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flavor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3초

메주와 콩 고오지를 혼용하여 담금한 고추장 숙성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chujangs with Meju and Soybean Koji during Fermentation)

  • 최진영;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35-1042
    • /
    • 2000
  • 메주와 콩고오지로 담금한 혼용고추장의 숙성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포집하여 GC-MSD로 분석, 동정한 결과 알코올 13종, 에스테르 17종, 유기산 7종, 알데하이드 6종, 기타 9종 등 52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일에 알코올 7종, 에스테르 9종 등 24종이었으나, 30일에 알코올 1종, 에스테르 3종을 비롯한 6종이 추가 검출되어 30종으로 증가하였다. 150일에는 49종으로 향기성분 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숙성 전과정을 통하여 검출된 향기 성분은 에탄올, 2-methyl-1-propanol, 3-methyl-butanol, 1-butanol 등 알코올류 6종, ethyl acetate, ethyl butyrate, ethyl caproate, ethyl carpylate 등 에스테르류 9종, 산류 2종, 알데하이드 2종, 기타 3종 등 22종이었다. 향기성분의 면적 비율은 담금일과 30일에 1-butanol이, 숙성 60일, 90일 및 150일에 에탄올이, 120일에 3-methyl-1-butanol이 각각 가장 높았고 숙성기간에 따라서는 ethyl acetate, 2-methyl-1-propanol, ethyl butyrate, acetaldehyde, ethoxyethene, ethenone, methylbenzene의 면적 비율도 높았다.

  • PDF

재래식고추장 숙성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최진영;이택수;박성오;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45-751
    • /
    • 1997
  • 찹쌀로 담금한 재래식 고추장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purge and trap 장치로 포집하여 GC-MSD로 분석, 동정하였다. 재래식 고추장에서 alcohol류 19종, ester류 13종, acid류 7종, aldehyde류 3종, alkane류 1종, ketone류 2종, amine 2종, benzene류 1종, alkene 1종, phenol류 1종, 기타 1종 등 51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동정된 향기성분은 담금 직후에 22종이었으나 30일에 41종으로 증가되었고 120일에는 51종으로 향기성분수가 가장 많았다. 이들 성분 중 숙성 전과정을 통하여 공통으로 검출된 성분은 acetic acid-ethyl ester, ethanol, butanoic acid-ethyl ester, 1-butanol,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butanoic acid, ethenone등 22종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은 담금 직후에 1-butanol이 30일 이후는 ethanol이 가장 높았다. 고추장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은 숙성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acetic acid-ethyl ester, ethanol, butanoic acid-ethyl ester, 1-but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등이 높아 재래식고추장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주성분으로 추측된다.

  • PDF

효소 및 미생물 복합체를 사용한 인비트로 루왁 커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 vitro luwak coffee produced using enzyme and microbial complexes)

  • 강혜미;오신영;강혜민;권중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7-299
    • /
    • 2023
  • 효소 및 미생물 복합제를 사용하여 인비트로 발효 루왁커피를 제조하여 non-fermented coffee beans(NFC)과 fermented coffee beans(FC)의 커피 품질을 비교하였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NFC가 254.01±4.89 mg/mL, FC가 264.15±16.80 mg/mL로 FC의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NFC는 glutamic acid, γ-aminon-butyric acid 등이 높았으나, FC는 lysine, leucine, valine 등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커피 생두의 발효과정은 sucrose의 감소와 fructose 및 glucose의 유의적인 증가를 가져왔다. 커피 추출물의 색도는 NFC에 비해 FC 시료에서 높은 명도(L)와 적색도(a) 및 황색도(b)를 보였다. 카페인 함량은 NFC 1,130.22±1.55 ㎍/mL, FC 696.94±0.04 ㎍/mL로써 발효 후 약 38%의 카페인이 감소되었다. 폴리페놀 및 클로로겐산 함량은 NFC에서 각각 2.31±0.01 mg GAE/mL와 531.81±27.32 ㎍/mL, FC에서 각각 2.03±0.07 mg GAE/mL와 264.46±2.47 ㎍/mL로 발효에 따라 떫은맛 관련 성분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전자코 분석에서 NFC와 FC의 휘발성 향성분의 차이가 뚜렷함이 확인되었고, methylethyl formate, 2-methyl-1, 3-cyclopentadiene, 2-chloro-2-methylbutane, 2-methylbutanal 등의 휘발성 화합물이 발효 후 높은 강도로 감지되었다. 관능 평가에서는 NFC 추출물보다 FC 추출물의 aroma, body, aftertaste, overall에서 높은 관능 평점을 보여주었다(p<0.001). 이상의 결과에서 효소 및 미생물 복합제를 사용한 커피 생두의 발효는 유효 성분들의 변화를 일으켜 커피 원두의 로스팅 과정 중 Maillard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향미가 증가되고 카페인 함량이 감소된 인비트로 루왁 커피의 제조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바나나 껍질과 파인애플 껍질 Ester Synthetase를 이용한 Ethyl Butyrate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Ethyl Butyrate Using Ester Synthetase Derived from Banana Peel and Pineapple Peel)

