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filtration Membrane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31초

탄소계 세라믹 한외 및 정밀 여과막으로 제지폐수 처리시 주기적 질소 역세척의 효과 (Effect of Periodic $N_2$-back-flushing in Paper wastewater Treatment using Carbon Ceramic Ultrafiltration and Microfiltration Membranes)

  • 황현정;박진용
    • 멤브레인
    • /
    • 제12권1호
    • /
    • pp.8-2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의 일반적 역세척 방법이 아닌 질소 역세척을 하면서, 4종의 탄소계 관형 세라믹 한오여곽막으로 제지공장의 방류수를 처리하였을 때 역세척 주기 및 막간압력차 (TMP), 유량의 영향과 최적운 전조건을 규명하였다. 역세척시간 (BT)을 40초로 고정하였고, 정상운전시간 (FT)은 4~32분, TMP는 $1.0~3.0kg_f/cm^2$ 유속은 0.53~1.09cm/s로 변화시켰다. 또한 최적조건은 무차원 투과선속 ($J/J_0$) 및 총과여부부피 ($V_T$) 막오염에 의한 저항 ($R_f$)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최적 역세척주기는 BT/FT=0.083 (FT=8분)으로 가장 빈번한 역세척 BT/FT=0.167 (FT=4분) 보다 오히려 많은 총여과부피를 얻을수 있었다. 한편, TMP가 증가할수록 구동력의 증가로 보다 많은 $V_T$를 얻을 수 있었고, 유량이 증가할수록 발생한 난류의 영향으로 막오염은 감소되고 투과유속은 증가하여 많은 $V_T$를 얻을수 있었다. 오염물질 제거율은 탁도 95% 이상, 호학적 산소요구량 ($COD_{Cr}$)45~83%로 높았으나 총용존고형물 (TDS)의 경우 10% 이하로 낮았다.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응집 및 정밀여과 처리공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agulation and MF Membrane Process for the Reuse of Sewage Effluent)

  • Paik, Ke-Jin
    • 환경위생공학
    • /
    • 제20권3호
    • /
    • pp.36-43
    • /
    • 2005
  •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이용을 위해 2004년 1월$\~$12월까지 수질상태를 조사하였다. BOD, SS, 탁도, 총인과 색도의 월별로 조사한 연평균은 각각 4.1mg/L, 2.9mg/L, 0.8NTU, 1.3mg/L, 27unit이었다. 쟈테스트는 급속혼화 5분, 완속교반 15분, 침전 1시간의 조건하에서 오염물질의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응집제는 Alum과 폴리염화알루미늄이고, 방류수 중의 색도, 탁도, 총인, 총유기탄소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특히 폴리염화알루미늄을 사용시 탁도와 용존성인의 제거 효과가 좋았다. 응집공정과 연속한 정밀여과 공정에 의한 유기물의 제거효과를 조사한 결과, 분자량 1,000 Dalton 이상의 범위에 있는 물질의 제거가 잘 이루어진 반면, 소독부산물의 생성에 영향을 주는 분자량 500 Dalton 이하 물질의 제거율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복합공정에서 이 범위 분자량의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흡착공정 등의 추가공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Processing of Kaolin-Based Microfiltration Membranes

  • Eom, Jung-Hye;Kim, Young-Wook;Song, In-Hyuck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41-347
    • /
    • 2013
  • Kaolin-based membranes with a pore size of 0.30-0.40 ${\mu}m$ were successfully prepared by a simple pressing route using low-cost starting materials, kaolin and sodium borate. The prepared green bodies were sinte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ranging between 900 and $1200^{\circ}C$. The sintered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mercury porosimetr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capillary flowmetry. It was observed that the porosit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both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he sodium borate content, whereas the flexural strength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both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he sodium borate content. The air flow rat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sodium borate content. The typical porosity, flexural strength, and specific flow rate of the kaolin-based membrane sintered with 5 wt% sodium borate at $1100^{\circ}C$ were 37%, 19 MPa, and $1{\times}10^{-3}L/min/cm^2$, respectively, at a p of 30 psi.

막분리를 이용한 미생물 재순환 연속 알콜발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inuous Alcohol Fermentation with Cell Recycle by Means of Membrane Separation)

  • 이준형;목영일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7권2호
    • /
    • pp.139-143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균주 S. cerevisiae ATCC 24858을 막분리를 이용한 미생물 재순환 연속에탄올 발효시스템에 적용하여 희석비 (0.3, 0.5, $0.7hr^{-1}$)와 주입기질의 당농도 (50, 100, 150, 200g/l)에 따른 균체농도 및 알콜생산성의 변화관계를 규명하여 보았다. 주입기질 당농도50g/l, 희석비$0.3hr^{-1}$ 내지 당농도200g/l, 희석비 $0.7hr^{-1}$ 사이의 실험범위에서 균체농도는 12g/l내지 107g/l 사이에, 알콜생산성은 7.0g/l 내지 55.6g/l 사이에 분포되었다. 더욱이 알콜생산성은 회분식 발효의 생산성에 비하여 최소 307배 내지 최대 29.3배 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실험범위에 대한 에탄올 평균수율은 0.42로써 이론수율의 82%였으며 회분식 수율보다 약간 상회하였다.

