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칼슘, 철, 아연의 섭취량은 권장량의 70%이하로 매우 낮았다. 열량섭취량은 1634.1 kcal로 일일권장량 대비 81.7%에 해당되며 단백질은 총 64.3 g으로 권장량의 107.2%를 섭취하였다. 대상자의 불규칙적인 식사, 결식, 과식 등의 평소 식습관은 24시간 회상법으로 분석한 영양소 섭취량은 물론 더 나아가 인체계측치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불규칙적인 식사, 결식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을 가진 여대생들의 경우, 그 시기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인 철분, 아연, 엽산 등의 섭취량이 권장량의 7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식을 하는 대상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 등의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인이 자주 섭취하는 식품을 중심으로 각 식품군별로 지난 1개월간의 식품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식품군을 합쳐서 마산지역 여대생들이 가장 자주섭취하는 10가지 음식은 쌀밥, 김치, 양파, 잡곡밥, 참기름, 탄산음료, 포도, 아이스크림, 우유, 수박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마산시에 거주하는 여대생들의 전반적인 건강 및 영양 섭취상태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 지역 여대생들에 맞는 영양교육을 계획, 실시함으로 그들의 건강향상 및 식생활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경북 예천 농촌지역 거주노인의 연령대별 영양소 및 식품섭취량 조사 (A Survey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ged People in Rural Area, Gyeongbuk Yecheon)

  • 박미연;김금란;이다정;김진문;박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1호
    • /
    • pp.58-73
    • /
    • 2006
  • This research has done for 262 people of the aged men and women that are more than 65 years old who are live in 9 areas of Yecheon as target; through twice off ace to face interview for 24 hours recall method, the result of food intake for 2 days is as following. In case of energy, the aged men (women) of sixties ingested 67.7 $(72.0)\%$ of Korean RDA by 1,369 (1264) kcal, for the ages of seventies and eighties, 68.9 $(66.9)\%$ of Korean RDA and 76.3 $(65.8)\%$ by each 1,309 (1104) kcal and 1,368 (1052) kcal. The aged men ingested protein $46.0\~49.6 g$ ($70.6\~82.9\%$ of RDA), and aged women ingested protein $32.7\~40.2 g$ ($59.4\~73.0\%$ of RDA). Calcium intake of aged men was 388.8 mg, 319.8 mg, 284.4 mg by age range, and aged women was 291.9 mg ($41.6\%$ of RDA), 246.5 mg ($35.3\%$ of RDA), 240.1 mg ($34.3\%$ of RDA). Iron intake of aged men was $8.6\~8.9 mg$ ($72\~74%$ of RDA), and aged women ingested 8.6 mg ($71.3\%$ of RDA), 7.5 mg (62.6 of RDA$\%$), 6.6 mg ($55.4\%$ of RDA) for iron by age range. Vitamin $B_1$ intake of aged men was $0.62\~0.71 mg$ ($62\~71\%$ of RDA), and aged women's intake was $0.50\~0.60 mg$ ($50\~60\%$ of RDA). Vitamin $B_2$ intake of aged men was $0.59\~0.60 mg$ ($49\%$ of RDA), and aged women's intake was $0.45\~0.50 mg$ ($37\~42\%$ of RDA). Vitamin C intake by age range, in case of aged men (women) in sixties was 53.1 (48.9) mg, in seventies was 49.9 (33.2) mg and more than eighties was 34.1 (33.4) mg. The average food intake by age range, in aged men (women) of sixties was 828.9 (670.8) g and seventies was 726.8 (568.8) g and more than eighties was 656.0 (525.3) g. Plant food intake of aged men was 490.8-569.5 g and aged women was 417.9-537.7 g. Aged men (women) of MAR by age range, sixties was 0.60 (0.58), seventies was 0.59 (0.50) and more than eighties was 0.56 (0.49), respectively. INQ for protein, phosphorus, iron, vitamin A, vitamin B, niacin, vitamin C was more than 1 in 60's and 70's aged men, but there was no nutrients in eighties of aged women. Aged men and women's KDDS points represent average 3.14 and 3.04 (out of 5 points), and while intake of the milk was the most lacking, but intake of the fruit was the most lacking in DDS.

