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O-C Refractor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초미분 spinel$(MgAl_2O_4)$ 의 입성장 및 소결 현상 (I) (Sintering phenomena and grain growth of ultra-fine spinel$(MgAl_2O_4)$; (I))

  • 이형복;한영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49
    • /
    • 1999
  • 순수 스피넬($MgAl_{2}O_{4}$)에 대하여 내화온도 범위인 $1400^{\circ}C$에서 $1700^{\circ}C$까지의 온도에서 주요 소결현상인 밀도(p), 입성장지수(n), 활성화에너지(Q)를 구하고 다른 실험 data와 비교 분석하였다 $160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입성장은 밀도와 마찬가지로 스피넬과 비슷하였으나 $1600^{\circ}C$ 이하의 온도에서는 아주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입성장지수는 $1600^{\circ}C$이하에서는 스피넬에 대하여 6이었고 $1600^{\circ}C$이상의 높은 온도에서는 5이었다. 활성화 에너지는 $1600^{\circ}C$이하의 온도에서는 474.38 kJ/mol로 종래의 값인 360~580 kJ/mol에 매우 근접하였다.

  • PDF

초임계수 산화공정에서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분해 최적화 연구 (Optimal Condition for Decomposition of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in Supercritical Water Oxidation)

  • 이현철;인정현;김종화;이창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318-323
    • /
    • 2005
  • 초임계수 산화는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의 분해를 위한 공정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반응기에서 온도 $387-500^{\circ}C$, 압력 250 bar의 초임계수 조건하에서(EDTA 분해효율) 체류시간 15.9-88.9초의 범위의 EDTA 분해효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산화제로는 과산화수소($H_2O_2$)를 사용하였다. EDTA의 분해효율은 온도 및 산화제투입량의 증가에 따라 상승하였으며, 반응물 도입유속의 감소 즉,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서 상승하였다. 본 연구결과 온도 $500^{\circ}C$, 압력 250 bar, 산화제 투입량 400%의 조건에서 최대 99.6%의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분해효율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이 산화제 투입량 증가의 영향보다 컸으며, 5,000 mg/L의 EDTA($COD_{Cr}$로서 3,063 mg/L)의 99% 이상 분해효율은 온도 $500^{\circ}C$와 압력 250 bar의 초임계수 산화조건에서 산화제투입량 200% 이상 및 체류시간 40.1초 이상에서 얻을 수 있었다.

순수 스피넬($MgAl_2O_4$)의 입성장 및 소결현상 (Sintering phenomena and grain growth of ultra-fine spinel($MgAl_2O_4$);(II))

  • 이형복;한영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98-502
    • /
    • 1998
  • 순수 스피넬$(MgAl_2O_4)$에 대하여 $1400^{\circ}C$에서 $1700^{\circ}C$까지에 내화온도 범위에서 입자크기(G), 밀도($\rho$), 활성에너지(Q)를 구하고 다른 실험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스피넬에 대한 입자크기와 상대밀도는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들은 두 개의 뚜렷한 영역을 나타내었는데 상대밀도가 약 85~90%까지의 중간소결단계와 전이-밀도 수준 이상의 마지막 단계, 소결영역으로 나타난다. 입자크기(G)와 밀도($\rho$)의 관계에서 활성화에너지 값은 670-48kJ/mol이었으며 다른 스피넬에서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약 590kJ/mol이었다. 이 값은 기존의 360~580kJ/mol의 값은 근접하였다.

  • PDF

환원 조건에서 석탄 슬래그의 Tcv 예측 (Prediction of Tcv for Coal Slags under Reducing Condition)

  • 박윤경;오명숙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6호
    • /
    • pp.623-630
    • /
    • 2006
  • 분류층 가스화기에서 슬래그의 점도 변화는 가스화기 운전 온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가스화 대상탄 중 결정슬래그의 거동을 보여주는 5개 탄 슬래그의 $T_{cv}$를 문헌의 경험식과 Factsage를 이용한 평형계산으로 예측하고, 각 방법의 실용성을 조사하였다. 경험식으로는 두개의 모델이 사용되었는데 각각 회분용융시험의 $T_h$와 슬래그의 5개 주성분 농도를 이용하였다. $T_h$를 이용한 모델은 $20{\sim}100^{\circ}C$ 높은 $T_{cv}$를, 5개 주성분을 이용한 모델은 $80{\sim}120^{\circ}C$ 낮은 $T_{cv}$를 예측하였다. 평형계산에서는 액상선 온도로 $T_{cv}$를 구하였다. 평형계산에 주 4 성분만을 사용하였을 경우 측정된 $T_{cv}$보다 높은 온도가 예측되었다. 액상선 온도는 부 성분의 농도에 매우 민감하여 MgO와 $Na_2O$의 추가는 액상선 온도를 낮추어 주었다. 평형계산에서 석탄의 주성분뿐만 아니라 부성분을 모두 포함시켰을 때 측정된 $T_{cv}$에 가장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Cr_2O_3$ 계열의 내화재가 사용되었을 경우, $T_{cv}$의 좀 더 정확한 예측을 위하여 용해 내화재의 농도도 평형계산에 포함시켜야함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