  • PDF

CFD와 PIV 기법을 이용한 저압막 유입부 수리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draulic Modifications of Low-Pressure Membrane Inlet Structure with CFD and PIV Techniques)

  • 오정익;최종웅;임재림;김동길;박노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607-6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CFD 모사와 PIV 기법을 이용하여 실규모의 사이드 스트림 방식의 막 모듈을 대상으로 유입부의 수리구조를 개선하여 모듈로 유입되는 유입 유량을 수직으로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이드 스트림 방식의 막 모듈을 대상으로 유입 유량을 수직으로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는 방안을 CFD로 설계한 결과, 내부 유입 수리구조에 유공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모듈내로의 유입유량은 표준편차 기준으로 약 40% 정도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CFD 결과를 검증하고 사이드 스트림 막 모듈의 편중된 오염의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된 입자영상유속 측정 결과로부터 유입구 반대편 유공에서 막 모듈 내부로 들어오는 수체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커 수체의 모멘텀이 유입구 측벽에 강한 전단력을 발생하지만 유입구 반대 측벽에서는 사류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Improved Purification Process for Cholera Toxin and its Application to the Quantification of Residual Toxin in Cholera Vaccines

  • Jang, Hyun;Kim, Hyo-Seung;Kim, Jeong-Ah;Seo, Jin-Ho;Carbis, Rodney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호
    • /
    • pp.108-112
    • /
    • 2009
  • A simplified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cholera toxin was developed. The 569B strain of Vibrio cholerae, a recognized hyper-producer of cholera toxin, was propagated in a bioreactor under conditions that promote the production of the toxin. The toxin was separated from the bacterial cells using 0.2-${\mu}m$ crossflow microfiltration, the clarified toxin was passed through the membrane into the permeate, and the bacterial cells were retained in the retentate. The 0.2-${\mu}m$ permeate was then concentrated 3-fold and diafiltered against 10 mM phosphate buffer, pH 7.6, using 30-kDa crossflow ultrafiltration. The concentrated toxin was loaded onto a cation exchange column, the toxin was bound to the column, and most of the impurities were passed unimpeded through the column. The toxin was eluted with a salt gradient of phosphate buffer, pH 7.0, containing 1.0 M NaCl. The peak containing the toxin was assayed for cholera toxin and protein and the purity was determined to be 92%. The toxin peak had a low endotoxin level of $3.1\;EU/{\mu}g$ of toxin. The purified toxin was used to prepare antiserum against whole toxin, which was used in a $G_{M1}$ ganglioside-binding ELISA to determine residual levels of toxin in an oral inactivated whole-cell cholera vaccine. The $G_{M1}$ ganglioside-binding ELISA was shown to be very sensitive and capable of detecting as little as 1 ng/ml of cholera toxin.

물속의 방사성핵종(세슘) 제거율 연구 (Study on Removal of Cesium in Water Treatment System)

  • 정관조;손보영;안치화;이수원;안재찬;김복순;정득모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1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물속에 존재하는 방사성 세슘($Cs^+$)의 정수처리 제거방법을 고찰하였다. 세슘은 물속에서 대부분 이온상태인 $Cs^+$로 존재하여 모래여과, 정수약품(PACl), 분말활성탄(PAC) 및 정수약품(PACl + PAC) 혼합주입에 의해 제거되지 않았으나 탁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슘 제거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취수장 주변 고형물과 황토를 이용하여 탁도를 각각 74 NTU와 103 NTU로 조정했을 때 세슘의 제거율은 각각 약 56%, 51%이었으며 상징수를 GAC로 여과한 경우, 세슘의 약 80%가 제거되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세슘 제거를 위해서는 황토 등을 이용하여 원수 탁도를 80 NTU 이상 조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AC에 의한 세슘 제거의 경우, 약 60%가 제거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접촉에 따른 흡착에 의해 제거된 것으로 판단된다. 막에 의한 세슘 제거에 있어서 정밀여과막으로는 제거되지 않았으나 역삼투막에서는 75%가 제거되었다.

$TiO_2$ 나노입자/UV 결합 침지형 중공사막 시스템에서 자연유기물의 파울링거동 (Behavior of NOM Fouling in Submerged Photocatalytic Membrane Reactor Combined with $TiO_2$ Nanoparticles)

  • 박승수;서형준;김정환
    • 멤브레인
    • /
    • 제21권1호
    • /
    • pp.46-54
    • /
    • 2011
  • 자연유기물을 처리하는 침지형 중공사막 정밀여과 시스템에서 $TiO_2$ 나노입자와 UV를 이용한 광촉매 반응을 적용 시 공기폭기, $TiO_2$ 농도, 용액의 pH 그리고 $Ca^{+2}$의 존재가 자연유기물에 의한 파울링에 미치는 혼합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TiO_2$ 나노입자 없이 단순 UV의 조사만으로 자연유기물에 의한 파울링은 약 40% 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UV의 조사 없이 $TiO_2$ 나노입자의 교반만으로 약 25%의 파울링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공기폭기가 광촉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본 결과 공기폭기를 적용해 주지 않은 경우와 비교했을시 공기폭기로 인한 자연유기물의 제거효율은 약 12% 정도 향상되었다. 이는 공기폭기로 인한 분리막 표면으로부터 자연유기물의 물리적인 역수송 보다는 산소공급으로 인해 광촉매 반응이 더욱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폭기 유량, $TiO_2$ 농도, 용액의 pH 영향정도를 관찰한 결과 공기폭기가 자연유기물 파울링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용액의 pH 경우 낮은 pH (= 4.5)에서 파울링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TiO_2$ 나노입자 농도가 증가할 수록 파울링 감소효과도 증가하였으며 용액의 pH를 낮출수록 파울링 감소는 증가하였다. 이는 낮은 pH에서 서로 반대전하를 지닌 자연유기물과 $TiO_2$ 나노 입자간의 정전기적인 인력이 증가하여 $TiO_2$ 나노입자 표면에서 자연유기물의 광촉매분해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자연유기물 중 $Ca^{+2}$의 첨가는 상대적으로 높은 pH (= 10)에서 자연유기물과 $TiO_2$ 나노입자 사이 가교현상을 촉진시켜 $Ca^{+2}$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시 높은 파울링 감소효과와 자연유기물의 분해효과를 달성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