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 aged women

검색결과 1,311건 처리시간 0.029초

성인의 건강관련 생활양식과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 (Association of Dental Caries with Health Lifestyle in Adults)

  • 김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3-339
    • /
    • 2015
  • 본 연구는 성인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제6기 1차년도(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중 건강설문 검진조사, 영양조사를 완료한 10,113명 중 만 19세 이상의 성인과 영구치우식 유병자 여부 카테코리에 대한 정보가 갖춰진 4,843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 경제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유병률은 성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p<0.001), 연령별로는 30대, 20대, 40대, 60대 이상, 50대 순으로 나타났다(p<0.05).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고졸, 중졸, 대졸 이상 순으로 나타났고(p<0.05), 월 소득수준은 '하'인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건강관련 생활양식에 따른 치아우식증 유병률은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01), 비만의 경우 정상보다 다소 높았으며(p<0.05), 구강검진을 받지 않은 경우가 받는 경우보다 높았다(p<0.001). 일일 칫솔질 횟수가 증가할수록(p<0.05), 치실, 치간칫솔을 사용하는 경우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치아우식증 여부를 종속변수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별, 연령, 소득수준, 흡연, 구강검진, 치실사용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 성인의 사회 경제적 요인 및 생활양식은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인의 치아우식증 예방 및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할 수 있는 구강건강교육 및 실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율동적 동작 훈련이 젊은 여성의 Wellness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Dance Movement Training on the Wellness of young Women)

  • 최명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8-548
    • /
    • 1995
  • Exercises are achievement oriented, the process is frequently perceived as hard and difficult Participants drop out from exercise programs in the middle of the training period. Dance movement, which is the deliberate and systematic use of movement, is enjoyable during the movement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persons to express them-selves. Regular long term dance movement may in-duce a training effect with a decreased drop out rate. Dance movement could be one way to attain wellnes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o evaluate bot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dance movement.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ng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raining on body weight, rest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limb circumference and strength, stress response and subjective feeling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test -post test study. Ten healthy fe-male subjects, aged between 19 and 31 years volunteered for an eight week dance movement program. Ten healthy female subjects, between 19 and 21 years of age paticipated as controls. None of the subjects had performed regular physical activity for six months prior to the study. Dance movement was created with reference to Heber's movement guide. The Dance movement program consisted of approximately 30 minutes of dance, three days per week, for eight weeks. During each 30 minute work out, there were approximately 5 minutes of warm-up dancing, 20 minutes of conditioning dance and 5 minutes of cool-down dancing. The intensity for the conditioning phase was at between 60% and 65% of age-adjusted maximum heart rates. Body weight, rest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circumference of mid upper arm, mid thigh and mid calf, muscle strength of upper and lower limb,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 to stress were measur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Body weight was measured by digital weight scale(Kyung In Corp., Korea). Rest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y sphygmomanometer, Resting heart rate was measured for one minute in a relaxed sitting position using the radial artery. Circumference of mid upper arm, mid thigh and mid calf was determined by tape measure. Muscle strength of the upper extremities was measured by a grip dynamometer (Takei Corp. No.1857, Japan) and that of the extremities was measured by the length of time the leg could be held at 45°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stress were measured using the Symptoms of Stress (SOS)Scale. Paticipants in the dance movement were interviewed by the facilitator following the eight weeks, and their thematic responses about the dance movement were recorded. Following the eight week dance movement train-ing, body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circumference of mid thigh and mid calf increased. The length of time leg - raising could be held tended to increase following the dance movement training. Resting systolic and resting heart rat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otal mean score of stress response tended to de-crease, and mean score of habitual patterns, do-pression, anxiety / fear, anger and cognitive disorganization decreased remarkably following the eight week dance movement. Thematic responses about the dance movement were positive following the training.

