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ellar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6초

cis-[Co(en)2NH3Cl]2+ 이온의 수화반응과 염기성 가수분해반응에 미치는 미셀의 효과 (Micellar Effect of the Aquation and the Base Hydrolysis of cis-[Co(en)2NH3Cl]2+ Ion)

  • 정종재;백성오;이정아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5-270
    • /
    • 1994
  • 여러 가지 농도의 SDS용액에서 [Co(en)$_2$NH$_3$Cl]$^{2+}$의 수화반응과 염기성 가수분해반응의 속도상수를 UV분광법으로 구하였다. 그리고 염기성 가수분해 반응에서는 염화나트륨의 농도를 0, 0.05, 0.1 mol dm$^{-3}$로 변화시키면서 반응속도에 미치는 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화반응은 SDS의 농도가 CMC보다 진한 미셀상태에서의 속도(kH$^M$)가 CMC보다 아주 묽은 수용액 상태에서의 속도(kH$^W$)보다 약간 빠른 경향을 보였다. 염기성 가수분해반응에서 속도상수(kOH)는 CMC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SDS농도가 증가하여도 일정한 값을 가지나, CMC부근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CMC보다 진한 농도에서는 CMC이전과 마찬가지로 SDS의 농도가 증가하여도 속도상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염기성 가수분해반응에서 첨가한 염화나트륨의 효과는 이온교환모델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The toxicity of Aceporol 460 as a novel high loading capacity solubilizer of paclitaxel

  • Kim, Yeo-Woon;Kim, Ja-Young;Cho, Min-Jung;Song, Hye-Weon;Lee, Min-Jae;Kim, Jong-Jae;Lee, Mi-Suk;Sheen, Yhun-Yhong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2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172-172
    • /
    • 2002
  • Previously, we reported a novel polymeric micellar solubilizer, Aceporol 330, that showed relatively low toxic effects when it was compared with that of Cremophor EL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for paclitaxel.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new micellar solubilizer, Aceporol 460, that has 3-4 times higher loding capacity for paclitaxel than Aceporol 330. The single-dose and the repeated-dose toxicity of Aceporol 460 were evaluated in ICR mice. For single dose toxicity test, male and female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ive study groups to receive, and injected intravenously with dosages of 0, 3, 4mL Cremophor EL/kgbody weight, and 3, 4mL Aceporol 460/kg body weight, respectively. In both male and female mice, LD50 for Aceporol 460 can not he determined even at the maximal administrable dosage, 4mL/kg due to the high viscosity of chemica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body weight,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analysis, organ weight,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compared with that of Cremophor EL. For the repeated dose toxicity test, male and female mice were given the dosage of 0, 1.6mL Cremophor EL/kgbody weight/day, and 1.6mL Aceporol 460/kg body weight/day for 2 weeks. Results of repeated dose toxicity tests for 2 weeks suggested that Aceporol 460 treated group show no significant toxicological findings with body weight,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analysis, organ weight, urinalysis, and ophthalmoscopic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compared with that of Cremophor 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eporol 460 have higher paclitaxeL-loading capacity than Aceporol 330 and less toxic effects than Cremophor EL in male and female mice.

  • PDF

계면활성제를 적용한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모델링 연구 : 생물 복원 공정 (Evaluation of Surfactant Addition for Soil Remediation by Modeling Study : II. Bioremediation Process)

