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flora popula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3초

염유집적(鹽類集積)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의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 평가(評價) (Evaluation of Soil Microflora in Salt Accumulate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 권장식;서장선;원항연;신제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4-210
    • /
    • 1998
  • 본 시험은 재배이역(栽培履歷)이 서로 상이한 시설재배지에서의 염류집원적지(鹽類集源積地)와 건전지(健全地)의 미생물상(微生物相)의 생태(生態)를 비교해석(比較解析)하고, 미생물(微生物)적 진단(診斷)에 의한 근권환경(根圈環境)의 동태(動態)와 개량기술(改良技術)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주요 미생물(微生物)의 분포(分布)는 건전지(健全地)에서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 세균(細菌)의 밀도가 높은반면 염류장해지(鹽類障害地)에서는 병원성(病原性) Fuasarium 속의 밀도가 높고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 세균(細菌)이 낮은 분포밀도(分布密度)를 보였다. 토양중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Bacillus 속(屬),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屬), Enterobacteriaceae 등 세균류(細菌類)의 밀도와 Microbial biomass C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토양의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EC)가 $5.1dS\;m^{-1}$ 이상으로 높아지면 미생물(微生物)간의 비율중 세균(細菌)/사상균(絲狀菌)(B/F), 방선균(放線菌)/사상균(絲狀菌)(A/F)의 비율이 현저히 낮아지고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屬) 세균(細菌)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토양 pH와 세균(細菌)과의 관계는 고도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사상균(絲狀菌)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며, 토양유기물과 방선균(放線菌), Bacillus 속(屬), Enterobacteriaceae와는 각각 $r=0.226^*$, $r=0.334^{**}$, $r=0.276^{**}$, 치환성 Ca및 치환성 Mg함량과 방선균수(放線菌數)와는 각각 $r=0.334^{**}$, $r=0.352^{**}$, 유기물함량과 Microbial biomass C 함량과는 $R=0.439^{**}$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을 보였다.

  • PDF

Effects of Two Herbal Extracts and Virginiamycin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Popul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iler Chickens

  • Ramiah, Suriya Kumari;Zulkifli, Idrus;Rahim, Nordiana Asyikin Abdul;Ebrahimi, Mahdi;Meng, Goh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375-382
    • /
    • 2014
  • The competency of garlic and pennywort to improve broiler chicken growth and influence intestinal microbial communi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were studied. Two hundred forty, "day-old" chicks were randomly allocated to 4 treatment groups consisting of 6 replications of 10 chicks in each pen. The groups were assigned to receive treatment diets as follows: i) basal diet (control), ii) basal diet plus 0.5% garlic powder (GP), iii) basal diet plus 0.5% pennywort powder (PW) and iv) 0.002% virginiamycin (VM). Birds were killed at day 42 and intestinal samples were collected to assess for Lactobacillus and Escherichia coli. The pectoralis profundus from chicken breast samples was obtained from 10 birds from each treatment group on day 42 and frozen at $-20^{\circ}C$ for further analyses. Fatty acid profile of breast muscles was determined using gas liquid chromatography. Feed intake and weight gain of broilers fed with GP, PW, and VM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compared to control. Feeding chicks GP, PW, and VM significantly reduced Escherichia coli count (p<0.05) while Lactobacillus spp count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gut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 on day 42. Supplemented diet containing pennywort increased the C18:3n-3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s' breast muscle. Garlic and pennywort may be useful in modulating broiler guts as they control the enteropathogens that help to utilize feed efficiently. This subsequently enhances the growth performances of broiler chickens.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장내에서 분리된 종속영양세균의 탄소원 이용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Source Utilization by Hete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Internal Organs of Starfish (Asterias amurensis))

  • 이건형;송경자;이오형;최문술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7-61
    • /
    • 2002
  • 전라남도 장흥군 인근 해안에서 채집한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를 대상으로 불가사리의 장내에 분포하는 종속영양세균의 균체수를 측정하였고, 분리동정된 균주들을 대상으로 탄소원 이용 특성을 조사하였다. 불가사리의 장내에 분포하는 종속영양세균의 균체수는8.65$\pm$0.65 $\times$$10^3$ cfu . g$^{-1}$이 였으며, 분리 동정된 24균주(그람음성균 11균주, 그람양성균이 13균주)중에서 Vibrio속,Staphylococcus속, Corynebacterium속이 높게 나타났다. 불가사리 장내에서 분리 동정된 세균들은 그람양성의 간균이 높은 비율을차지하였고, catalase와 oxidase의 활성은 각각 54.2%,20.8%로 나타났다. 그람음성균의 경우, 탄소원으로 glucose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sucrose, mannose, maltose,그리고 trehalose의 순으로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으며, adipate, phenol acetate는 이용하지 못하였다. 그람양성균의 경우, glucose가 가장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고, 그 다음은 fructose, trehalose, maltose 순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산란계의 Ceramics 급여 효과