  • PDF

Fracture patterns in the maxillofacial region: a four-year retrospective study

  • Park, Kyung-Pil;Lim, Seong-Un;Kim, Jeong-Hwan;Chun, Won-Bae;Shin, Dong-Whan;Kim, Jun-Young;Lee, 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1권6호
    • /
    • pp.306-316
    • /
    • 2015
  • Objectives: The facial bones are the most noticeable area in the human body, and facial injuries can cause significant functional, aesthetic, and psychological complications. Continuous study of the patterns of facial bone fractures and changes in trends is helpful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xillofacial fractur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clinico-statistic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facial fractures over a 4-year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824 fracture sites was carried out in 1,284 patients admitted to SMG-SNU Boramae Medical Center for facial bone fracture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3. We evaluated the distributions of age/gender/season, fracture site, cause of injury, duration from injury to treatment, hospitalization period,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The ratio of men to women was 3.2:1. Most fractures occurred in individuals aged between teens to 40s and were most prevalent at the middle and end of the month. Fractures occurred in the nasal bone (65.0%), orbital wall (29.2%), maxillary wall (15.3%), zygomatic arch (13.2%), zygomaticomaxillary complex (9.8%), mandibular symphysis (6.5%), mandibular angle (5.9%), mandibular condyle (4.9%), and mandibular body (1.9%). The most common etiologies were fall (32.5%) and assault (26.0%). The average duration of injury to treatment was 6 days, and the average hospitalization period was 5 days. Eightee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7 patients, mainly infection and malocclusion in the mandible. Conclusion: This study reflects the tendency for trauma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because it analyzes all facial fracture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regardless of the specific department. Distinctively, in this study, midfacial fractures had a much higher incidence than mandible fractures.

H 감비탕(GB-001)이 폐경 전·후 비만 여성의 체중감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향적 연구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Effects of H Gambitang (GB-001) on Weight Loss in Pre- and Post-Menopausal Obese Woman)

  • 조홍석;서연호;김고운;조재흥;송미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0-30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H Gambitang (GB-001) on body composition and basal metabolic rate in pre- and post-menopausal obese woman retrospectivel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57 middle-aged obese wome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re-menopausal obesity group (Pr-MOG; n=34) and post-menopausal obesity group (Po-MOG; amenorrhea was continued to 14~48 month, n=23)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ge, height,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All subjects took herbal medicine 3 times a day, for 6 weeks during treatment period. The weight, height, body fat mass, skeletal muscle mass, and basal metabolic rate of all subjects were measured on first visit. The following measurements were repeated after 2 weeks (2nd), 4 weeks (3rd) and 6 weeks (4th) with Inbody 370 (Biospace) equipment to identify changes of body fat mass, skeletal muscle mass, and basal metabolic rate. Results are represented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Po-MOG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crease rate in weight reduction on 2~6 weeks while significantly higher decrease rate in skeletal muscle reduction on 4~6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body fat reduction rate and basal metabolic increasing rate. Conclusions: H Gambitang (GB-001) can be used not only in Pr-MOG but in Po-MOG in weight loss although the effect can be lower in Po-MOG. To prevent skeletal muscle mass loss in Po-MOG, following study on adjusting dose and components of H Gambitang (GB-001) thought to be necessary.

모시대잎을 이용한 항산화 및 피부개선 효과 측정 (Measuring of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Improvement Effect using Adenophora remotiflora leaf)

  • 이민정;이연희;김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39-246
    • /
    • 2013
  • 본 연구는 모시대(Adenophora remotrflora)잎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시대잎의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모시대잎 열수추출물의 DPPH 소거능이 에탄올추출물에 비하여 약 9% 정도 높은 값을 보였고(p<0.05),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경우에는 열수추출물(65.22%)이 에탄올추출물(63.50%)에 비해서 약간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의 경우에는 에탄올추출물(47.90 mg/mL)이 열수추출물(40.82 mg/mL)에 비해 유의차 있는 효능을 보였다(p<0.05). 2011년 10월 20부터 11월 17일까지 35~60세 중년여성 16명을 대상으로 오른쪽 얼굴에는 베이스팩을, 왼쪽 얼굴에는 모시대잎 파우더팩을 주 2회씩 4주 동안 적용하여 수분, 거칠기, 모공, 투명도를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 색소침착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나(p<0.05) 거칠기, 모공크기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모시대잎은 새로운 화장품소재로서 피부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Mecab-ko 형태소 분석을 이용한 한국체육학회지 연구동향 분석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f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using Mecab-ko Morphology Analyzer)