  • 우승한;박종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2호
    • /
    • pp.44-54
    • /
    • 2003
  • 토양 슬러리 시스템에서 유해물질의 미생물 분해시 계면활성제를 고려한 속도론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오염물질과 계면활성제의 분배, 미생물의 수용액상, 미셀상, 흡착상 분해, 계면활성제 첨가에 의한 대상물질 용해, 대상물질의 물질전달을 포함한다. 오염물질은 phenanthrene, 계면활성제는 Triton X-100, Triton NP-10, Igepal CA-720, Brij 30을 적용하였다. 미셀상 분해가 존재할 경우 매우 낮은 미셀상 이용도에서도 전체 분해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미셀상 이용성이 존재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 계면활성제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용액상 농도가 감소하여 전체 분해속도는 감소하였다. 흡착상 분해는 수용액상 분해나 미셀상 분해와 비교하여 전체 분해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본 모델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오염토양 생물복원시 계면활성제 탐색과 최적 공정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수용액에서 Monochlorophenol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 (Solubilization of Monochlorophenol Isomers by the Aqueous Solution of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 이병환
    • 공업화학
    • /
    • 제21권3호
    • /
    • pp.337-342
    • /
    • 2010
  •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TTAB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의 수용액에서 monochlorophenol 이성질체들의 가용화현상을 UV/Vis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온도의 변화에 따른 가용화상수값($K_s$)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열역학적 함수값(${\Delta}G^{\circ}_s$, ${\Delta}H^{\circ}_s$${\Delta}S^{\circ}_s$)들을 계산하고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 대한 ${\Delta}G^{\circ}_s$${\Delta}H^{\circ}_s$ 값은 측정한 범위 내에서 음의 값을 그리고 ${\Delta}S^{\circ}_s$ 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monochlorophenol 이성질체들의 가용화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n-부탄올과 NaCl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첨가제는 $K_s$와 CMC 값을 동시에 큰 폭으로 변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로부터 각 이성질체들이 미셀 내에서 가용화되는 위치를 예측할 수 있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서 Dichlorophenol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olubilizations of Dichlorophenol Isomers by the Cationic Surfactant Solution)

  • 이남민;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74-379
    • /
    • 2010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TAB(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의 수용액에서 dichlorophenol 이성질체들의 가용화현상을 UV/Vis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온도의 변화에 따른 가용화상수값($K_s$)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열역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 대한 ${\Delta}Go^{\circ}_s$${\Delta}H^{\circ}_s$ 값은 측정한 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dichlorophenol 이성질체들의 가용화현상에 미치는 n-부탄올과 NaCl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첨가제는 $K_s$와 CMC 값을 동시에 큰 폭으로 변하게 하였으며, 그런 결과로부터 각 dichlorophenol 이성질체들이 미셀 내에서 가용화되는 위치를 예측할 수 있었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ropofol-loaded Polymeric Micellar System: Nanoparticular Stability

  • Cho, Jae-Pyoung;Cho, Jin-Cheol;Oh, Eui-Chaul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6호
    • /
    • pp.393-398
    • /
    • 2008
  • A propofol delivery system was prepared using two biocompatible polymeric surfactants, poloxamer 407 and PEG 400. The nanoparticular stability of the micellar system was evaluated in terms of temperature change, storage time and composi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system was slightly increased with elevating temperature from $4^{\circ}C$ to $25^{\circ}C$, but its distribution was unimodal. At $40^{\circ}C$, the system presented a bimod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the increase in the fraction of particles larger than 15 nm. This result might b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nanoparticles through micellar swelling at the high temperature. It was found that propofol was gradually come out of the system, stored for a month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4, 25 and $40^{\circ}C$). The drug loss was apparently dependent on temperature and the system composition. Increasing temperature induced the acceleration of the drug loss of $7{\sim}10%$ at $4^{\circ}C$ and $14{\sim}16 %$ at $40^{\circ}C$. This may be owing to the high diffusivity resulting from the swelling of the hydrophilic surface of the nanoparticle at high temperature. However, the addition of PEG 400 to the system led to the reduction of the drug loss. This result is associated with the previous investigation that PEG coverage decreased diffusion coefficient because of the formation of the denser structure on the surface of nanoparticulate. Nevertheless, the limited amount of PEG, less than 2% (w/v), should be used to prevent the precipitation and discoloration of the system.

음이온성 계면활성제(DBS)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Brij 30과 Brij 35)와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Mixed Micellizations of Anionic Surfactant (DBS) with Nonionic Surfactnats (Brij 30 and Brij 35))

  • 박인정;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491-498
    • /
    • 2009
  • 25 ${^{\circ}C}$의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DBS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Brij 30 (polyoxyethylene(4) lauryl ether)과 Brij 35 (polyoxyethylene(23)lauryl ether)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임계미셀농도(CMC)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값(B)을 DBS의 겉보기몰분율($\alpha$1)의 함수로서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한 CMC값에 비이상적 혼합미셀화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i, $\gamma$i, Ci, aiM, $\beta$${\Delta}H_{mix}$)들을 계산하여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DBS는 Brij 30보다는 Brij 35와 더욱 강한 결합을 이루었으며 이상적 혼합미셀화로부터 더욱 큰 음의 벗어남을 보였다.