  • 손장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03-104
    • /
    • 2004
  • 본 연구는 산란계의 생산성, 위장관내 미생물 균총, 배설물중의 NH$_3$ 및 VFA의 발생량 및 난황중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Ceramics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총 360수의 34주령 산란계를 공시하여 Ceramics 분말 0.0 %(대조구), 0.3 % 및 0.6 %를 첨가한 사료로 6주 동안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34~40주령의 산란계 사료에 0.3 %의 Ceramics 분말 첨가는 생산성 향상, 장관내 E. coli. 및 Salmonella 수의 감소에 의한 배설물 중의 NH$_3$ 및 VFA의 발생량 감소 및 난황중 n-6/n-3 비율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 PDF

순창지역 메주 발효 중 미생물과 효소역가의 변화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Meju during Fermentation at Sunchang Area)

  • 유진영;김현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48-454
    • /
    • 1998
  • Meju for doenjang and kochujang was prepared as a model at Sunchang areaand monitored with major changes. Kochujang meju was prepared on September 12 and doenjang meju on November 12, 1995. Kochjang meju was found to be naturally fermented at 80~90% RH, 15~2$0^{\circ}C$ and doenjang meju was at 80~90% RH and 0~5$^{\circ}C$. The shapes of kochujang meju and doenjang meju were doughnut-type and rectangular, respectively. Weight losses during fermentation were 48% and 28%, respectively. The pH drop and acip production of kochujang meju were negligible. However, pH of doenjang meju decreased from 6.29 to 5.88 and acidity increased from 0.08 to 0.23% as lactic acid. Protein in meju was found to be rapidly solubilized during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Soluble protein cotents of kochujang meju after 7 days and 60 days were 8.23%, respectively. The doenjang mejus were 2.15% after 20 days and 5.72% after 60 days. Soluble suger content increased with the fermentation time. The soluble sugar content was higher in kochjang meju. Acidic protease was highly produced during meju fermentation. $\alpha$-Amylase and $\beta$-amylase were detected in the kochujang meju, of which glutinous rice consisted, but negligible in doenjang meju. Lipase was detected in kochujang meju, but was, negligible in doenjang meju. Microbial population increased drastically after 7 days of fermentation in kochujang meju and 20 days of fermentation in doenjang meju.

  • PDF

Characteristics of Digestion Dynamics of Rice and Oat Straw Relating to Microbial Digestion in the Rumen of Sheep Given High-Concentrate Diets

  • Goto, M.;Morio, T.;Kojima, E.;Nagano, Y.;Yamada, Y.;Horigane, A.;Yamada,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9호
    • /
    • pp.1219-1227
    • /
    • 2000
  • Rumination behavior, in vivo digestibility of cell wall constituents, particle size reduction in the rumen, and retention time in the digestive tract of sheep were examined using rice and oat straw as roughage sources. The in sacco digestibility,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 and internal adenosine 5-triphosphate (ATP) content were also determined under feeding conditions of high-roughage and high-concentrate diets. Chewing number and time in rumination behavior were higher with rice straw than with oat straw, while the in sacco and in vivo DMD of rice straw were consistently lower than those of oat straw. Rice straw also showed higher frequency of thinner and longer particles in the rumen contents and lower retention time in the whole digestive tract as compared to those of oat straw. Rice straw was more effective to maintain the ruminal pH than oat straw, being reflected in higher internal ATP content of large-type protozoa on the high- concentrate diet. Changes in the ruminal microflora by shifting from the low- to the high- concentrate diet were also different between rice and oat straw.

Studies on the Intestinal Microflora of Chicken Under Tropical Condition

  • Jin, L.Z.;Ho, Y.W.;Abdullah, N.;Kudo, H.;Jalaludin,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5호
    • /
    • pp.495-504
    • /
    • 1997
  • Three media, i. e., MOD-SD, M98-5 and M98-5 supplemented with chicken fecal extract were tested as isolation media for anaerobic bacteria present in the duodenum, jeju-ileum and cecum of chick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colony counts of medium M98-5 were similar with those of MOD-SD medium in all intestinal samples at the incubation periods of 2, 6 and 10 days. Supplementation with chicken fecal extract of M98-5 medium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the colony counts of bacteria from the duodenum, jeju-ileum and cecum. The colony counts at 6-day incubation were similar with those at 10-day incubation, but were much higher than the counts at 2-day incubation. The major types of bacteria found in the duodenum and jeju-ileum of chicken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treptococcus and E. coli. In the cecum, ten tentatively identified groups of bacteria, namely,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Lactobacillus, E. coli, anaerobic coccus, Eubacterium, Propionibacterium, Clostridium, Fusobacterium and Bacteroides were isolated. Anaerobes were found to comprise nearly the entire microbial population of the cecum. Predominating in all sections of the intestine were homofermentative lactobacilli. The main Lactotacillus species in chicken intestine were L. acidophilus, L. fermentum and L. brevis.