  • 윤기홍;김기혁;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122-1127
    • /
    • 2017
  • 바나나 껍질과 파인애플 껍질에서 식품의 향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ethyl butyrate를 합성할 수 있는 ester synthetase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반응표면분석(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사용하였다. RSM 분석 결과 바나나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의 ethyl butyrate 합성 최적 조건은 ethanol의 농도가 38.7050 mM, butyric acid의 농도가 50.9019 mM, 반응시간이 4.3662시간일 때 최대 예측값은 45.8199 mM이었다. 파인애플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의 ethyl butyrate 합성 최적 조건은 ethanol의 농도가 54.6502 mM, butyric acid의 농도가 58.7638 mM, 반응시간이 4.7436시간일 때 최대 예측 값은 65.1087 mM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ethyl butyrate 합성을 위해서는 바나나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보다는 파인애플 껍질에서 회수한 ester synthetase가 더 효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들의 연속 대량 생산을 위해서 효소의 고정화 방법과 연속적인 기질 투입을 위한 기술 등의 개발이 더 이루어진다면 천연향 원료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etramethylpyrazine Flavor Compound by Aerobic Fed-batch Culture of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biovar. diacetylactis FC1

  • HYONG-JOO LEE;KIM, KWANG-SOO;DONG-HWA SHON;DAE-KYUN CH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327-332
    • /
    • 1994
  •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cetoin and ammonia as the precursors of tetramethylpyrazine(TMP) were determined using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biovar. diacetylactis FC1 in a modified Lactose-citrate broth containing galactose, citrate, and arginine. The cell growth and the productivity of acetoin and ammonia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an aerobic culture with 10 $\mu M$ of hematin. For the optimum conditions of acetoin and ammonia production, the concentration of citrate and arginine were adjusted to 156 mM and 50 mM after 18 hr cultivation, and citrate and galactose to 156 mM and 50 mM after 36 hr cultivation, respectively. In these conditions, acetoin and ammonia were produced to the final concentration of 127 mM and 195 mM, which were the highest concentations, respectively.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TMP production were also determined as follows; 4 hours at 121, pH 8.3, and the maximal yield of TMP under these conditions was 0.81 g/l.

  • PDF

Isolation of Debaryomyces hansenii and selection of an optimal strain to improve the quality of low-grade beef rump (middle gluteal) during dry aging

  • Yoonjeong Yoo;Hyemin Oh;Yohan Yoo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9호
    • /
    • pp.1426-1434
    • /
    • 2023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ebaryomyces hansenii isolated from dry-aged beef on the tenderness and flavor attributes of low-grade beef during dry aging. Methods: Five D. hansenii strains were isolated from dry-aged beef samples. The rump of low-grade beef was inoculated with individual D. hansenii isolates and subjected to dry aging for 4 weeks at 5℃ and 75% relative humidity.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meat quality attributes, and flavor attributes in the dry-aged beef were measured. Results: Of the five isolates, the shear force of dry-aged beef inoculated with SMFM201812-3 and SMFM201905-5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samples. Meanwhile, all five isolates increased the total free amino acid, glutamic acid, serine, glycine, alanine, and leucine contents in dry-aged beef. In particular, the total fatty acid,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contents in samples inoculated with D. hansenii SMFM201905-5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sample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 hansenii SMFM201905-5 might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beef during dry aging.

