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pyl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1초

수정전후 무지개 송어 (Oncorhynchus mykiss)의 생식세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s of Germ Cells Before and After Insemination in Rainbow Tront, Oncorhynchus mykiss)

  • Yoon, Jong-Man;Park, Hong-Ya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1-6
    • /
    • 2000
  • 광학,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성숙난자의 방사대와 난문 및 정자가 난문으로부터 난세포질까지 침투하는 과정의 미세구조를 조사하였다. 무지개송어의 난문은 깔때기 모양의 전정부와 방사대를 가로 지르는 나사선 모양의 도관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난문은 윗부분은 편평하면서 긴 도관 모양을 가지고 있었고, 난문벽은 시계방향(우선형)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난문 주변부에 있는 난표면에는 정자를 접촉시키는 데 필요한 유인물 질을 분비하는 무수한 많은 돌출물이 원을 이루면서 존재하였다. 침투 초기단계에 난문의 도관에 있는 한 마리의 정자는 난표면에 수직상태로 확인되었고, 곧이어 수정이 이루어진지 250초가 경과하자 정자두부는 사라지게 되었다. 정자두부가 난내부로 침투한 이후에 난표면에 있던 돌출물의 상호연결부위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른 부위로 정자가 침투하는 지를 살펴보았지만 그러한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난문의 수정추의 형태적인 구조를 관찰한 결과 이 미세구조물은 단 한 마리의 정자만을 허용함으로써 다정자침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양식산 경골어류 3종의 난문과 방사대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Egg Micropyles and Zona Radiata in Three Aquacultural Teleosts)

  • 윤종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6-133
    • /
    • 1999
  •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메기 (Silurus asotus) 그리고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의 성숙 난자의 방사대 (zona radiata) 및 난문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광학,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무지개송어와 메기의 난에 있는 난문은 깔대기 형태의 전정과 방사대를 통과하는 끝이 작아지는 통로로 구성되어 있었다. 무지개송어와 메기의 난문은 편평한 구멍과 긴 통로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내었다. 메기 난문의 구조는 무지개송어 난문의 구조와 일치되었다. 무지개송어의 난문을 구성하는 내부 벽은 시계방향(우선형)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미꾸리의 난문은 짧은 통로를 지닌 얕은 구멍을 가진 형태를 나타내었고, 시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난문의 벽은 방향성율 나타내었다. 미꾸리의 이러한 나선형의 방향은 무지개송어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개구부 바로 주변부에 있는 표면은 실험에 이용된 3가지 어류에서 모두 여러 가지 크기의 작은 구멍이 존재하였다. 상호 연결부위 (ridge)가 모든 어류의 미수정된 난자에서 관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난성숙시 난막과 난문의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3가지 양식어종 난자의 표면형태와 난문의 미세구조를 상호 비교하였다.

  • PDF

경골어류 카라신과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from Hyphessobrycon serpae, Characidae, Teleost)

  • 김동희;등영건;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2호
    • /
    • pp.89-96
    • /
    • 2005
  • 카라신과(Characidae)에 속하는 Hemigrammus ocellifer, Gymnocorymbus ternetzi 및 Hemigrammus caudovittatus 의 경우 동물극 쪽에 정자의 통로인 난문 (micropyle)이 있으며, 3종 모두 난문 주위에 난막의 융기선이 방사형으로 위치하여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지만 난막의 단면구조는 종에 따라서 서로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난문의 구조가 카라신과 어류의 공통적인 과의 특성인지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카라신과 어류에서 난문의 구조가 과의 공통적인 특징인지 아니면 종만이 가지는 종특성인지를 확인하고 계통분류학적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과 난막의 외부 및 내부형태를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하였다.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은 구형의 무색투명한 부착성 및 침성란으로 유적 (oil droplet)과 부속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동물극 쪽에 수정을 위한 정자의 통로인 한 개의 난문 (micropyle)이 관찰되었고, 난문 주위에는 난막의 융기선이 방사형으로 배열하고 있었으며 난막의 융기선은 $13{\sim}15$개로 수정란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난막의 표면은 산란상에 부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망상형의 섬유상 구조물들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망상구조물 내부에 pore canal이 산재하고 있었다. 수정란 난막의 두께는 $0.9{\sim}1.0{\mu}m$였으며 3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외층은 부착기능을 하는 전자밀도가 가장 높은 섬유상층이었고, 중층은 표면에서 관찰되었던 pore canal들이 중층이 끊어진 형태로 완전히 관통되어 있었으며 내층은 전자밀도가 서로 다른 $6{\sim}7$층의 다층구조를 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 난막의 미세구조적 특징은 이 종만이 가지는 독특한 형태학적 형질로서 종을 분류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난문 주위에 난막의 융기선이 방사형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은 카라신과 어류의 공통적인 과 (Family)의 특성으로 생각된다.