오미자 추출물이 비만과 관련된 장내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the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Related with Obesity)

  • 정은지;이운종;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73-68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비만의 원인 중 하나인 장내균총의 변화를 개선하고자 in vitro 상에서 천연소재를 탐색하였고 선발된 소재인 오미자로 항균활성과 기능성을 분석하고 세포에 대한 독성 및 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나아가 풍미증진과 기능성 가미를 위한 오미자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음료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96 well plate법을 이용하여 screening한 결과, 유익균인 B. fragilis와 B. spp.의 활성을 증진시키고, 유해균인 E. limosum과 C. perfringens을 억제시키는 오미자를 선발하였다.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E. limosum, B. fragilis, C. perfringens, C. difficile에 대한 항균력을 가지고 B. bifidum에 대한 항균력은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MIC를 측정한 결과, E. limosum, B. fragilis, C. perfringens, C. difficile를 오미자 열수 추출물 $1\;{\mu}g/mL$의 농도에서 최소 저해 하였다. 기능성을 가진 오미자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음료로의 제품화를 위해 과채류 주스의 살균온도인 $96^{\circ}C$, 15초를 기준으로 $60-100^{\circ}C$에서 $10^{\circ}C$씩 변화를 주어 10분씩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항균활성의 경우 대체로 안정하였고 큰 항균력을 위해서는 $80^{\circ}C$ 이상 살균 처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처리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을 이용한 항산화력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체로 안정하였다. 이는 음료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이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처리에 따른 항균활성과 항산화를 나타내는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을 비교해봤을 때 서로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의 함량이 항균활성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장상피세포에 대한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소장상피 정상세포인 Caco-2에 대한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독성 영향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농도인 $5\;{\mu}g/mL$에서도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미루어 볼 때 동물 실험하기 전, in vitro 상에서 오미자 추출물이 세포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판단한 것으로 다음 진행되는 동물 실험에 대한 오미자 추출물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동물 실험은 high-fat-diet rats에 오미자 열수 추출물을 0.5 mg/kg/day 투여한 경우 체중증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장내미생물 균총 변화에서 control군과 extract 투여군을 비교한 결과, in vitro 실험결과와 같이 Bifidobacterium spp.를 7.62% 증진시키고 Clostridium spp.를 12.39% 감소시켰다. 또한 비만과 관련된 Eubacterium을 억제시켰다. 이는 오미자가 유익균을 증진시키고, 유해균은 감소시키는 장내 균총을 유익한 균총으로 개선시키는 식품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음료의 관능평가 결과 인체 내에 부족하기 쉬운 미량 영양소를 보충해주는 자작 나무수액에 장내 균총 변화에 영향을 주는 오미자 추출물과 기능성 올리고당인 자일리톨을 첨가하여 관능평가한 결과 전반적 기호도는 자작나무수액 100%, 오미자추출물 5%, 자일리톨 5%을 첨가한 sample C가 6.68로 다른 sample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그러므로 5% xylitol, 5% 오미자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sample C가 관능적으로 우수함을 보여 앞으로 맛과 기능성, 풍미를 가미한 음료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란계 사료 내 3종류의 Bacillus subtilis의 첨가가 산란후기 계란 품질과 장내 미생물 및 경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ree Strains of Bacillus subtilis Supplemented to Diets on Egg Quality, Intestinal Microflora and Tibia in The Late Stage of Laying Hens)