DPC와 CDEAB의 혼합마이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의 효과 (Effect of n-Butanol on the Mixed Micellization of DPC with CDEAB)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6-242
    • /
    • 2004
  • 25$^{\circ}C$의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에서 Dodecylpyridinium chloride(DPC)와 Cet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CDEAB)의 혼합계면활성제가 나타내는 임계마이셀농도(CMC)와 반대이온결합상수(B)값을 DPC의 겉보기몰분율(${\alpha}_1$)에 따른 변화를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와같이 측정한 CMC값에 비이상적 혼합마이셀화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_i,\;{\gamma}_i,\;C_i,\;a^M_i,\;{\beta},\;and\;{\Delta}H_{mix})$들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DPC/CDEAB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n-부탄올의 농도에 따른 열역학 함수값(CMC, B 및 ${\Delta}G_o\;^m$)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Comparative Study of Emission Quenching of Tris(${\alpha},{\alpha}'$-diimine)-Ruthenium(II) Complexes in Homogeneous and Sodium Dodecyl Sulfate Micellar Solutions

  • Park, Joon-Woo;Nam, Eun-Jin;Ahn, Byung-T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2권6호
    • /
    • pp.686-691
    • /
    • 1991
  • Emission quenching of photoexcited tris(${\alpha},{\alpha} '$-diimine)-ruthenium(II) complex cations, $RuL_3^{2+}$ (L: 2,2'-bipyridine, 4,4'-dimethyl-2,2'-bipyridine; 4,4'-diphenyl-2,2'-bipyridine; 1,10-phenanthroline; 5-methyl-1,10-phenanthroline; 5,6-dimethyl-1,10-phenanthroline or 4,7-diphenyl-1,10-phenanthroline) by $Cu^{2+}$, dimethylviologen $(MV^{2+})$, nitrobenzene (NB), and oxygen was studied in aqueous homogeneous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micellar solutions. The apparent bimolecular quenching rate constants $k_q$ were determined from the quenching data and life-times of $^{\ast}RuL_3^{2+}$. In homogeneous media, the quenching rate was considerably slower than that for the diffusion-controlled reaction. The decreasing order of quenching activity of quenchers was $NB>O_2>MV^{2+}>Cu^{2+}$. The rate with $Cu^{2+}$ was faster as the reducing power of $^{\ast}RuL_3^{2+}$ is greater. On the other hand, the rates with NB and $O_2$ were faster as the ligand is more hydrophobic. This was at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encounter pair by van der Waals force. The presence of SDS enhanced the rate of quenching reactions with $Cu^{2+}$ and $MV^{2+}$, whereas it attenuated the quenching activity of NB and $O_2$ toward $RuL_3^{2+}$. The binding affinity of quenchers to SDS micelle and binding sites of the quenchers and $RuL_3^{2+}$ in micelle appear to be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the micellar effect on the quenching reactions.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용액에서 Para-할로겐화 벤조산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 (Solubilization of Para-Halogenated Benzoic Acid Isomers by the Solution of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 이남민;이병환
    • 공업화학
    • /
    • 제22권5호
    • /
    • pp.473-478
    • /
    • 2011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TAB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용액에서 para-할로겐화 벤조산 이성질체들의 가용화 현상을 UV/Vis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온도변화에 따른 가용화상수값($K_s$)과 임계미셀농도값(CMC)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열역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 대한 ${\Delta}G^{\circ}{_s}$ 값은 측정범위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고, ${\Delta}H^{\circ}{_s}$${\Delta}S^{\circ}{_s}$ 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벤조산 이성질체들의 가용화현상에 미치는 n-부탄올과 NaCl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첨가제는 CMC와 $K_s$ 값을 동시에 큰 폭으로 감소시켰으며, 그 결과로부터 각 벤조산 이성질체들은 미셀의 표면 혹은 palisade 층에 가용화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