조숙 다수성 추파 총체사료용 귀리 신품종 '옥한' (A New Early-Heading and High-Yielding Winter Oat Cultivar for Whole Crop Forage, 'Okhan')

  • 한옥규;박태일;박형호;송태화;김기종;박남건;주정일;장영직;황종진;권영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7-93
    • /
    • 2013
  • '옥한'은 내한성이 있어 남부지역뿐만 아니라 충청지역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면서 숙기가 빨라 논에서 벼 앞그루로 재배할 수 있는 조숙 다수성 귀리 품종 개발을 목표로 2011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잡종은 1995년에 출수가 빠르면서 종실이 대립인 '아리80'을 모본으로 하고, 출수기가 중생 정도이고 대립종이며 초형이 좋은 'Maine PI-590'을 부본으로 온실에서 인공교배하여 작성되었으며, 집단 및 계통 선발에 의해 내한성이 강하고 초형이 우수한 'SO95027-B-45-16-10-6-2-Y7-10' 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3개년에 걸쳐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숙기가 빠르고 수량이 많아 '귀리7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충남 예산, 전북 김제와 익산, 제주 등 4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2011년 11월 신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귀리 신품종 '옥한'은 좁은 녹색 잎, 황갈색 줄기, 황갈색의 긴 종실을 가졌다. 출수기가 전국 평균 5월 6일로 표준품종인 '삼한'보다 6일, 제주지역에서는 11일 빨랐다. '옥한'의 내한성은 '삼한'과 대등하였고, 도복에 강하였다. 건물수량은 ha당 평균 15톤으로 14.1톤인 '삼한'에 비해 6 % 많았다. '옥한'은 '삼한'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9.2 %, 가소화양분총량(TDN)이 58.5 %로 다소 낮았으나 TDN 수량은 ha당 8.7톤으로 8.36톤인 '삼한' 보다 340 kg 많았다. '옥한'의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이 $-7^{\circ}C$ 이상인 지역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특히 벼 이앙이 빨라 월동작물의 재배가 곤란한 지역에서도 답리작 재배를 통한 조사료 생산이 가능하다.

추위에 강하고 수량이 많은 조사료용 트리티케일 품종 '세영' ('Saeyoung', a Winter Forage Triticale Cultivare of High-Yielding and Tolerance to Cold)

  • 한옥규;박형호;박태일;조상균;최인배;노재환;김기종;오영진;박기훈;김대욱;구자환;권순종;안종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5-131
    • /
    • 2017
  • 트리티케일 신품종 '세영'은 2012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세영'은 담녹색이며, 폭이 좁고 길이가 중간 정도인 잎, 가는 줄기와 크기가 중간 정도인 종실, 그리고 갈색인 종피색을 가졌다. '세영'은 출수기가 평균 5월 3일, 황숙기가 5월 27일로 표준품종인 '신영'과 대등하였다. '세영'의 내한성은 '신영'에 비해 다소 강하였고, 도복는 '신영'보다 다소 약하였다. 습해와 흰가루병과 잎녹병은 모두에서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세영'의 ha당 생체수량은 평균 47.2톤으로 표준품종인 '신영'의 43.2톤 보다 9 %가 많았으며, 건물수량은 ha당 평균 15.6톤으로 '신영'의 15.1톤에 비해 4 %가 많았다. '세영'은 '신영'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6.4 %로 6.8 %인 표준품종 '신영'보다 0.4% 낮았으나, NDF와 ADF 함량은 각각 62.5 %, 36.9 %로 높았으며, TDN 함량은 59.8 %로 '신영'의 62.8 %에 비해 3%가 낮았다. '세영'은 '신영'에 비해 $m^2$당수수가 727개로 81개 많고, 종실수량이 ha당 4.1톤으로 '신영'보다 11 %가 많았다.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이 $-10^{\circ}C$ 이상인 지역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특히 추위에 강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중 북부지역에서 겨울철 조사료 생산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