  • 박성건;김완섭;이대택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6호
    • /
    • pp.595-60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Mecab-ko 형태소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체육학회 연구자들이 선호하는 연구 분야가 무엇이며,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분야 간 연구자들의 관심사에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이유는 무엇인지 텍스트 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데이터는 2002년 3월~2017년 3월까지 한국체육학회지 온라인에 게재된 5,014편의 논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문서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해 Mecab-ko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체육학회지에 게재되는 논문 수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이 선호하는 연구 분야는 여가, 생활체육 및 건강이 경기력 향상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관심이 높은 연구 대상은 여성, 중년, 노인으로 나타났다. 인문사회과학 분야 연구자들은 전통적 연구 분야와 사회적 관심사에 모두 관심을 보인 반면에, 자연과학 분야 연구자들은 전통적 연구를 보다 깊게 연구하는 것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포츠 분야 융합 연구 활성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깊이와 폭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학문 분야가 무엇인지, 새로운 학문 분류 체계 및 정립이 필요하다.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가 가족의 생활시간에 미친 영향: 삼중차이 방법의 적용 (The Effects of the Expansion of Formal Hom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n Time Allocation of Family in Korea)

  • 이승호;변금선;신유미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227-256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가 노인을 돌보는 가족 구성원의 생활시간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다. 고령화와 가족구조의 변화 등으로 노인에 대한 가족의 돌봄부담이 가중되면서 공적 노인돌봄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2000년대 이후부터 관련 제도가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노인돌봄 부담을 구성원이 직접 노인을 돌보는 부분과 이로 인해 노동이나 가사, 여가 등의 다른 주요 생활에 제약을 받는 부분으로 구분하고,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로 이러한 부담이 감소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생활시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도 확대의 효과는 건강이 취약한 노인을 돌보는 중하위 소득수준의 가구를 처치집단으로 삼아서 비교적 건강한 노인을 돌보는 가구 및 고소득 가구와의 비교를 통해 제도 효과를 추정하는 삼중차이(DDD)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 구성원의 노인돌봄 시간을 감소시켰다. 이는 제도 확대의 목적과 부합하는 결과이지만, 돌봄 시간의 감소 정도가 크지 않았고, 여성 가구원에게만 그러한 효과가 관측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도 드러났다. 또한 노인돌봄 시간이 감소한 여성 가구원의 경우에도, 가사, 노동, 여가, 비노인돌봄 및 개인유지 등의 다른 생활시간 범주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가족의 노인돌봄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공적돌봄의 대체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해 보인다.

유서에 반영된 부정적 요인과 대안으로서의 웰에이징 요소 연구 (A study on the negative factors reflected in the will and the factors of well-aging as an alternative)

  • 박아르마;권온;안상윤;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343-352
    • /
    • 2021
  • 본 연구는 유서에 반영된 부정적 요인과 대안으로서의 웰에이징 요소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기간 및 대상은 2008년~2020년에 언론에 공개된 유서 36건이다. 조사 결과 13세~34세의 청(소)년기 유서에서는 여러 측면의 부정적 요인이 발견되었다. 35세~49세 사이의 중년기 유서에서는 여성 작성자가 부재하는 특성이 발견되었다. 50세~64세 사이의 장년기 유서에서는 사회·경제적 측면의 부정적 요인이 두드러졌다. 65세 이상의 노년기 유서 작성자는 모두 여성이었고 그들의 글은 정신적 측면과 강하게 결부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한 유서는 역설적으로 온전한 삶을 위한 제안서가 될 수 있다. 유서는 웰에이징의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는 기록이다. 유서의 출처로는 중앙일간지와 방송 및 지역 언론이다. 본 연구는 유서 작성 인원의 연령과 성별 그리고 유서에 반영된 부정적 요인의 세 가지 측면 곧 신체적 측면, 정신적 측면, 사회·경제적 측면을 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유서에 노출된 단어나 표현 등의 빈도를 분석하고 키워드를 워드 클라우드로 생성하였다.

