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and Elderly Generation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A Study on Welfare Policy for the Aged for the Elderly and Jeong Yak-Yong's Awareness in the Mokminsimseo

  • Kim, Kyung Hwan;Kim, Tae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79-85
    • /
    • 2022
  •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All citizens have dignity and values as humans and have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There is a need for support measures such as a means to realize the respect of dignity and values as humans, and how to efficiently maintain policies on welfare for the elderly classified as the socially disadvantaged.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an elderly-friendly city for economic, physical, and social life. Dasan Jeong Yak-yong's respect for adults was to practice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so this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ast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was considered important to think of adults first in practicing filial piety.This study focuses o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one of the welfare policy measures for the elderly. The significance of implementing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is to benefit not only the elderly, but also all generations, including the middle-aged and children who were in charge of long-term care.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properly manage the factors of the social insurance financial crisis caused by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In addition, concerns about health insurance are high, so it is necessary to secure an appropriate level of government budget for health insurance financial management and minimize unnecessary non-benefi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duce appropriate medical use through connection with construction medical insurance.

모녀애착의 세대 전수와 성인 미혼 딸의 자아탄력성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other-Daughter Attachment and Unmarried Adult Daughter's Ego-Resiliency)

  • 임경이;전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1호
    • /
    • pp.197-20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other-daughter attachment across three generation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mother-daughter attachment of three generations influences the adult daughter's ego-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0 unmarried adult women aged 20${\sim}$29, residing in the Busan area, and their 310 middle-aged mothers. The mothers responded to two sets of questionnaire investigating their attachment to their mothers (G1-G2) in the past and the present attachment to their adult daughters (G2-G3). Meanwhile, the adult daughters were given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their ego-resiliency. The measure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 and the Ego-Resiliency Scale (ER). Among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265 sets were collected and 252 sets were actually analyzed using SPSS 12.0 after 13 sets had been excluded due to incomplete data. Basic statistics were used such as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dult daughter-mother (G2-G3) attachment was explained mostly by mother-grandmother (G1-G2) attachment, daughter's age, and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The strongest factor was the mother-grandmother attachment which implies the transmission of attachment through generations. Second,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go-resilience of an unmarried adult daughter, attachment to one's mother perceived by the daughter turned out to be the most significant. Especially, the more positive the adult daughter's emotion toward her mother and the higher the daughter's education, the stronger the ego-resilience of the adult single daughter was. It was concluded that the mother-daughter attachment remained consistent throughout three generations, which influenced the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 adult unmarried daughter.

중장년층의 활동적 노화 정책 및 사업 연구: 서울특별시50플러스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active aging policies and program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t The Seoul50Plus Foundation)

  • 주용국;신민주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269-289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활동적 노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첫째, 서울특별시50플러스 정책 및 사업사례를 분석하고, 둘째,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활동적 노화와 평생학습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 및 사업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은 단일 사례연구를 활용하였으며, 사례의 분석틀은 정책 및 사업의 배경-환경, 이념-목표, 주체-대상, 과정-영역의 4가지로 접근하였다. 분석 자료는 서울특별시50플러스 정책 및 사업 관련 연구보고서와 관련 연구 자료, 재단 실무자의 간담회 발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책 및 사업의 배경·환경에서는 고령사회로의 환경 변화 대응은 정책의 필수적 요소로 나타났다. 정책이념-목표에서는 '새로운 인생비전 창조'의 이념과 활동적 노화를 위한 일자리창출, 사회적 참여, 인생설계 측면의 3가지 측면의 정체성 접근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체-대상측면에서는 정책의 실행 주체는 서울50플러스재단, 50플러스캠퍼스, 50플러스센터의 체계적인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나 대상은 50+세대(50~64세)로만 제한되어 있고, 희망자만 참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과정-영역 분석에서는 중장년층의 특성에 맞추어 교육지원, 일·창업 지원, 상담정보 제공, 신노년문화 창조 활동 등의 프로그램이 연계적으로 부가가치를 높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향후 제언으로는 정책 및 사업은 중장년층의 특성에 맞추고, 지역의 산업과 대학 등과 연계하여 추진하며, 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하고, 사업 간 가치를 높이기 위한 연계가 필요하다.