Impacts of Irradiation Sources on Quality Attributes of Low-salt Sausag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Song, Dong-Heon;Kim, Hyun-Wook;Hwang, Ko-Eun;Kim, Yong-Jae;Ham, Youn-Kyung;Choi, Yun-Sang;Shin, Dong-Jin;Kim, Tae-Kyung;Lee, Jae Hoon;Kim, Cheon-Jei;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98-707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irradiation sources on quality attributes of low-salt sausag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Control sausage was prepared with 1.5% sodium chloride (NaCl), whereas low-salt sausage was formulated with 0.75% NaCl (a 50% reduction; L-control). Sausage samples were vacuum-packaged, and low-sausages were irradiated with gamma-ray, electron-beam and X-ray at 5 kGy, respectively. The samples were stored at $4^{\circ}C$ for 28 d to determine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The pH of low-salt sausages was unaffected by irradiation at 5 kGy (p>0.05). Higher redness values were found at irradiated low-salt sausages compared to control (p<0.05).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control sausage were higher than those of low-salt sausages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xtural parameters between low-salt sausage treatments. The overall sensory acceptability score of irradiated/low-salt sausages were lower than L-control due to decreased scores for cooked meat flavor but increased radiolytic off-flavor (p<0.05). The initial 2-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of irradiated/low-salt sausages were higher than control and L-control (p<0.05). However, the TBARS values of irradiated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at the end of storage. Irradiation could effectively inhibit the microorganism growth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Enterobacteriaceae, and Pseudomonas spp.) in low-salt sausages (p<0.05). Therefore, our findings show that irradiation could be to improve microbial safety of low-salt sausages, and suggest that further studies should be necessary to reducing radiolytic off-flavor of irradiated/low-salt sausages.

수박의 이상 발효(피수박)와 내생세균의 존재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of Fermentational Off-flavor and Presence of Microbial Endophytes in Bloody Watermelon)

  • 최재을;최춘환;육진아;안길환;황용수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85-289
    • /
    • 2004
  • 진한 적색과 이상 발효 증상을 나타내는 피수박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피수박의 발생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이상 발효와 내생 세균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수박의 내생 세균 밀도는 정상 수박의 경우 $2.2{\sim}37.0{\times}10^3$ cfu/g fw에 불과하였으나 피수박의 경우는 $1.26{\sim}1.75{\times}10^6$ cfu/g fw로 정상 수박에 비해 밀도가 매우 높았다. 피수박에서 분리한 56균주에서 17균주가 피수박을 유발하였다. 피수박과 관련이 있는 세균은 대부분이 Gram 음성으로 호기성인 Pseudomonas spp.와 혐기성 세균이었다. 따라서 피수박은 Gram 음성인 내생 세균의 증식에 의한 이상 발효가 원인이라고 추정된다.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과 효모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Fruit and Vegetable Mixed Broth Using by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정동선;이영경;임경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58-1364
    • /
    • 2000
  • 생산량이 풍부하고 가공성이 높지 않은 농산물인 무, 감자, 생강, 사과, 대추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과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를 순행하고, 발효액의 유기산 농도와 향기성분, 박테리오신의 생성 및 항균활성 등을 측정하여 저장성을 지닌 음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인 Lc. lactis를 이용한 과채 젖산발효액의 pH는 4.07, 산도는 0.36%이며, lact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박테리오신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발효중에 생성된 박테리오신의 항균역가는 냉장저장 중에도 매우 안정하였으며,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충치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저해효과가 있었다. 젖산발효액에 원료 혼합액에서 분리한 효모를 접종하여 후발효시킨 효모발효액에서는 일부 유기산의 소모로 인해 산도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succinic acid의 함량은 1.5배정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발효액에서 검출된 ester의 종류는 불쾌하고 쓴맛을 내는 phthalate 종류가 많은 반면, 효모 접종구에서는 과일향을 내는 ester 종류가 많이 검출되었고, alcohol종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젖산발효액의 풍미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죽엽 추출액을 이용한 젤리 품질평가 및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ral microbial Activity of Jelly Using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Leaves Extract)

  • 박경란;강성태;김민주;오희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3-290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ral microbial activity of bamboo leaf jelly prepared with different 5 levels (0, 10, 20, 30, and 40%)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leaf extract. The sugar contents of bamboo leaf jell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increasing the level of bamboo leaf extract. The luminance and Hunter's a values of the jelly samp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bamboo leaf extract, but the 40% bamboo leaf jelly had the lowest Hunter's b values. The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bamboo leaf extract. Amo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nly the flavor of the jelly with 30 and 40% bamboo leaf extrac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extract of bamboo leaves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mutans, S. sobriuns, P. gingivalis, and P. intermedia at a concentration of 40%.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mboo leaf extract can be useful in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je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