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safety

검색결과 843건 처리시간 0.042초

수도용(水稻用) 농약(農藥)의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에 대(對)한 영향(影響) (Effects of Some Pesticides on Korean Paddy Soil Microorganisms)

  • 노정구;백옥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174-180
    • /
    • 1981
  • 농약(農藥)의 사용량(使用量)이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함에 따라 농약(農藥)이 자연환경(自然環境)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살펴보고 농약(農藥)의 안전성(安定性) 평가(評價)에 관(關)한 연구방법(硏究方法)을 정립(鼎立)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이는 수도용(水稻用) 농약중(農藥中) 살균제(殺菌劑)인 후치왕(Fujione, Isoprothiolane), 살충제(殺蟲劑)인 오트란(Ortran, Acephate) 및 제다제(除茶劑)인 마세트(Machete Butachlor)를 대상(對象)으로 이들 농약(農藥)이 우리나라 논 토양(土壤) 미생물(微生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對)하여 살펴 보았다. 토양(土壤) 미생물(徵生物) 수(數)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였고 미생물(微生物) 활성(活性)에 대(對)한 실험(實驗)으로 $CO_2$생성량(生成量),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 질산화작용(窒酸化作用), 탈수소효소(脫水素酵素)의 역가(力價) 등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농약(農藥) 사용중(使用中) 부주의(不注意)에 의(依)한 사고(事故)를 제외(除外)하고 일반적인(一般的)인 농약(農藥) 사용(使用) 조건하(條件下)에서는 심각(深刻)한 영향(影響)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농약의 계속적 사용으로 인한 토양미생물 특(特)히 유전(遺傳)변이와 이에 의한 토양환경(土壤環境)의 변화(變化)등에 대(對)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한국형 육포제조를 위한 원료 돈육의 미생물 분포 및 병원성 미생물의 확인 (The Distribution of Indicator Organisms and Incidence of Pathogenic Bacteria in Raw Pork Material Used for Korean Pork Jerky)

  • 김현욱;김혜정;김태훈;김태임;이주연;김천제;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6-81
    • /
    • 2008
  • 시중의 정육점 및 백화점 등에서 유통 중인 10종의 돈육 원료에 대한 일반세균, 저온균, 고온균, 혐기성균 및 진균류, 대장균군 등의 미생물학적 분포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분리동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원료 돈육에서 중온균은 $3.9{\times}10^2-3.9{\times}10^5cfu/g$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고, 저온균은 $1.5{\times}10^3-8.6{\times}10^2cfu/g$, 혐기성균은 중온균, 저온균과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적게 검출되었고, 고온균은 모든 검체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대장균군 또한 모든 검체에 대해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곰팡이와 효모 등 진균류는 $3.8{\times}10^1-5.1{\times}10^2cfu/g$으로 검출되었다. B. cereus는 돈육 sample B와 J에서 분리되었고, S. aureus의 경우 돈육 sample B에서만 검출되었다. B. cereus는 API kit를 이용한 간이동정에서 99.8%의 상동성을 보였고, S. aureus는 97.8%의 상동성을 보였다.

고려인삼 엽록차의 위생적 품질개선 연구 (Improvement of Hygienic Quality of Panax Ginseng Leaf Tea)

  • 이영주;김종군;권중호;변명우;김석원;조한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19
    • /
    • 1990
  • 인삼엽록차의 미생물 오염도는 호기성 전세균이 $3.6{\times}10^{5}/g$ 내열성 포자균이 $2.1{\times}10^{3}/g$, 효모가 $1.6{\times}10^{4}/g$, 곰팡이가 $1.9{\times}10^{4}/g$ 및 대장균군이 $1.2{\times}10^{4}/g$ 수준으로 백삼분말제품 검사기준보다 높은 상태였다. 미생물 살균효과 비교 시험에서 상업적인 조건의 ethylene oxide 처리와 5 kGy 의 감마선조사는 모든 미생물의 농도를 검출한계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30^{\circ}C$내외에서 3개월 이상 저장 후에도 미생물의 생육은 거의 없었다. 오염미생물의 방사선 감수성 (D10값)은 대장균(0.70kGy)>일반세균(0.75kGy)>곰팡이(0.85kGy)>효모(0.95kGy)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적 품질 비교에서 살균선량의 감마선 조사는 시료의 풍미, 맛, 색상등 전반적 기호도에 있어서 무처리 대조시료와 차이가 없었으나 훈증처리 시료의 추출액은 색상과 맛에 있어서 저장 3개월 이후에도 타시료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Carvacrol과 thymol을 병행처리한 키토산 코팅이 냉장저장 시 흰다리 새우의 미생물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hitosan Coating Combined with Carvacrol and Thymol on Microbi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topenaeus vannamei during Cold Storage)

