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k Acidity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초

호상 요구르트에 적합한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탐색 및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및 관능 특성 (Exploration of optimal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for curdling milk for yogurt and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 정성엽;이용현;강선아;신배근;박선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48-5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커드가 잘 생성 되는 김치 젖산세균을 탐색 및 동정을 통한 L. plantarum YD2, YD9, YD12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젖산세균을 이용한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이화학적인 특성을 알아보았다. pH와 산도의 변화는 발효시간에 따라 크게 달라졌으며, 12시간 이후 pH는 감소하는 반면 산도는 증가하였다. 점성의 경우 젖산세균의 pH와 산도에 따라 값의 변화가 있었고, pH가 낮고 산도가 높은 경우, 시간에 지남에 따라 점성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았다. 이는 생성된 유기산이 단백질의 변성을 일으켜 요구르트 내 겔의 형성을 방해하여 점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사료된다.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실험 결과에 있어서 김치에서 얻어낸 젖산세균인 L. plantarum에서 커드를 형성하는 균주를 이용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였을 때, 커드의 형성이 잘 이루어졌으므로, 요구르트 제조에 있어서 L. plantarum 젖산세균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 중 YD12군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값을 얻었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YD12군을 이용해 요구르트를 제조할 때 풍미와 신맛, 쓴맛을 보완시킨다면 시판되는 요구르트와 유사한 혹은 더 높은 기호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치 젖산세균을 이용한 요구르트 제조 시, 김치 젖산세균이 위산에 대해 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젖산세균이 장까지 잘 전달이 될 것 이라 기대한다.

맥아 당화액을 이용한 유산균음료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of Lactic Acid Fermented Beverages from a Malt Syrup)

  • 유태종;이주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7-62
    • /
    • 1982
  • 맥아당화액과 탈지유의 단독 및 혼합배지에 젖산균을 배양시켜 적응성 여부를 보고, 시제품(試製品)을 관능검사로 비교 검토하여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1. 맥아당화액의 당도가 $10^{\circ}Bx$일 때 유산균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2. 맥아당화액에 효묘추출물(0.5%), sodium citrate(0.08%)를 첨가하여 젖산균을 배양한 결과 산도의 증가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3. 맥아당액에서 배양적성이 좋은 젖산균주들은 L. acidophilus, L. plantarum, L. lactis, L. bulgaricus-S. thermophilus 등 이였으며 그중에서 L. lactis가 가장 우수하였다. 4. L. lactis의 단독 starter와 L. lactis+S. diacetilactis를 혼합한 starter를 제조하여 활력을 비교하였을 때 L. lactis의 starter가 비교적 높았으나 관능적인 면에서는 L. lactis+S. diacetilactis의 혼합 starter가 좋았다. 5. 배지를 탈지유, 맥아당액, 탈지유+맥아당액(1 : 1)으로 구분하여 유산균을 배양하면서 시간에 대한 pH 및 산도, 균수측정을 한 결과, pH에서의 변화는 탈지유가 제일 높았고, 탈지유+맥아당액의 경우는 맥아당액과 흡사하였다. 산도와 균수에서는 맥아당액이 가장 열등하였으며, 탈지유+맥아당액은 탈지유배지만을 사용한 경우와 별 차이가 없었다. 6. 시제품(試製品)을 관능검사를 통하여 비교하였을 때 탈지유와 탈지유+맥아당액배지를 사용한 것(발효유타입)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P{\leqq}0.05)$, 맥아당액(유산균음료타입)의 경우는 열등하였다. 그러나, 맥아당액의 유산균음료 시제품(試製品)과 시중의 유산균음료와 비교하였을 때 관능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

미생물 Protease 또는 Papain으로 처리된 두유에서 젖산균의 산생함과 대두요구르트의 제조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n Soy Milk Treated by Microbial Pretense or Papain and Preparation of Soy Yogurt)

  • 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9-386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농축대두단백으로 두유를 만들고 미생물 pretense와 papain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대두단백질을 가수분해한 후, 단백질이 일부 가수분해 된 두유에서 L.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을 관찰하고 제조된 젖산균음료의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Pretense 처리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촉진되었는데 미생물 pretense가 papain보다 효과적이었으며 2종의 효소를 혼합 사용했을 때는 상승효과가 보였다. 그러나 pretense 처리로 pH와 생균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미생물 pretense의 경우는 가수분해시간 15분까지, papain의 경우는 가수분해시간 45분까지 산생성 촉진효과가 현저했으나 그 후에는 3시간이 경과하여도 큰 변화가 없었다. 미생물 pretense 0.2% 또는 papain 0.2% 처리로 대두젖산균음료의 전체적인 기호도와 맛이 다소 개선되었다. Protease 처리 15분에 비단백태질소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후 3시간까지 서서히 증가하였다.

