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d cognitive impairment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3초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The Effect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정재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39-49
    • /
    • 2022
  • 본 연구는 국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3개의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1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출간된 문헌을 분석하였다. 총 1,455편의 문헌이 검색되어 총 11편의 문헌을 최종 분석하였다. 문헌의 질 평가는 Risk of bias(RoB)를 사용하였다. 우울증상 평가도구는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분석된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는 요가, 심리사회적 중재, 인지훈련, 건강교육, 다중요소 중재, 게임훈련, 유산소/심폐물리치료, 미술치료, 음악회상 활동, 기억특이성 훈련, 인지자극, 수면교육이 적용되었다. 그 중 요가, 다중요소 중재, 게임훈련이 우울증상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에 대한 중재계획 및 실행에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일상생활 관리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및 건강증진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Daily Life Management Program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n Cognition Function,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 양종은;최종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95-30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예방프로그램과 더불어 일상생활관리프로그램을 접목하여 적용 하였을 때, 치매예방프로그램을 통한 인지기능, 우울, 건강증진생활양식의 변화가 유지되거나 향상되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은 2019년 4월 1일부터 8월 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경도인지장애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관리프로그램을 자발적으로 꾸준히 실천한 실험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해 인지기능(MMSE-DS), 건강증진생활양식(HPLP-II)이 유지 및 향상됨을 보였으며, 우울감(SF-GDS)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장시간 유지 및 향상시키기 위한 일상생활관리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길 바라며, 경도인지 장애를 가진 노인들에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전향적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한양방 협진치료를 받은 치매와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Suffering from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Treated by Collabo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 이고은;정문주;이성익;김남권;김진원;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1-119
    • /
    • 2018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diagnosed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who are treated by means of a blend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Methods: We searched for outpatients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means of a collabo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from August 1, 2015, to July 31, 2017, thr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 Wonkwang Hospital. The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patients'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pathway of medical care, diagnostic tests, treatment, and medical expenses. Results: Thirteen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mong them, six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five with dementia, Alzheimer's type, one patient with frontotemporal dementia, and one patient with unspecified dementia. Twelve of the thirteen patients were over 60 years of age. The number of pathways from the Dept. of Neurology to the Dept. of Neuropsychiatry of Korean Medicine was almost the same as the opposite pathway. The most used diagnostic test in Korean medicine was a neuropsychological test such as SNSB, MMSE and GDS. In Western medicine, hematology and neuroimaging were frequently used for patients. Acupuncture in Korean medicine and medication in Western medicine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In Korean medicine, uncovered service costs were much higher than covered service costs,. whereas, in Western medicine, covered service costs were higher than uncovered service costs. Conclusions: This study describe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treated by a collabo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Based on these results, a clinical pathway of the collaborative practice system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for dementia patients needs to be developed.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인지장애노인과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인지작업치료의 효과 (The Effect of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in Community Living Elde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 정복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317-325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경증인지장애노인과 치매환자에게 인지작업치료를 적용한 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우울정도의 효과를 알아봄으로 인지작업치료가 인지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2년 2월에서 2012년 6월까지 일개광역지역에 소재하는 노인종합복지관과 요양원에 내원한 환자 중 경증인지장애군 13명과 치매군 19명으로 전체 32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주 1회 신체기능, 인지기능, craft를 이용한 작업치료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두군 모두에서 인지기능, 우울감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특히 경증인지장애군은 치매보다 집중력과 기억력 유지에 필요한 인지기능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여 향후 경증인지장애군에서 인지기능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예방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가상현실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on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강혁준;김상률;김정헌;송대헌;양지은;추미란;이현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55-16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head-mounted display (HMD) based virtual reality (V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cognitive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This study enrolled 5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at the G welfare center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Patients were examined using the MMSEDS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The V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was applied twice a week for four weeks.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and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geriatric population (LOTCA-G)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V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RESULTS: Subsequent of application of the V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LOTCA-G score. The FIM score was also perceived to increase, after the intervention,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Application of the V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as a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visual perception, and upper extremity executive ability, especially orientation, thinking organizatio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과 백질고강도신호와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권지웅;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2호