  • 고봉수;박미정;곽승해;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63-370
    • /
    • 2017
  • 본 실험에서는 냉동 새우(Litopenaeus vannamei)를 $4^{\circ}C$에서 12일동안 저온 저장하며, 키토산 코팅과 천연보존제의 병행처리(0.05% carvacrol, 0.05% thymol)가 미생물(중온균, 저온균, Pseudomonas spp., $H_2S$ 생성균)의 성장과 새우의 이화학적 특징(총 휘발성 질소화합물, pH) 및 관능적 품질(외관, 냄새, 전반적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키토산 코팅과 carvacrol 병행 처리, 키토산 코팅과 thymol 병행 처리는 모든 대상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고 특히 중온균, 저온균, $H_2S$ 생성균의 경우 실험의 마지막 날인 12일째까지 유의적인 항균효과(p < 0.05)를 보였다. 이 처리구들은 총 휘발성 질소화합물과 관능적 특성(외관, 냄새, 전반적 수용도)에서도 12일째까지 유의적인 차이(p < 0.05)를 보였으나 pH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키토산 코팅과 carvacrol 병행 처리, 키토산 코팅과 thymol 병행 처리는 새우의 주요 부패 미생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이며 냉장 새우의 유통기간 연장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비표지 면역센서에 의한 냉장유통 식품 중 Pseudomonas aeruhinosa의 간이검출 (Detec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with a Label-free Immunosensor from Various Cold Storage Foods)

  • 김남수;박인선;김동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1-106
    • /
    • 2003
  • 냉장식품의 주요한 변패원일균으로서 저온세균인 Pseudomonas aeruhinosa를 최소 전처리한 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는 비표지 면역센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수정결정전극상으로의 생물요소인 항체의 고정화는 이형이기능성 가교화제인 sulfosuccinimidyl 6-[3-(2-pyridyldithio)propionamido] hexanoate를 사용하여 항체를 티올화시킨 후 티올화된 항체를 화학흡착하여 행하였고, P. aeruginosa flagella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사용하였을 때 다클론항체를 사용한 경우보다 센서감응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체가 고정화된 센서 chip과 flow형 quart crystal microbalance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균 첨가 및 증균을 행한 10종의 모델시료에 대한 계측을 행하였다. 이 때, 시료자체에 의한 진동수변화가 52~89 Hz 범위인 반면 균 첨가 시에 나타난 진동수변화는 108~200 Hz이었고 증균시료에 의한 진동수변화는 162~222 Hz 범위로 나타났다. 시스템 안정화, 시료주입 및 정상상태이 센서반응 획득, 시스템 세척으로 이루어지는 한 주기의 센서계측에 소요된 시간은 모든 시료에 있어 30분 이내였다.

살균고춧가루를 이용한 오징어젓갈 제조 I. Ohmic heating에 의한 고춧가루 살균 (Preparation of Squid-Jeotkal with Pasteurized Red Pepper I. Pasteurization of Red Pepper Powder by Ohmic Heating)