  • PDF

두유(豆乳)의 단백질분해효소 처리가 젖산균의 산생성(酸生成)과 대두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ense Treatment of Soy Milk on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of Soy Yogurt)

  • 김경희;방일령;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2-99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농축대두단백으로 두유를 만들고 protease를 이용하여 대두단백질을 여러가지 정도로 가수분해한 후, 단백질이 일부 가수분해된 두유에서 L. acidophilus 또는 L. bulgaricus의 생육과 산생성을 관찰하고 제조된 대두 젖산균음료의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protease 처리에 의하여 젖산균에 의한 산생성이 촉진되었는데 특히 L. acidophilus에 의한 산생성이 현저하게 촉진되었다. 그러나 pH와 생균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15분 가수분해 시료에서 이미 산도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 3시간이 경과하여도 산도의 변화가 현저하지 않았다. 0.1% protease 처리로 대두젖산균음료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다소 개선되었다. protease 처리 15분에 비단백태 질소의 함량이 상당히 증가하였고 2시간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 PDF

우리나라 중남부지역 젖소목장에서 이등유 발생 조사 (Investigation of the incidence rate of second grade milk in dairy farms on the central-southern region of Korea)

  • 정지영;유도현;신성식;손창호;오기석;허태영;정영훈;최창용;서국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5-162
    • /
    • 2015
  • The incidence of second-grade milk production in 9 dairy farms of South Korea was investigated from May 2011 to March 2012, and the serum composition of cows producing first- and second-grade milk in 14 farms including the 9 farms was analyzed. The incidence rate of second-grade milk production of 402 cows in nine dairy farms located in the central and southwestern regions of Korea was 15.4% with the highest rate being 34.4%. Seasonal morbidity was higher during late winter (February) and early summer (June) with the highest rate observed in February (32.6%) followed by November (33.3%). Second-grade milk was most frequently found within one month postpartum (34.1%) while only 3.5% was found during the first 60~90 days of lactating period (n=785, 5 herds). The morbidity increased thereafter (P<0.05) with the highest observed between 270~300 days of lactation (36.1%). The acid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cond-grade ($0.159{\pm}0.026%$) and first-grade milk ($0.158{\pm}0.027%$). Blood serum analysis of 371 cows in the 14 dairy farms indicated tha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in cows producing second-grade milk while albumin was significantly lower (P<0.001) than cows producing first-grade milk. Total protein and triglyceride was also significantly low along with glucose, non-esterified fatty acid and blood urea nitrogen in cows producing second-grade milk.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negative prediction values showed that lactating cows with high AST, low albumin, total protein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serum tended to produce second-grade milk. It was concluded that serological parameters, especially live functional and metabolic-related serum compositions (AST, albumin, total protein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in cows producing second-grade milk.

자색 고구마를 첨가한 요구르트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dded Purple Sweet Potato Powder)

  • 정기태;주인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58-461
    • /
    • 1997
  • 자색 고구마 분말을 0∼5%를 각각 첨가하여 만든 호상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요구르트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색 고구마 첨가에 의해 산도, 당도, 유산균수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요구르트의 색택은 자색 고구마 첨가량이 많을수록 lightness와 yellowness는 감소되고 redness는 증가하면서 점도는 크게 상승하였다. 요구르트의 관능성을 보면 조직감과 색은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양호했으며 맛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자색 고구마 3∼4% 첨가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 PDF

유산균 발효유가 Streptococcus mutans의 생균수 및 biofilm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RMENTED MILK ON VIABLE CELL COUNT AND BIOFILM FORM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 신혜성;김선미;최남기;양규호;강미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58-366
    • /
    • 2009
  • 유산균이 위장관과 구강건강에 probiotics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시판되는 유산균 발효유 5종과 우유를 선택하여 우식유발 원인균인 S. mutans에 대한 증식억제 및 biofilm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발효유의 산도, 완충능, 산생성능, 칼슘과 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유산균 발효유에 S. mutans를 주입한 후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모든 발효유의 %가 증가함에 따라 S. mutans 수가 감소했으나 우유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10% 유산균 발효유에 S. mutans를 주입한 후 biofilm 형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액티브 GG, 불가리스는 biofilm 형성이 감소하였고, 이오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투티, 에이스, 우유는 증가하였다(P<0.05). 유산균 발효유 및 우유의 산도를 측정한 결과 이오(3.48${\pm}$0.01), 투티(3.67${\pm}$0.02), 에이스(3.71${\pm}$0.02), 액티브 GG(4.04${\pm}$0.02), 불가리스(4.19${\pm}$0.02) 순으로 나타났다. 유산균 발효유의 산생성능을 평가한 결과 불가리스가 가장 높은 산생성능을 보였으며 액티브 GG, 에이스, 투티, 이오, 우유 순으로 산도 하강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유산균 발효유가 초기산도 및 산생성능 측정 결과 우식유발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유 중에서 농후발효유가 우식유발균인 S. mutans를 억제하였고 biofilm 형성을 감소시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루우핀 두유의 유산발효에 관한 연구 (Lactic Acid Fermentation of Lupinseed Milk)