    • /
    • pp.119-126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백질고강도신호 차이에 따른 신경인지 기능 및 행동심리증상(BPSD)을 비교하는 것이다. 방 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 자기공명영상의 백질 고강도 신호(white matter hyperintensity, WMH)는 표준화된 시각 기반 척도(Fazekas scales)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참가자들은 Fazekas 척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신경인지기능은 임상치매평가척도(CERAD-K)에 의해, BPSD는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NPI)로 평가되었다. WMH의 심각도에 따른 신경인지기능 및 BPSD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시행하였다. 결 과 WMH의 중증도가 높은 군은 유의하게 낮은 언어 유창성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WMH의 중증도가 높은 군은 유의하게 높은 K-NPI 점수를 보였다(p<0.01). 결 론 WMH와 실행기능과 관련된 신경인지검사 간에는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또한 WMH는 BPSD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임상실제에서 WMH를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AD)및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환자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김명숙;임경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91-700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on older adults affected by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n terms of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A total of 53 older adults who resid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recruited, 26 subjects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27 subjects for a control group.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was performed for 20~40 minutes/day, three days/week for ten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with $x^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Results: Scores of MMSE (t=3.30, p=.002), depression (t=-2.15, p=.036), and self-esteem (t=2.76, p=.008)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in ADL (t=-1.01, p=.316)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self-esteem and lower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with MCI.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 적용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APAEL Smart Glove's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 김요한;박시영;정재훈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가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라파엘 스마트글러브를 적용한 실험군 15명과 전통적인 인지재활을 적용한 대조군 15명으로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중재 전 후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LOTCA, NCSE, MBI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집단 내에서 중재 전 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p>.05), 통계학적으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기존 재활치료와 같이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할 경우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도인지장애 대상자의 인지기능평가도구(CFT) 개발 연구 (The study of development on CFT(Cognitive Function Test)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이선명;주은우;송진석;박신준;김헌모;정은승;임채호;손성민;하혜정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26-1435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velop CFT, a screening test for dementia that can be conducted o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early dementia.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rapists working at occupational therapy hospital in Gyeongsangnam-do.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two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2020,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briefed on the purpose, significance, and anonymity of the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ethical issues. A total of 33 copies of the data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those containing insufficient answers and errors, by distributing 40 copies of the data. SPSS Data Access pack 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Cronbach's α value was evaluated for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each item,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ent between the lower scales of the assessment tool was measured. Results: The Cronbach's α value of the CFT was shown as .892 and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paper was shown to be quite high. The Cronbach's α value for each item in the cognitive assessment tool was the highest at .899 in the subtraction item, with exercise control (mook Chi Pa) at 888, visual memory, plus .887. The correlation of each item of cognitive assessment tools was found to be most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ustained concentrates and word2 to .934; in the stop word-numeric item and visual memory to be .85; and in the addition to the auditory memory item .739. Conclusion: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cognitive evaluation tools that can distinguish the diversity and cognitive level of screening tests and clarify standard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ementia screening tools in Korea. Furthermore, the cognitive assessment tools of this study can be verified by applying them to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dementia, and the criteria for generalization can be established.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의 지역사회기반 재활의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CBR) o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 김은주;박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628-637
    • /
    • 2019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ICF 영역으로 분류하여 지역사회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해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2009년 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국내 외에 게재된 연구로 PubMed MEDLINE, Cochrane CENTRAL, Google Scholar, 한국학술지인용색인, RISS, 국회도서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선정논문의 실험군, 대조군의 대상자 수, 평균, 표준 편차를 사용하여 통계적 이질성, 효과 크기, 출판 편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총 5편 연구가 선정되었고, 대상자는 실험군 144명, 대조군 152명 총 296명이었다. 지역 사회 재활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8.83이였고, ICF 영역별 효과 크기는 신체기능 및 구조에서는 4.77, 활동과 참여에서는 6.17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경도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의 지역사회기반 재활의 신체기능 및 구조, 활동과 참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