  • 이현숙;이원동;고병호;이명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17
    • /
    • 2000
  • 전기저항열을 이용한 식품의 가열처리방법인 ohmic heating에 의한 고춧가루의 살균효과를 살펴본 결과, 전계강도를 500 V/m과 700 V/m으로 고정하고 일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ohmic heating으로 열처리하였을 때 5$0^{\circ}C$에서 7$0^{\circ}C$가지는 균수의 변화가 없었고 8$0^{\circ}C$ 이상에서 약 1-log-unit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온도를 9$0^{\circ}C$로 고정하고 holding time을 주었을 때는 40분 이상 열처리하였을 때 초기생균수가 8.5$\times$$10^{6}$CFU/g에서 2.1 $\times$ $10^2$CFU/g으로 약 4.6-log-unit이 감소하였다. Ohmic heating으로 살균시 holding time에 따른 고춧가루의 색도변화는 미미한 변화가 있었으나, 9$0^{\circ}C$에서 40분 열처리하였을 때도 $\Delta$E값이 1.5 이하로 색도 변화는 미약하였다. 살균고춧가루를 이용하여 오징어젓갈을 제조한 결과 생균수가 8.4$\times$$10^3$CFU/g으로 일반고춧가루사용 오징어젓갈의 1.6$\times$$10^{6}$CFU/g 보다 적었으며, 효모 및 곰팡이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춧가루에서 대부분의 미생물이 혼입된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결과이며, 특히 유통중 변패의 주요항목인 곰팡이 발생이 고춧가루로부터 기인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내산 조제유류에서의 위해 미생물 모니터링 (Potential Pathogen Monitoring of Powdered Infant Formula Milk and Related Products in Korea)

  • 김영조;문진산;박현정;허은정;김지호;이희수;위성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1-345
    • /
    • 2010
  • 2010년 국내 4개 제조업체에서 제조한 조제분유 190개, 성장기용 조제분유 95개, 조제우유 15개 등 300개 조제유류를 수집하여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위해세균에 대한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멸균제품인 조제우유는 일반 세균수, 대장균군을 포함하여 모든 검사에서 음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하여 비멸균제품인 조제분유와 성장기용 조제분유에서의 일반세균수는 전체 시료 중 83.9%가 검출되었다. 조제분유는 전체 시료 중 72.6%가 g당 10~100 cfu를, 100~1,000 cfu가 7.9%로 조사되었으며, 성장기용조제분유는 전체 시료 중 79.0%가 g당 1~100 cfu를, 100~1,000 cfu가 11.6%로 조사되어 모든 제품이 1,000 cfu/g 이하를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에 대한 검사에서는 전제 제품 중 조제분유와 성장기용조제분유가 각각 3건(1.6%)과 1건(1.1%)이 검출되었으며, 그 수준은 3.6, 3.0, 9.1, 9.1 MPN/g으로 조사되어 국내 기준 규격 (n = 5, c = 1, m = 0, M = 10)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AO/WHO에서 category A 세균으로 분류하고 있는 Salmonella spp.와 Ent. sakazakii에 대한 검사에서는 모두 불검출로 조사되었다. category C group인 c. perfringens, E. coli O157, S. aureus, L. monocytogenes 4종의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검사에서도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category C 세균 종 B. cereus는 조제분유와 성장기조제분유에서 전체 사료 중 12개 제품에서 g당 10-100 cfu의 수준의 균수가 검출되었다. 이와 같이 조제유류의 오염지표 세균 및 위해세균에 대한 검사에서 모두 국내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Chemosensitization of Fusarium graminearum to Chemical Fungicides Using Cyclic Lipopeptides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JCK-12

