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tion pattern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4초

Biogeography and Distribution Pattern of a Korean Wood-eating Cockroach Species, Cryptocercus kyebangensis, Based on Genetic Network Analysis and DNA Sequence Information

  • Park, Yung-Chul;Choe, Jae-Ch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4호
    • /
    • pp.331-340
    • /
    • 2007
  • We examined the evolutionary and ecological processes shaping current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a Korean wood-eating cockroach species, Cryptocercus kyebangensis. Our research aims were to understand evolutionary pattern of DNA sequences, to construct genetic network of Cryptocercus kyebangensis local populations and to understand evolutionary and ecological processes shaping their current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s via DNA sequence information and genetic networks, using sequence data of two genes (ITS-2 and AT region) from local populations of C. kyebangensi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TS-2 and AT region are appropriate molecular markers for elucidating C. kyebangensis geographic patterns at the population level. The MSN-A based on the ITS-2 showed two possible routes, the Hwaak-san and Myeongji-san route and the Seorak-san and Gyebang-san route, for migration of ancestral C. kyebangensis into South Korea. The MSNs (MSN-A and -B) elucidate migration routes well within South Korea, especially the route of Group I and Group II.

TURING INSTABILITY IN A PREDATOR-PREY MODEL IN PATCHY SPACE WITH SELF AND CROSS DIFFUSION

  • Aly, Shab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17권2호
    • /
    • pp.129-138
    • /
    • 2013
  • A spatio-temporal models as systems of ODE which describe two-species Beddington - DeAngelis type predator-prey system living in a habitat of two identical patches linked by migration is investigated. It is assumed in the model that the per capita migration rate of each species is influenced not only by its own but also by the other one's density, i.e. there is cross diffusion present. We show that a standard (self-diffusion) system may be either stable or unstable, a cross-diffusion response can stabilize an unstable standard system and destabilize a stable standard system. For the diffusively stable model, numerical studies show that at a critical value of the bifurcation parameter the system undergoes a Turing bifurcation and the cross migration respons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should not be ignored when pattern emerges.

Spatio-temparal Pattern Formation of Abdominal Muscle in Xenopus Iaevis

  • Ko, Che-Myong;Chung, Hae-Mo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2호
    • /
    • pp.329-335
    • /
    • 1997
  • The final pattern of the skeletal muscle of a vertebrate depends on the position-specific behavior of the muscle precursor cells during early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abdominal muscle is made of cells which migrate a relatively long distance from their original tissue, myotome of dorsal mesoderm. We report the spatia-temporal migration pattern of abdominal muscle in Xenopus laevis by in situ hybridization and immunohistological studies. Shortly after hatching tadpole stage (stage 31/32), a group of myotomal cells detaches from the lower tip of the second somite and migrates ventrally to the lower position of abdomen. At stage 34/35, a second cell group migrates away from the third somite. Total 7 myotomal cell groups migrate ventrally one by one from the second to eighth myotome along their own pathways through the cell free space located between epidermis and subepidermal layer of the abdomen. During migration, the sizes of the cell groups (abdominal muscle anlagens) are increased to several tens fold. Around stage 40 all the abdominal muscle anlagens reaches their final positions and are interconnected side by side rostrocaudally. They are also connected to other types of muscles, forming a large multisegmented abdominal muscle. Heat shock study suggests that the disruption of segmentation of somites does not block the detachment of abdominal muscle anlagen, though the treatment gave stage- and dosagedependent effects on the migration speed.

  • PDF

월동기 흰뺨검둥오리의 일일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ot-billed Ducks' Daily Habitat Use Pattern During Wintering Period in Korea)

  • 신용운;신만석;이한수;한승우;정상민;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8-3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300)을 이용하여 국내에 월동 번식하는 흰뺨검둥오리의 하루 동안 서식지 이용과 이동거리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수조류 서식지 보호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경기도 안성천, 충청남도 봉선저수지, 전라북도 만경강, 동진강, 전라남도 해남군 등 5개 하천과 저수지로 흰뺨검둥오리 20개체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였다. 흰뺨검둥오리는 월동기에 내륙수를 47.3%의 비중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다음으로 논, 해양수, 내륙습지, 연안습지 등이었다. 내륙수는 시간에 관계없이 꾸준히 이용하였다. 논은 야간에 주로 이용하였고, 내륙습지, 연안습지, 해양수의 경우 주간에 주로 이용하였다. 서식지 이용률 변화는 16시와 18시, 06시와 08시에 가장 컸다. 전체 평균 이동거리는 $0.75{\pm}0.27km$/2hours이었으며, 누적 이동거리는 8.95km이었다. 06시에서 08시, 16시에서 18시에 이동한 거리는 2km이상으로 가장 길었다. 그 외 시간에는 1km미만의 이동거리를 보였다. 장거리를 이동한 시간은 서식지 이용률의 변화 폭이 가장 큰 시간과 일치하였다.

꽁치의 어업생물학적 연구 2. 회유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THE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OF THE EAST COAST OF KOREA 2. Migration)

  • 김기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49-57
    • /
    • 1973
  • 우리나라 동안의 꽁치에 대해서 1968년, 1970년 및 1971년 $1\~7$월의 어획통계 자료와 1968년의 체장측정자료를 이용하여 꽁치의 체형군에 따른 회유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장내의 전어군의 분포중심의 이동은 북상 회유에서나 남하 회유에서나 대체로 $130^{\circ}\~130^{\circ}30'$의 범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월의 동서 방향으로의 편배의 정도는 해에 따라 대단히 심하다. 이 중심의 이동은 해황외에 해에 따른 체형군별의 자원량의 크기와도 깊은 관계를 가질 것이라 추측된다. 2. 체형군을 분류하는 기준체장의 주년에 걸친 변화곡선을 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 6월에 있어서 중형군을 구분하는 체장의 변화곡선은 $Y=24.807X^{0.0885}$이며, 중형군과 소형군을 구분하는 체장의 변화곡선은 $Y=21.532X^{0.1177}$이다. 단 Y는 체장, X는 역상의 월을 표시함. 3. 회유에 있어서 북상기에는 체형이 작은 것이 먼저 북상하고 남하기에는 체형이 큰 것이 먼저 남하하는 경향을 보인다. 4. 회유경로는 어장내의 분포중심의 이동방향으로서 추적될수 있는 것이 아니며, 1968년의 각 체형군의 회유경로는 Fig. 6과 같이 추정된다.