대전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로 내원한 돌발성 난청 환자 특성 분석 - 2013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 (A Clinical Analysis on Outpatients with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Department at Daejeon Korean Medicine Hospital -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1 -)

  • 최윤영;변정아;백종찬;황미리;안재현;정현아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46
    • /
    • 202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utpatients who visited for treatment for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n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linic of Daejeon Korean medical hospital from January 1st, 2013 to December 31th, 2021.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outpatients who visited for treatment for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n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linic of Daejeon Korean medical hospital from January 1st, 2013 to December 31th, 2021. according to year, season, gender, age, clinical symptoms, number of visits and initial degree of hearing loss. The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using IBM SPSS 25.0 for Windows. Results :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cal records of 194 patient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atients showed a gradual increase from 2014 to 2021 and spring was highest in season. Acc ording to gender, women visited more than men and the age group that visited the most was middle-aged, including 40s and 50s. 2. Patients experienced 13 symptoms and the average number was 4.06. In the analysis of the major symptoms according to gender, hyperacusis and headache were found to be more common in female. 3. The average of initial hearing loss was 52.54dB and was higher in male. The loss was relatively higher in 60s or older than in the younger age group. Conclusions : If treatment and management methods that reflect these symptoms are developed, it is thought that it will greatly helpfu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sudden hearing loss.

조기경험이 노인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arly Traumatic Experience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 이광헌;이중훈;이종범;박병탁;정성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2호
    • /
    • pp.67-77
    • /
    • 1990
  • 1988년 대구시내 거주하는 노인 278명을 대상으로 하여 불안우울통합척도(CADS)와 조기경험척도(PTES)로 평가한 성적은 다음과 같다. l. CADS로 평가한 성적이 49점이하는 대조군, 50점 이상은 실험군으로 나누었으며 이들 양군의 성적은 대조군 $40.15{\pm}6.19$, 실험군이 $57.75{\pm}6.37$로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2. 실험군과 대조군이 각각 평가한 불안우울 항목은 성욕감퇴(Decreased libido) 피로감(Fatigue) 정신적 혼란(Mental disintegration) 정신운동지연(Psychomotor retardation) 및 이상감각과 전신통증(Paresthesis and Body-ache & pain)등이 있다.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다음과 같은 조기경험 항목이 유의하게 높은 의미를 보였다. 식생활 곤란(Dietary life difficulty), 가족중 과음주자(Alcoholism among family members), 부모간의 불화(Disunion between husband and wife), 부자간의 불화(Trouble between mother and children), 모친상실(Early maternal loss), 부모의 무관심(Patent's indifference), 원치 않는 출생(Unwanted birth)등이었다(p<0.001). 그리고, 거부적 부모태도 항목중 주워 온 자식이란 부모의 위협(Threat of parent's rejection), 차라리 죽어버리라는 위협(Threat of my parent desiring my early death), 부모의 과잉간섭, 심한징벌(Severe punishment by parent), 잡일 시키기(Parent's demand of doing domestic chores) 및 기타 정신 사회적요인 항목중 도깨비나 귀신의 위협(Fear of devil or ghost)등이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했을 때 실험군에서 조기경험성적이 유의하게 높은 사회 정신의학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성별, 연령별, 결혼 상태별 및 성장지별성적은 실험군에서 모두 높았다(p<0.001). 노인자신이 무직, 중류 및 하류계층일 경우와 부모가 농업 및 상업일 경우 그리고 무종교나 불교일 경우에 조기경험성적이 높았다(p<0.001). 형제자매가 많거나 자녀가 많을 경우 노인자신이 자녀와 동거할 때 조기경험성적이 높았다(p<0.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