  • Ouk Han;Tae, Won-Taik;Kim, Young-Wook;Lee, Joon-Kyoung;Lee, Cherl-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1-198
    • /
    • 1985
  •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LPC)을 이용한 두유에 7가지 유산균과 13가지 유산균 조합을 접종하여 유생성능력을 검토하고 루우핀 두유에 탄수화물 분해 효소로 처리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L. acidophilus, L. casei, S. lactis, L. mesenteroides, L. acidophilus와 S. thermophilus의 혼합균과 S. lactis와 L. mesenteroides의 혼합균을 선정하여 탄수화물 분해효소로 처리한 루우핀 두유와 처리하지 않은 루우핀 두유에서의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능력을 조사하였다. 효소처리에 의한 루우핀 두유의 당조성은 처리하지 않은 루우핀 두유에 비하여 Fructose가 8.2배, Glucose가 3.0배 그리고 maltose가 2.3배였으며 총 유이당 함량은 1.5배였다. 효소처리하지 않은 루우핀 두유에서는 L., mesenteroides가 최대 생균수 1.0 $\times$ $10^{9}$ $m\ell$, 최종 pH 4.40 및 최종 산도 0.46%를 나타내어 가장 우수하였으며 효소 처리한 루우핀 두유에서는 L. acidophilus와 S. thermophilus의 혼합균이 최대 생균수 1.9 $\times$ $10^{9}$ $m\ell$, 최종 pH 3.69 및 최종 산도 1.13%를 보여주어 가장 뛰어난 유산균 조합임을 나타내었다. 유산 발효를 통한 루우핀 두유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체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효소처리하지 않은 루우핀 두유 기질에서는 점도가 증가하였고, 효소처리한 기질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발효된 루우핀 두유의 점도변화와 심전속도는 유산균에 따라 다양함을 보여주었다. 관능 검사 결과에서 효소처리한 루우핀 두유를 S. lactis 및 L. casei로 배양한 것과 S. lactis와 L. mesenteroides 및 L. acidophilus와 S. thermophilus의 혼합균으로 배양한 것이 비교적 우수한 풍미를 지녔으며 유산균 음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

곡류를 첨가한 우유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생육과 산생성 및 몇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 (Growth and Acid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in Milk Added with Cereal and Analysis of Several Volatile Flavor Compounds)

  • 고영태;김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6-32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곡류(쌀, 보리, 밀, 옥수수)를 각각 2% 첨가하고 Leuconostoc mesenteroides(ATCC 9135)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곡류의 첨가가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몇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곡류의 첨가로 Leuc. mesenteroides의 산생성이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30시간까지 발효하면서 적정산도와 pH, 생균수를 관찰한 결과는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생성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pH는 현저히 저하하였으며 생균수는 12시간 또는 18시간까지 현저히 증가하였다. GC에 의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에서는 호상 요구르트에 함유된 휘발성분 가운데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diacetyl, butanol 및 acetoin의 6가지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이중에서 발효에 의해 생성된 것은 acetaldehyde, ethanol, diacetyl 및 acetoin이었다.

  • PDF

Effects of Microbial Transglutaminase on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Kefir Produced by Using Mixture Cow's and Soymilk

  • Temiz, Hasan;Dagyildiz, Kub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06-616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s) on the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efir produced by using mix cow and soymilk. Kefir batches were prepared using 0, 0.5, 1 and 1.5 Units m-TGs for per g of milk protein. Adding m-TGs to milk caused an increase in the pH and viscosity and caused a decrease in titratable acidity and syneresis in the kefir samples. Total bacteria, lactobacilli and streptococci counts decreased, while yeast counts increased in all the samples during storage. Alcohols and acids compounds have increased in all the samples except in the control samples, while carbonyl compounds have decreased in all the samples during storage (1-30 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alcohols, carbonyl compounds and acids in total volatiles on the 1st and the 30th d of storage were observed at 8.47-23.52%, 6.94-25.46% and 59.64-63.69%, respectively. The consumer evaluation of the kefir samples showed that greater levels of acceptability were found for samples which had been added 1.5 U m-TGs for per g of milk prot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