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aged Single Mother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중년기 여성 한부모의 주관적 안녕감 예측 변인 (Predictors of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Single Mothers)

  • 최자혜;손서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85-94
    • /
    • 2022
  • 본 연구는 이혼·사별을 경험한 중년기 여성 한부모의 주관적 안녕감 예측 변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7차 응답자 중 혼인상태가 이혼 혹은 사별인 40세에서 60세 중년기 유자녀 취업 여성 244명을 대상으로 빈도, 평균 등의 기술통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중년기 여성 한부모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 및 일 관련 변인으로는 결혼지위, 주관적 건강상태, 여가활동만족도, 스트레스, 일 만족도, 일-가족 향상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의 경우 주관적 경제상태,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쳤다. 중년기 여성 한부모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해 건강한 여가 활동 참여 및 스트레스 관리, 일 만족도 향상이 중요함을 발견하였고 이와 관련한 중년기 여성 한부모 대상 정책 방향을 논의하였다.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의 자기실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심상유도 음악치료(GIM) 적용-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Self-actualization of Middle-aged Single Mothers - Application of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

  • 임재영;신동열;이주영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2호
    • /
    • pp.55-62
    • /
    • 2021
  • 한 부모 가족은 2000년 이후로 증가하였는데 50대의 이혼율의 급증과 40대와 50대 남성의 사망률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은 생의 발달 과정이라는 시기와 맞물려 자기실현의 의식화 과정이 드러나는 시기에 속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 부모 중년여성가장의 GIM을 통한 자기실현의 과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2020년 6월까지 4명의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 10~11회기의 GIM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이 GIM을 통해 경험한 심상을 신체, 감정, 기억사고, 감각의 4개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하고, 8개의 의미단위 요소를 46개로 범주화하였으며, 152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둘째, GIM을 통해 경험된 자기실현 과정은 참여자들에게 그림자와 페르소나, 자기라는 원형상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GIM 안에서 현재 가족관계의 부정적인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고 수동적인 자신의 심상 안에서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는 경험을 통하여 그림자의 의식화 과정을 거쳤으며, 긍정적이고 밝았던 자신의 내적인 모습을 재확인하였다. 이들은 부모나 형제들에게 억압되고 소외된 자신의 삶이 착한 딸과 종교인이라는 페르소나에 억눌린 상태와, 분노하는 자신과 타인을 향한 이중적인 사고와 감정을 지니게 된 현재 상태를 연관 지어 경험하며 페르소나의 자각과 재정립을 이루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심상의 경험과 음악을 접하며 부정적 사건의 재경험을 이끌어 냄으로써 고유한 자기로 새롭게 탄생하는 본질적인 자기다움의 자기실현과정을 이루는데 의의가 있다

모녀애착의 세대 전수와 성인 미혼 딸의 자아탄력성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other-Daughter Attachment and Unmarried Adult Daughter's Ego-Resiliency)

  • 임경이;전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1호
    • /
    • pp.197-20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other-daughter attachment across three generation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mother-daughter attachment of three generations influences the adult daughter's ego-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0 unmarried adult women aged 20${\sim}$29, residing in the Busan area, and their 310 middle-aged mothers. The mothers responded to two sets of questionnaire investigating their attachment to their mothers (G1-G2) in the past and the present attachment to their adult daughters (G2-G3). Meanwhile, the adult daughters were given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their ego-resiliency. The measure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 and the Ego-Resiliency Scale (ER). Among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265 sets were collected and 252 sets were actually analyzed using SPSS 12.0 after 13 sets had been excluded due to incomplete data. Basic statistics were used such as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dult daughter-mother (G2-G3) attachment was explained mostly by mother-grandmother (G1-G2) attachment, daughter's age, and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The strongest factor was the mother-grandmother attachment which implies the transmission of attachment through generations. Second,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go-resilience of an unmarried adult daughter, attachment to one's mother perceived by the daughter turned out to be the most significant. Especially, the more positive the adult daughter's emotion toward her mother and the higher the daughter's education, the stronger the ego-resilience of the adult single daughter was. It was concluded that the mother-daughter attachment remained consistent throughout three generations, which influenced the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 adult unmarried daugh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