A Microscopic Study on the Egg Envelope of an Endemic Korean Fish,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dae, Teleostei

  • Kim, Chi-Hong;Park, Jong-Sung;Kim, Jae-Goo;Park, Jong-Young
    • Applied Microscopy
    • /
    • 제44권3호
    • /
    • pp.96-99
    • /
    • 2014
  • Study on the egg envelope of an endemic Korean freshwater fish, Coreoleuciscus splendidus was carried out b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during its spawning season. The egg envelope on the entire egg is filled with plenty of long cylinder-like villi before and after fertilization. The fertilized eggs consist of two regions, the attaching and non-attaching parts to stick to the substrates. The villi covering the fertilized eggs have three kinds of villi in its length: 1) normal- sized villi of an average of $10.6{\mu}m$ on the non-attachment part; 2) longer and more slender villi over about $20{\mu}m$ on the attachment part, at least being two times longer than those of the non-attachment; and 3) shorter villi under about $5.0{\mu}m$ around the micropyle, with half the size of the non-attachment villi. The micropyle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five pieces of the ridges.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morphology of the fertilized egg and fertilized egg envelope of Poropanchax normani, Poeciliidae, Teleostei

  • Dong Heui Kim
    • Applied Microscopy
    • /
    • 제52권
    • /
    • pp.6.1-6.5
    • /
    • 2022
  • We examined the morphology of the fertilized egg and the fine structure of fertilized egg envelopes of Poropanchax normani belonging to the family Poeciliidae, also known as Norman's lampeye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fertilized eggs with narrow perivitelline space were found to be spherical and demersal, additionally containing small oil droplets in the vitelline membrane. Further, a bundle of adhesive filaments was observed to be present on one side of the fertilized egg. These filaments possessed remarkably high elasticity and were approximately 1-3mm in length. The size of the fertilized egg was determined to be about 1.49 ± 0.07mm (n=30). The outer surface appeared smooth, and adhesive filaments originating at different location of the surface of the envelope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around the egg envelope and were joined together to form a single long bundle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A peak-like structure formed of several straight wrinkles was observed around the micropyle. However, the complete structure of the micropyle could not be studied due to the depth at which it was located. Additionally, the total thickness of the egg envelope was ascertained to be approximately12.5-14.5㎛. The egg envelope consisted of two distinct layers, an outer electron dense layer and an inner lamellar layer, further consisting of 10 sublayers of varying thicknesses. Collectively, it was observed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ertilized egg, fine structures surrounding the micropyle, outer surface, adhesive structure consisting adhesive filaments, and sections of fertilized egg envelope displayed species specificity.

잇꽃 종자의 발아에서 제(Hilum)의 형태적 특성과 기능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Hilum in Safflower Seed Germination)

  • 안석현;정남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117-122
    • /
    • 2013
  • 본 실험은 경실 종자인 잇꽃의 종자구조와 발아특성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잇꽃 종자의 외형적 특징은 단단한 종피 표면에 제(hilum)와 주공(micropyle)이 있으며, 제는 종자의 발달과정에서 태좌와 연결되어 있었고, 주공은 암술대와 연결되어 있었던 부분이다. 종자 침종 후 2-3시간 후에 제의 표면이 열렸으며, 발아 시 유아(embryo)가 제를 뚫고 돌출되었다. 잇꽃 종자의 흡습 전에 제와 주공에 파라핀을 처리하여 밀봉한 결과, 제 부위를 밀봉한 처리에서 종자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아 잇꽃 종자의 수분과 산소 교환이 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잇꽃 종자의 제가 물에 잠기도록 수분을 공급한 발아실험(top of paper method)에서는 $15^{\circ}C$에서 31.3%, $20^{\circ}C$에서 15.7%, 그리고 $25^{\circ}C$에서 6.0%가 발아하였으며, between-paper method에 의한 실험에서는 $15^{\circ}C$에서 45.5%, $20^{\circ}C$에서 30.0%, $25^{\circ}C$ 14.0%로 발아율이 나타났고, 토양에 파종한 종자는 온도에 관계 없이 80% 내외의 발아율을 보여, 잇꽃 종자의 발아에 수분공급 조건과 온도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제(hilum)의 내부 구조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도관요소를 구성하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잇꽃 종자의 제(hilum)는 발아과정에서 수분흡수와 가스교환 통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Ultrastructure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s in Ancistrus cirrhosus, Loricariidae, Teleostei

