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graph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78초

유색 식물을 이용한 약초부각용 발효찹쌀풀의 당, 산도, 점도 및 색도 변화 (Changes in Sugar Level, Acidity, Viscosity, and Color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Waxy Rice Paste Containing Colored Agro-food Products)

  • 고영란;손미예;정경숙;왕수빈;강성구;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66-275
    • /
    • 2009
  • 천연색소를 함유한 유색식물체 분말(울금, 복분자, 백련초, 홍피망, 녹차, 단호박, 뽕잎)과 찹쌀분말에 1, 3, 5% 첨가하여 호화시켜 L. lactis 젖산균으로 배양한 약초부각용 발효 찹쌀풀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당과 환원당은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찹쌀풀이 대조구인 생찹쌀풀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총산도는 유색식물체 분말농도를 증가시킨 젖산균 발효풀에서 점진적으로 증가되었는데, 단호박($1.02{\sim}1.56%$), 홍피망($0.96{\sim}1.87%$)에서 $3{\sim}4$배 크게 나타났다. 점도는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찹쌀풀에서 모든 비발효 찹쌀풀에 비하여 아주 낮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울금과 백년초의 분말을 이용한 비발효풀의 점도는 $100{\sim}160{\times}10^4mPa{\cdot}s$ 범위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복분자와 녹차는 $40{\times}10^4mPa{\cdot}s$ 이하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차계 색도의 명도(L)는 대조구인 비발효 찹쌀풀에 비하여 발효찹쌀풀은 약간씩 감소되었고, 황색도(b)는 울금과 단호박이 가장 높았으며 젖산균 발효에 따라서 대부분의 색소분말은 황색도가 약간씩 증가하였다. 그리고 복분자 분말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찹쌀풀은 대조구에 비하여 기공의 형태가 일정하며 기공의 수가 많았다. 발효약초부각은 시판되는 해조류 부각보다 부드럽고 형태와 색상이 개선된 잠재적 기능성부각으로 판단된다.

흰쥐에서 Treadmill 훈련에 따른 심근의 적응과 cytochrome oxidase 활성에 관한 세포화학적 연구 (Cytochemical Study on the Cytochrome Oxidase Activity and Myocardial Adaptation to Treadmill Exercise in Rat)

  • 최정목;이충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1호
    • /
    • pp.59-70
    • /
    • 2001
  • 흰쥐를 실험 대상으로 하여 Treadmill 운동을 실시하여 운동에 의한 심근의 적응과 cytochrome oxidase 활성에 관한 세포화학적 연구 알아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SD계 웅성 흰쥐를 이용하여 출생 3개월 정도의 체중 $150{\pm}10g$정도로 실험을 시작하였다. 실험군은 일상 대조군과 운동군 2개군으로 나누고, 각각 1일, 3일, 1주일, 4주일, 8주일 및 12주일 동안 각각 4마리씩 운동시켜 실험에 이용하였다. 형태 계측학적 방법으로 심장의 무게변화, 심근섬유와 모세혈관의 비, 그리고 CO 활성정도를 측정하였다. 광학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심장무게 변화는 모든 실험군에서 실험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일상 대조군에 비해 운동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모세혈관과 근섬유 비율은 일상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운동군에서는 운동 4주일 이후부터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Cytochrome oxidase C 활성율은 일상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운동군에서는 운동 1주일 이후부터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사립체에 CO활성 형태는 일상 대조군에서는 I형과 III형이, 운동군에서는 실험기간에 비례해서는 II형과 III형이 많이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결과들을 미루어볼 때 Treadmill 운동결과 CO의 활성과 심근섬유와 모세혈관의 비율이 운동에 의해 변화를 보여, 흰쥐의 심근에서는 treadmill 운동은 약 4주 정도에서 심장의 적응성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임플랜트 지대주 재료에 대한 치은 섬유아세포의 반응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ON THE IMPLANT ABUTMENT MATERIALS)