  • PDF

공간계량모형을 이용한 연령대별 인구 이동 결정 요인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s of Migration by Age Groups using General Spatial Model in Korea)

  • 한이철;이정재;정남수;박미정;서교
    • 농촌계획
    • /
    • 제11권3호
    • /
    • pp.59-67
    • /
    • 2005
  • According to diverse studies in population migration, there has been a strong age-dependent population distribution in Korea. It is shown that a particular age-group tends to reside in a particular locale or community and the effect possesses usually statistical significance. We quantitatively address this issue: how certain division of age group resides in different region of the country, and investigate possible cause of this migration pattern for different age groups. In this study, population migration trend at age groups of 20s, 30s, 40s and 50s has been analyzed incorporating a spatial econometrics model that accounts for diverse statistical pitfalls such as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patial dependency. We found that migration trend for different age group corresponds to regional characteristics differently. The study concludes with some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s a need of further study.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과 특성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Movement in Kangwon Province)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31권2호
    • /
    • pp.133-155
    • /
    • 2008
  • 본 연구는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과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강원도 인구분포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강원도 18개 시군 중 춘천과 원주를 제외한 시군에서 모두 인구감소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천의 경우 도청소재지와 영서북부권의 거점도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경춘전철 및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서울 및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향상될 경우 춘천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주시는 교통망이 전국적으로 연결된다는 점과 최근 기업 도시, 혁신도시에 선정되면서 발전가능성이 높게 인식되면서 인구를 끌어들이고 있다. 이에 반해 강릉은 거점도시로서의 역할이 점차 약화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강원도의 인구이동 유형을 6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으며, 이를 다시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0{\sim}2003$년 사이에는 중간거점도시가 춘천, 속초, 동해, 강릉 등 5곳 이었으나, $2004{\sim}2007$년 사이에는 원주, 춘천 등 2곳만이 중간거점도시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속초와 동해는 서울, 경기도로 주로 옮겨가는 특성을 보였으며, 강릉은 서울, 경기와 춘천 및 원주로 동시에 유출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와 함께 분석결과는 조사기간 중 전반기에는 중간거점도시보다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이 많았으나 후반기에 들어서 거점도시인 춘천, 원주로 옮겨간 인구수가 거점도시에서 수도권으로 간 인구수보다 더 많은 특징을 보였다. 이는 중간거점도시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 될 수 있다.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목재 식기용 에폭시 코팅의 두께 결정 (Determining the Safer Thickness of the Epoxy Coating on Wooden Utensils)

  • 이광수;임동길;김상엽;장미란;김우성;이영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47-450
    • /
    • 2004
  • 목재에 코팅재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로부터의 총괄이행량에 대한 모델을 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안전성확보에 필요한 두께의 정도를 계산하였다. 에폭시 수지를 통한 총괄이행은 위생적 관심영역에서 확산모델에 의하여 해석이 가능하였고, 투과성 겉보기 투과성 지표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은 Arrhenius 방정식으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인 식품공전의 6$0^{\circ}C$, 30분의 용출조건에서 위생적 한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최소의 코팅두께는 0.004 mm였다.

Detection of DNA Rearrangement in Rice Using a Cosmid Library

  • 문은표;남백희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629-635
    • /
    • 1997
  • Previously we reported the migration and rearrangement of a chloroplast gene cluster into mitochondria. The exact genomic locations of the clusters, modes of the gene rearrangement and mechanisms of the interorganellar migration of the clusters have yet to be understood. The detailed analysis needs to include a larger region of DNA surrounding each cluster. To study DNA rearrangement and migration in more detail a cosmid library was constructed using the total rice genomic DNA including nuclear, chloroplast and mitochondrial DNA. From this cosmid library, a sub-library was obtained by selecting the clones hybridized to various regions of chloroplast DNA. According to the hybridization pattern 136 clones from the sub-library were classified into 29 groups. Detailed analysis of these clones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authentic chloroplast DNA, the clones contain its homologs resulted from rearrangement and mutation. We analyzed two clones in detail, which contain different rp12 homologs resulted from rearrangement and/or migration, respectively.

  • PDF

한국의 인구이동 패턴변화와 수도권의 인구이동 (Changing Patterns of Internal Migration of Korea and Population Movement into the Capital Region)

  • 최진호
    • 한국인구학
    • /
    • 제17권2호
    • /
    • pp.1-20
    • /
    • 1994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hanges in internal migration patterns during 1960 - 1990 period, and to analyze population movement to and from the Capital Region. The overall mobility rate of the whole Korean population has heen increasing since the 1960s, and reached to 24.6% in 1985 - 90 period. The most interesting changes in the migration pattern is that Seoul lost its population through migration during 1985 - 90, mainly due to heavy outmigration to Kyonggi province.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inmigrants to the Capital Region reveals that those moved to Seoul are more likely to be young, better educated, never married and engage in service sector in comparison with migrants moved to the suburban districts and the outlying Kyonggi province. However, on the whole migrants moved to the Capital Region are overrepresented in manufacturing sector, which suggests that more effective policy measures to control the growth of manufacturing sector in the Capital Region is called f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