  • Kim, K.;Lee, Y.;Ha, A.;Kim, Ji-In;Park, A.R.;Yu, N.H.;Son, H.;Choi, G.J.;Park, H.W.;Lee, C.W.;Lee, T.;Lee, Y.W.;Kim, J.C.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44-44
    • /
    • 2018
  • Fusarium head blight (FHB) caused by infection with Fusarium graminearum leads to enormous losses to crop growers, and may contaminate grains with a number of Fusarium mycotoxins that pose serious risks to human and animal health. Antagonistic bacteria that are used to prevent FHB offer attractive alternatives or supplements to synthetic fungicides for controlling FHB without the negative effects of chemical management. Out of 500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soil, Bacillus amyloliquefaciens JCK-12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nd was considered a potential source for control strategies to reduce FHB. B. amyloliquefaciens JCK-12 produces several cyclic lipopeptides (CLPs) including iturin A, fengycin, and surfactin. Iturin A inhibits spore germination of F. graminearum. Fengycin or surfactin alone did not display any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pore germination at concentrations less than 30 ug/ml, but a mixture of iturin A, fengycin, and surfactin showed a remarkable synergistic inhibitory effect on F. graminearum spore germination. The fermentation broth and formulation of B. amyloliquefaciens JCK-12 strain reduced the disease incidence of FHB in wheat. Furthermore, co-application of B. amyloliquefaciens JCK-12 and chemical fungicides resulted in synergistic in vitro antifungal effects and significant disease control efficacy against FHB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s, suggesting that B. amyloliquefaciens JCK-12 has a strong chemosensitizing effect. The synergistic antifungal effect of B. amyloliquefaciens JCK-12 and chemical fungicides in combination may result from the cell wall damage and altered cell membrane permeability in the phytopathogenic fungi caused by the CLP mixtures and subsequent increased sensitivity of F. graminearum to fungicides. In addition, B. amyloliquefaciens JCK-12 showed the potential to reduce trichothecenes mycotoxin prod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 amyloliquefaciens JCK-12 could be used as an available biocontrol agent or as a chemosensitizer to chemical fungicides for controlling FHB disease and as a strategy for preventing the contamination of harvested crops with mycotoxins.

  • PDF

작두콩 청국장 첨가 고추장의 품질 특성 (Effect of Sword Bean Chunggukjang Addition on Quality of Kochujang)

  • 장문익;김재영;김성조;백승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92-1299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발효식품인 고추장을 제조할 때 품질향상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양성 및 기능성이 풍부하다 알려진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분말을 메주 대신 사용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두콩청국장분말(SBC)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SBC 2, 5, 8 및 10%의 숙성기간 중 수분함량 변화는 대조고추장(SBC 0)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SBC 2, 5, 8 및 10의 담금 초기 염도는 SBC 첨가량에 따른 변화가 없었고, 90일 숙성 후 염도도 숙성전후의 SBC 0과 차이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SBC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색도는 SBC 첨가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90일 숙성된 고추장의 미생물상은 호기성 세균의 경우 $5.42{\times}10^7{\sim}9.59{\times}10^7$ CFU/g 수준이었고, 효모의 경우 $1.14{\times}10^2{\sim}9.73{\times}10^2$ CFU/g이었다. 작두콩청국장 첨가 고추장과 대조고추장에서 검출된 Bacillus cereus 식중독 균은 $8.49{\times}10^2{\sim}1.25{\times}10^3$ CFU/g 수준으로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90일 숙성된 고추장의 관능평가 결과 종합적 기호도는 6.95로 SBC 10이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작두콩청국장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품질은 일반메주로 제조한 고추장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고, 관능적으로 SBC 10의 품질이 SBC 0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흑마늘박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미생물 제어를 위한 시금치 세척에의 이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Black Garlic Pomace Extract and Its Application to Cleansing of Fresh Spinach Leaves for Microbial Control)

  • 강지훈;손현정;민세철;오덕환;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50-4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흑마늘 진액 가공 후 발생하는 흑마늘박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흑마늘박 추출물의 항균성과 시금치에 대한 세척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흑마늘박 추출물은 주요 병원성 미생물인 L. monocytogenes, S. aureus, E. coli O157:H7, S. Typhimurium에 대해 모두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그람 양성균인 L. monocytogenes와 S. aureus에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시금치에 0.5% 흑마늘박 추출물을 처리한 후 $4{\pm}1^{\circ}C$에서 9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흑마늘박 추출물 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저장 9일 동안 시금치의 총 호기성 세균 수를 1.23~1.35 log CFU/g, 효모 및 곰팡이 수는 0.82~1.12 log CFU/g 감소시켰다. 또한, 흑마늘박 추출물 처리는 저장 9일 동안 시금치의 Hunter 색도 값 및 총색차 값을 저장 초기와 유의적인 차이 없이 지속시켰기에 색도 품질 유지 측면에서 단순 물 세척 처리구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흑마늘박 추출물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높은 항균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시금치와 같은 신선 농산물의 미생물 제어를 위한 효과적인 세척 처리 물질로써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