  • 이완섭;이보근;김재영;김지숙;이소연;오성택;안병기;황용배;심승규;김동건;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389-398
    • /
    • 2010
  • 본 연구는 3종류의 B. subtilis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생균제를 산란계 사료에 급여시 난 생산성, 난질, 난황 내 콜레스테롤, 장 내미생물 조성 및 경골 내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76주령의 Hy-Line Variety Brown 산란계 160수를 공시하여 모두 4개 처리구에 4반복(반복당 10수)로 임의배치 후 6주간의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산란계용 사료는 옥수수 대두박을 기초로 하여 대사에너지 2,700 kcal/kg와 조단백질 15.5%인 일반 사료 급여구를 대조구로 하였으며, (Tl) 처리구에는 B. subtilis Ch3을 0.05%, (T2) 처리구에는 B. subtilis Ch3 + B. subtilis W1 혼합제제를 0.05%, (T3) 처리구에는 시판되고 있는 B. subtilis 제품을 0.05% 수준으로 대조구 사료에 각각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의 난 생산성, 수당 사료섭취량, 난중 및 일 산란량 모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 강도와 Haugh unit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에서 개선되었으며 (P<0.05), 간 내 GOT 및 GPT 효소는 처리구 간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맹장 내 총 균수와 lactic acid bacteria의 균수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하지만 Coliforms 균수는 처리 간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황과 혈액 내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또한 혈액 내 인지질도 대조구에 비교하여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경골 파쇄강도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내 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모든 실험구에서 개선시키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P<0.05). 따라서 본 실험은 산란후기 사료 내 각각의 B. subtilis 균주를 첨가 급여 하였을 때 난각 강도와 Haugh unit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었고 장내의 총 균수와 유산균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유리한 장 내 환경으로 개선시켰으며 또한 난황과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각각 3종류의 B. subtilis 첨가 급여 효과로 경골 내 회분 함량을 증가시킨 결과로 보아 Ca과 P과 같은 무기질 영양소의 체내 대사 이용률이 개선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와 같은 측면에 접근하여 B. subtilis의 수준별 첨가로 인한 혈액 및 경골의 Ca과 P의 축적률 변화와 사료 내 하향 수준의 무기질 공급 등의 추후 연구조사가 이뤄져야 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Streptococcus faecium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장내 세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treptococcus faecium on the Performances and the Changes of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s)

  • 김경수;지규만;이상진;조성근;김삼수;이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7-119
    • /
    • 1991
  • 본 실험은 육계에서 생균제 Streptococcus faecium C-68(SF)과 항생제 colistin (Col)의 단독 또는 혼합 급여가 증체율과 장내 세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암수 동수의 초생추 252수를 공시하여 Col과 SF를 첨가하지 않은 기초사료구(대조구), 기초사료+Col 10ppm첨가구, SF 0.04%구, SF 0.04%+col 10ppm구, SF 0.08%구, SF 0.08%+col 10ppm구 등 6개 처리구를 두었다. SF 0.04%구와 SF 0.08%구의 Streptococcus faecium 생균수는 사료 g당 각각 7$\times$10난, 1.4$\times$10개가 되도록 하였고, 사료는 옥수수와 대두학을 주원료로 하여 7주간 급여하였다. 사양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처리구별로 분내 세균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주 말 신선한 분을 사료로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조사하였고, 장내 세균총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4주와 7주말에 처리당 9수씩 희생시켜 대장부분의 내용물을 채취하여 세균총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각 처리구 실험사료의 영양소 이용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3주와 6주말 전분 채취법에 의하여 대사실험을 실시하였고, 7주말 각 처리구 별로 9수씩 희생시켜 소장의 길이와 무게를 측정하였다. 평균 증체량은 SF 0.08%(2.37kg)와 SF 0.08%+col (2.34kg)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2.18kg)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0.05), 다른 처리구의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SF 0.04%구를 제외한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더 개선되었고(P<0.05),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총 탄수화물 등과 같은 영양소의 소화율은 전 기간 내내 SF나 Col의 첨가에 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예상했던 대로 SF첨가구의 분 중 Streptococci는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는데 SF 0.04%구와 SF 0.08%구, SF 0.08%+col구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그러나 colistin의 단독첨가에 의한 Streptococci의 변화는 볼 수 없었고 Col과 SF와의 혼합 첨가구에서도 Col첨가가 Streptococci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볼 수 없었다. 분 중의 coliforms수는 SF와 Col의 첨가된 사료의 급여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다(P<0.05) 그러나 SF와 Col의 혼용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다. 장내 세균총의 분포 변화도 분중의 세인총 변화와 같은 양식을 나타냈다. 소장의 길이는 SF 0.08%구와 SF 0.08%+col 10ppm구에서 SF를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10%정도 유의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소장의 무게(empty weight)는 대조구에 비하여 SF 0.08%구와 SF 0.08%+col구에서 가벼워졌고, Col과 SF를 단독 또는 혼용 급여한 모든 처리구의 단위길이 당 소장무게는 유의성 있게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P<0.05). 전체적인 결과를 볼 때 SF가 0.08%첨가된 구에서 육계의 증체량 개선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0ppm의 colistin첨가는 SF와 혼용했을 때나 10ppm 그 자체만으로는 육계의 증체효과 또는 양내 세란총 변화의 관점에서 볼 때 유익하지 못했고, SF와 Col은 소장의 벽 두께를 않게 변화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