온라인 패션 쇼핑몰 챗봇의 커뮤니케이션 실패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반응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o the Communication Failure of Chatbots in Online Fashion Shopping Malls)

  • 서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3-19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o communication failure of chatbots caused by their imperfection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1) the relationship among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dissatisfaction, negative behavior (complaint, negative word-of-mouth (nWOM), and inertia); 2)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and dissatisfaction; 3) the differences in the negative responses between the generation MZ and the previous generations.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First, the participants interacted with the chatbot developed for this survey, to experience the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Thereafter,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PLS-SEM was conducted using the R software environment to test the hypotheses.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at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positively affected dissatisfaction. In addition, the customers who were more dissatisfied with the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s were more likely to complain than engage in nWOM. Compared to the generation MZ,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caused a higher level of dissatisfaction in previous gener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online shopping malls should carefully introduce an improved chatbot service after minimizing its communication failure rate. The chatbot developers of online shopping malls targeting middle-aged and elderly consumers should strive to develop and implement strategies to further alleviate consumers' dissatisfaction in the situation of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3세대 동거주택에 대한 부모.손자녀세대의 의식주 (A Study on the Housing Consciousness of the Parent & Children generation for the 3-Generations Sharing)

  • 이동숙;윤충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12
    • /
    • 2000
  • Comparing with an upper generation who have experienced a living with a extended family in a sudden aged tendency, the Parent & Children generation who haven't had a experience in it. So they have much different life styles each generation. It may cause many problems that many generation are living in a common residential space. Further more every generation gets their own characteristic of the life style. In addition, the middle & lower generations's understanding can be explained on their position about an Grand-parent generation's using. In this study, I am going to find out the problems in these situation in comparison with each generation's understanding dwelling environment among them, and then analyze what affection of 3-generation sharing preference standard is given by the differences each generation have with the above result. The standard of living with an Grand-parent generation ; Children generation or living separately through evaluating the Parent & Children generation's residence surroundings will be estimated and the standard of importance of sharing house will be analyzed. And then the result will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of planning the 3-generation sharing house.

  • PDF

스웨덴과 덴마크 노인용 코하우징 주민의 생활만족도 비교 (Comparative Study of Inhabitants' Life Satisfaction in Senior Cohousing Communities between Sweden and Denmark)

  • 최정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49-160
    • /
    • 2005
  • There is an increasing curiosity in Nordic as well as Far East Asian countries about senior cohousing, where the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55+. form a community for independent living. What are the ideas behind senior cohousins? Why are people moving to senior cohousing community? What may senior cohousing provide and mean for individuals and groups of the elderly? Is senior cohousing a sustainable idea for future generations of elderly people? There is a curiosity among elderly people looking for interesting alternatives. Municipalities and state authorities hope that senior cohousing can contribute to the welfare of the elderly as the scope far support by the public sector is decreasing. Actors in the building sector are interested In investment and meeting the demands. In Denmark and Sweden the senior cohousing concept had a revival around 1985. In Denmark there has been a vivid discussion and plenty of books have been published. In Sweden there are few evaluations but an increasing interest.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Danish, Swedish and Nordic as well as Far East Asian countries, there is a concern to explore and compare to get more facts and deeper understanding far further actions.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inhabitants' life satisfaction in cohousing communities in Denmark and Sweden. The study is based on discussions with cohousing providers, study-visits in cohousing communities and a questionnaire to residents themselves. Study-visits took place during springtime and the questionnaires were handled spring and summer of 2002. 655 senio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from 14 seniorbofae llesskaber (rented or housing cooperatives) in Denmark, 11 seniorhus within the SABO sector (municipality owned housing with rental apartments) and 8 housing cooperatives initiated by the Seniorgarden Housing Company in Sweden.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 and chi-square test. This paper focused three major areas of interest; 1)characteristics of the inhabitants. 2)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and mutual cooperation among residents and 3) evaluative outcomes from the inhabitants' points of view. Mainly the inhabitants expressed quite positive experiences of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everyday lift and a few difference was found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Denmark and Sweden.

생애주기별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년, 중년, 노년층의 3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ntry of Depression by Life Cycle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Three Generations of Adulthood, Middle Age and Old Age -)

  • 정준수;이혜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2호
    • /
    • pp.117-14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세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생애 주기별 우울 예방의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3~10차 조사 자료를 결합하여, 성년층과 중년층, 노년층의 우울진입 영향요인을 이산시간위험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세대 공통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수입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세대별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연령과 교육수준, 건강상태, 만성질환유무, 취업여부, 권역별지역, 여가생활 만족도였다. 성년(20~39세)의 경우 나이가 적을수록,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 미취업자가 취업자보다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다. 반면 중년층(40~64세)의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에, 여가생활 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노년층(65세 이상)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도농 복합군이 서울보다, 여가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진입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진입을 예방하기 위해 세대별로 드러난 특성이 반영된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친밀감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노인인식과 치매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s of Family Friendship on the Elderly's Consciousness: A Study on the Effects of Mediation on the Recognition of the Elderly and the Attitude to Dementia)