  • Dong Heui Kim
    • Applied Microscopy
    • /
    • 제50권
    • /
    • pp.13.1-13.7
    • /
    • 2020
  • We examined the morphology of fertilized egg and ultrastructures of fertilized egg envelopes of Ancistrus cirrhosus belong to Loricariidae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fertilized eggs formed a mass on the spawning place and were yellowish, spherical, non-transparent, demersal, adhesive, and a narrow perivitelline space. But, the adhesiveness of fertilized eggs was disappeared after spawning excluding contact parts. The micropyle with funnel shape was surrounded by 15-19 furrow lines of egg envelope in a spoke-like pattern. The outer surface of egg envelope has smooth side and inner surface of egg envelope was rough with grooves. Also, the total thickness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was about 32.58 ± 0.85 ㎛ (n = 20), and the fertilized egg envelope consisted of three layers, an outer adhesive electron-dense layer, a middle layer with low electron density and an inner electron-dense layer with grooves in counter structure from other most teleost. Collectively,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dhesive property of fertilized egg, and ultrastructures of micropyle, outer surface, and section of fertilized egg envelope are showed species specificity.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의 난 형태와 초기생활사 (Egg Morphology and Early Life History of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

  • 백현민;송호복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281-286
    • /
    • 2005
  • A. signifer의 성숙난은 타원형이며 동물극쪽이 볼록하게 부푼 모양이다. 수정란의 크기는 장경이 $2.19{\pm}0.014mm$, 단경이 $1.85{\pm}0.080mm$로 장경이 단경보다 긴 모양이며 유구(oil globe)는 관찰되지 않았다. A. signifer의 방사대(zona radiata)는 그물과 같이 규칙적인 섬유성 그물(fibrilar net)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외측구의 직경이 약 $2.5{\mu}m$정도이고 내측구는 약 $1.5\sim2{\mu}m$이었다. A. signifer의 수정란은 $20{\pm}1^{\circ}C$하에서 동물극쪽에서 배반엽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발생이 진행되었으며 49시간 만에 부화하였고, 부화후 21일이 경과하여 난황이 모두 흡수되었다.

Comparative Ultrastructures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s in Nothobranchius foerschi and Nothobranchius rachovii, Nothobranchiidae, Teleostei

  • Kwon, Ohyun;Sohn, Joon Hyung;Chung, Dong Yong;Kim, Eun Jin;Kim, Dong Heui
    • Applied Microscopy
    • /
    • 제47권2호
    • /
    • pp.70-74
    • /
    • 2017
  • In the case of genus Nothobranchius, Nothobranchiidae, the morphology of fertilized eggs and ultrastructures of fertilized egg envelopes have been reported in only two fishes. Therefore it is hard for sure to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 genus specificity because of lower research samples. So, we studied the morphology of fertilized egg, and compared the ultrastructures of outer surface, micropyle, and section of fertilized egg envelopes under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from the other two species, Nothobranchius foerschi and Nothobranchius rachovii, Nothobranchiidae to find out whether these structures have the species specificity or not. Both fertilized eggs were spherical, demersal and adhesive, and have a large oil droplet. The adhesive whip-like structures were distributed on the outer surface of egg envelope, and a micropyle located on the animal pole. The fertilized egg envelope consisted of two distinct layers: an outer electron-dense layer with adhesive structures and an inner lamellae layer in both species. The external shapes of fertilized egg and ultrastuctures of outer surface, micropyle, and section of fertilized egg envelope have same structure including results before. Our data indicate that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rtilized egg and fertilized egg envelope show genus Nothobranchius specificity.

Comparative Ultrastructures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s in Danio rerio and Danio rerio var. frankei, Cyprinidae, Teleostei

  • Joo, Kyung Bok;Kim, Dong Heui
    • Applied Microscopy
    • /
    • 제43권1호
    • /
    • pp.14-20
    • /
    • 2013
  • The leopard danio, Danio rerio var. frankei is a spotted color morph of the zebrafish, Danio rerio caused by a pigment mutation. The structural differences of fertilized egg and egg envelope are poorly documented. To clarify this, we compared the fertilized egg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s of surface structures, the micropyle and the cross section of fertilized egg envelopes of zebrafish and leopard danio, variation species of zebrafish using a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Although the fertilized egg sizes were different, the external shapes of the fertilized eggs of two species couldn't be differentiated under the light microscope. The characteristics of fertilized eggs, such as a spherical shape, a non-adhesive quality and a large perivitelline space, were shown to be related to spawning habit. In ultrastructure of fertilized egg envelope, there is no morphological difference of micropyle between two species. By contrast, the ultrastructure and the numbers of knob-like structures and semihemisphere-like structures per unit area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number of lamellae of inner layer on the fertilized egg envelope section displayed definite species specificity. Collectively, our data indicate that the ultrastructure of fertilized egg envelope in the zebrafish could be differentiated by species var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