  • 임현필;김선헌;박상원;양홍서;방몽숙;박하옥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2-123
    • /
    • 2006
  • Purpose: The biocompatibility and bio-adhesive property of a dental implant abutment are important for proper soft tissue healing and maintenance of osseointegration of implant. However, studies of soft tissue healing and mucosal attachment of various materials of implant abutment other than titanium are still needed. In this study, cell attachment, proliferation, cytotoxicity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for ceramic, gold alloy, Ni-Cr alloy and, commercially available pure titanium as a control were evaluated, using MT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aterials and Methods: Specimen was designed to disc, 4mm diameter and 1mm thickness, made of ceramic, gold alloy, Ni-Cr alloy and commercially available pure titanium. Primary culture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grown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ith 10% fetal bovine serum and 1% antibiotics. Cells were inoculated in the multiwell plates placed the specimen disc. Cell Titer 96 AQuc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were done after 1hour 3hours, 24hours, 3days, 5days of incubation. The discs were processed for scanning electron micrography to evaluate cell attachment and morphologic change. Result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ellows. 1. The ceramic showed high cel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and low cytotoxicity, which is as much bioadhesive and biocompatible as titanium. 2. The gold alloy represented limited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and the highest cytotoxicity among tested materials (p<0.05). 3. The Ni-Cr alloy limited the proliferaion of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 compared to titanium(p<0.05) but cytotoxicity on the bottom of well was not so considerable, compared to titanium. 4. On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 the ceramic showed good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which was similar to titanium. But gold alloy and Ni-Cr alloy showed the shrinkage of gingival fibroblast both after 24 hours and 3 days. On 5th day, small amount of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 proliferation was observed on the Ni-Cr alloy, while the shrinkage of gingival fibroblast was still observed on the gold allo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eramic abutment is as biocompatible as titanium to make proper mucosal seal. The gold alloy has a high cytotoxicity to limit proliferation of gingival fibroblast, which suggest limited use on the anterior tooth where soft tissue healing is recommeded.

마찰교반용접 툴 변화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압출 판재 마찰교반용접부 기계적 물성 평가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Extruded Magnesium Alloy Joints by Friction Stir Welding : Effect of Welding Tool Geometry)

  • 선승주;김정석;이우근;임재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80-28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찰교반용접을 마그네슘 합금에 응용하기에 앞서 형상이 다른 두 종류의 용접 툴을 마찰교반용접 시험에 적용 및 비교하여 마그네슘 합금 마찰교반용접에 더 적합한 용접 툴을 제안하였다. 용접 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용접조건 변수 중 이송속도는 200mm/min으로 고정하였고 회전속도를 400, 600, 800rpm으로 변화시키면서 용접부의 거동과 용접 툴 변화에 따른 효과를 평가 및 관찰하였다. 기계적 물성 평가를 위해 인장시험과 경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용접부 내 거동 및 결함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용접부에 수직인 방향의 횡단면을 광학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용접 툴에 관계없이 회전속도가 400rpm일 때 결함이 관찰되었으며,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결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회전속도 800rpm에서 결함이 없는 용접부를 얻었다. 용접 툴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평가 결과 C type 용접 툴을 적용한 경우 보다 우수한 결과가 나타났다. 기계적 물성이 가장 우수한 용접조건은 회전속도 800rpm, 이송속도 200mm/min 이었고, 이때 용접부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그리고 연신율은 모재 대비 90.0%, 69.1%, 83.2% 수준으로 각각 나타났다.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기저핵에서 출생 후 발육기간에 따른 콜린성 신경세포의 분화 (The Differentiation of the Cholinergic Nerve Cells at the Meynert Basal Nucleus of the Basal Forebrains in the Growth Period of Rat)