  • 최윤지;오광수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723-739
    • /
    • 2019
  • 본 연구는 개인주의화, 만혼현상, 이혼율 증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가족구조와 기능이 빠른 속도로 변화되는 추세에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가족친밀감이 노인부양의식의 영향관계에서 노인인식과 치매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SPSS 20.0과 AMO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기술통계, 상관관계, 요인분석, 구조모형검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밀감, 노인인식, 노인부양의식은 초등학생이 가장 높고,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연령'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1). 또 종교에서는 종교가 있는 청소년의 가족친밀감이 종교가 없는 청소년 보다 더 높았다(p<.001). 둘째, 가족친밀감은 노인인식과 치매에 대한 태도, 노인부양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노인인식은 치매에 대한 태도에, 치매에 대한 태도는 노인부양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족친밀감(부모-자녀)은 노인인식에 7.8%,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이 치매에 대한 태도에 20.2%, 치매에 대한 태도와 가족친밀감이 노인부양의식에 34.1%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가족친밀감과 노인부양 의식 간의 노인인식, 치매에 대한 태도의 절대 값이 1.96보다 높게 나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초기에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 치매에 대한 태도의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청소년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가 올바른 지식을 전달과 긍정적인 부양의식 해결과 함께 세대 간의 갈등 해소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교육복지에 기여하고자 한다.

오팔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Style and the Preparation of Old Age in Opal Generation)

  • 임미정;최규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9-65
    • /
    • 2022
  • 최근에 신중년이라 불리는 1955년에서 1974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는 거대 인구 집단을 형성하며 이전의 전통적 노인 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전체 국가 인구의 33%를 차지하는 이들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신세대 노인인구집단의 등장과 이에 따른 정책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오팔세대라고 불리기도 하는 신중년층은 평균수명의 증가로 늘어난 노년기를 생산적이고 자율적으로 보내고 싶어 하며 노후에 해외여행을 즐기는 등 어느 정도 경제적 능력도 지니고 있지만, 다른 한편 여가·취미활동, 대인관계 등 활동적 노년에 대한 준비가 미흡해서 신세대로서의 신중년층을 위한 정책적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오팔세대의 정의, 그들의 소비생활을 비롯한 태도, 사회활동, 여가활동, 건강에 대한 노력 등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알아보고, 오팔세대에 맞는 고용창출, 사회적 재교육, 지역의료시설 구축, 여가문화 생활을 위한 사회적 배려 등 노후준비에 대해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화에 대한 재해석: 노년초월 이론과 9단계이론을 중심으로 (Re-interpretation of Aging: Gerotranscendence & Erikson & Erikson's Nineth Stage)

  • 윤민석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431-446
    • /
    • 2012
  • 본 연구는 노년초월 이론과 Erikson & Erikson의 9단계 이론을 소개함으로써, 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우리나라에서 노화를 보다 긍정적이면서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알려진 Erikson의 인간발달 8단계의 확장이론인 Erikson & Erikson의 9단계 이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또한 이 이론의 가장 대표적인 현상으로 소개하는 '노년초월(Gerotranscendence)'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노년학계에서의 활용방안 등에 대하여 모색해보고자 한다. 노년초월의 개념은 Tornstam(1994)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고 이후 Erikson & Erikson(1997)의 9단계이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노년초월이란 중년기 이후 노년기에 접어든 개인이 "인생의 전반적인 시각을 물질주의적이고 합리적인 시각에서 보다 우주적이고 초월적인 시각으로 변화시키는 것"로 정의될 수 있다. 노년초월은 많은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자기 초월의 자발적 과정으로서, 사회적으로 정의되는 자기(self)에게 덜 의존하게 되고, 내면성이 증가하고 이전 세대와 미래 세대와의 연결감이 더 커지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노년초월에 대한 이론적 평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Erikson & Erikson의 9단계 이론과 그 대표적인 현상으로 인식되는 노년초월 이론을 처음으로 소개하여 노년학 이론의 적용범위를 확대하였다. 둘째,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노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하였다. 셋째, 노년초월 이론을 우리나라에서 적용시키고 확대시킴으로써 다른 학문 분야와의 폭넓은 연구교류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