  • 함영옥;김수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4호
    • /
    • pp.355-365
    • /
    • 2001
  • 흰쥐 전뇌 기저부에서 콜린성 신경세포는 내측중격핵, 수직 및 수평 대각 Broca대, 거대세포 시교차앞핵, 복부담창구, Meynert기저핵 그리고 신선조체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 기저핵에서 ChAT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 및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신경세포들의 발생, 분포, 형태, 형별 출현율 및 세포체의 부피, 조직학적 특성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ChAT항체에 면역 반응을 하는 신경세포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관찰하여 출생 후 발생단계에 따른 Meynert 기저핵에서 ChAT항체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의 분화를 관찰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hAT항체에 반응하는 신경세포의 분포는 조직마다 부분적으로 상이하지만, 대부분 담창구가 내포와 접하는 부위, 또는 담창구와 무명질의 연접지역에 군집을 이루거나 혹은 단독으로 관찰되었으며 ,무명질에는 시교차앞핵의 면역반응 세포와 혼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체의 장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형으로 분류되었다. 원형의 신경세포 출현율은 출생 후 7일에서 가장 높았고, 성체로 되면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난형 신경세포는 출생 후 14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원형의 신경세포와 같이 성체로 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세장형 신경세포의 출현 율은 출생 후 21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삼각형, 방추형 그리고 다각형 신경세포는 성체에서 출현율이 높았다.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 후 7일에 $1,268{\mu}m^3$로 제일 작았으나, 출생 후 21일에서는 $4,453{\mu}m$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 후 성체로 되면서 점차 감소되었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성체의 ChAT항체 반응 신경세포의 핵외막, rER의 막, 자유리보즘 그리고 polysorne등이 관찰되었으며, 대칭 및 비대칭 신경연접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기저핵에서의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출생 후 발생과정에서 세포소기관과 신경돌기들의 분화에 따른 세포체 부피의 증가, 분화된 세포형들의 출현 율의 증가 및 세포의 손실이 없는 상태에서 세포 응축 등의 과정을 통하여 세포들이 분화한다고 생각된다.

  • PDF

흰쥐 출생후 발생에 따른 전뇌 기저부 Meynert기저핵에서 Choline Acetyltranseferase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분포 및 분화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Choline Acetyltransferase-immunoreactive Nerve Cells in the Basal Nucleus of Meynert of the Rat Forebrains During the Postnatal Development)

  • 이남섭;정영화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79-491
    • /
    • 1999
  • 출생후 0일, 7일, 14일, 17일, 21일, 28일, 35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Meynert 기저핵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후 7일에서 성체까지 신경세포의 세포질에서 ChAT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특히 ChAT면역반응은 세포체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 고루 분포하였다. 전뇌 기저부의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발생에 따른 뇌 크기의 증대와 뇌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체의 장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으로 분류되었다. 성체의 Meynert기저핵에서 원형은 9.4%, 난원형은 35.5%, 세장형은 32.1%, 방추형은 5.9%, 삼각형은 9.1% 그리고 다각형은 8.0%의 출현율을 보였다. 원형과 난원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14일에서 가장 높아 각각 18.7%, 55.5%였고, 성체로 되면서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세장형과 삼각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21일에 가장 높아 각각 30.4%, 10.1%였고, 성체로 되면서 원형과 난원형 세포에서와 같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들과는 다르게 방추형과 다각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후 7일에 $1,083{\mu}m^3$로 제일 작았으나, 출생후 21일에서는 $5,045{\m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2,731{\mu}m^3$로 감소되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후 21일의 경우 ChAT면역반응은 신경세포의 ribosome, polysome 그리고 RER에서 관찰되었으며, 대칭 및 비대칭 신경연접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 기저핵에서의 ChAT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출생후 발생과정에서 세포소기관과 신경돌기들의 분화에 따른 세포체부피의 증가, 분화된 세포형들의 출현율의 증가 및 세포의 손실이 없는 상태에서의 세포 응축 등의 과정을 통하여 세포들이 분화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Golgi체와는 다르게 ribosome, polysome그리고 RER들이 ChAT의 세포내 분포 및 생합성과 밀접한 관계를 같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