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 reduction

검색결과 2,186건 처리시간 0.045초

Gasification of Surface Carbon Contaminant during Discharge in Plasma Display Panel (PDP)

  • Soh, Hyun;Cho, Sung-Ho;Kim, Young-Cha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795-798
    • /
    • 2003
  • Inside of working PDP, there exist highly reactive conditions in the gap between two glass panels. MgO layer and phosphor have been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discharge and temperature. A drastic reduction in carbon impurity was observed on the surfaces after discharging and heat treatment. Carbon composition on the MgO and phosphor is a dominant factor for their instability

  • PDF

Biological nitrogen removal of ammonium-rich industrial wastewater by suspended bacterial growth

  • 임준택;성세현;황석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99-402
    • /
    • 2002
  • Industrial wastewater with high ammonium concentration was treated in batch biological systems which was a modified Ludzack- Ettinger process. Up to 78% conversion of $NH_4\;^+-N$ to $NO_x\;^--N$ was achieved in batch culture condition. Under anoxic condition with methanol as the carbon source, the denitrifiers decreased $NO_x\;^--N$ concentration from 608 mg/L to 5.6 mg/L in 22 d. As well as anoxic denitrification of $NO_x\;^-$ to $N_2$, dissimilatory nitrate reduction to ammonium also occurred under the condition as respiratory denitrification.

  • PDF

한방조성물의 Fluorouracil 조혈독성 억제 효능 및 안전성 연구 (Study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an Oriental Herbal Compositon for the Reduction of Hematopoietic Toxicity of Fluorouracil)

  • 문근아;성현제;윤유식
    • 생약학회지
    • /
    • 제35권2호통권137호
    • /
    • pp.122-127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an oriental herbal composition, Kamihonghwatang(KH-19), for the reduction of the side effects of chemotherapeutic drug. KH-19 prevented the reduction of white blood cells including lymphocytes, monocytes and eosinophiles in C57BL/6 mice injected with fluorouracil, a commonly used anticancer drug. KH-19 also prevented the reduction of cell densities in bone marrow and spleen of fluorouracil-injected mice. To evaluate the safety of KH-19, single-dose toxicity test was conducted using SD rats. No dead animal was found and the minimum lethal dose of KH-19 was more than 5000 mg/kg.

탕그스텐의 용량분석법에 관하여 -Pb 아말감법 (Volumetric Determination of Tungsten Lead Amalgam Method)

  • 최규원;민경록
    • 대한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6-188
    • /
    • 1963
  • An attempt to improve the method of volumetric determination of tungsten developed by Luke has been made successfully. Using amalgam coated lead instead of pure metallic lead in the reduction procedure. W(VI)-W(III) reduction has been found to be quantitative in rather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Since there was no excessive dissolution of lead via reduction of hydrogen ion, lead surface was totally accessible for the reduction of tungsten and no trouble was caused by dereposition of $PbCl_2$ crystals at the nozzle of Jones reductor. Furtherm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almost 100 mg. of $WO_3$ can be handled easily if the chloride concentration of the HCl is increased by adding solid $NH_4Cl$.

  • PDF

생하수의 퍼클로레이트 생분해 특성 (Bioreduction Characteristics of Perchlorate in Raw Sewage)

  • 홍성환;최혁순
    • 한국수처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1-87
    • /
    • 2018
  • This research was done to investigate the bioreduction characteristics of perchlorate in raw sewage because sewage contains biodegradable organics and various microorganisms for biological perchlorate reduction. Two different types of sewage were tested for biological perchlorate reduction in the flasks. Sewage A was collected from the screening equipment and sewage B was collected from the primary settlement in the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Perchlorate was completely reduced within 72hours from 8.2 and 10.4 mg/L in the sewage A and sewage B flask tests. When perchlorate and nitrate were added in sewage A, both perchlorate and nitrate were reduced. However, perchlorate and nitrate removal rates were 9.3% and 64.0% at 72hours in sewage B. Perchlorate reduc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high salinity(0.5% NaCl) in the sewage A and B. These results showed the sewage has potential for the biological perchlorate reduction in the sewage pipe.

인삼의 재배 및 가공단계 별 Azoxystrobin 잔류성 (Residues of Azoxystrobin during Cultivation and Processing of Ginseng)

  • 김종걸;김성수;박홍열;지광용;이경희;함헌주;임무혁;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2-240
    • /
    • 2009
  • 본 연구는 인삼 및 인삼가공품에 대한 합리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해서 인삼 중 농약의 잔류성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인삼 가공단계별 농약의 감소계수와 가공계수를 산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농약은 인삼재배 중 사용등록 되어 있는 azoxystrobin으로 강원도 원주와 경기도 이천의 6년근 인삼포에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살포한 후 수삼을 수확하였으며, 건삼, 홍삼, 인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시료는 KT&G의 협조를 받아 가공하였다. 시험결과 azoxystrobin의 잔류량은 원주, 이천 수삼에서 각각 0.05, $0.03\;mg\;kg^{-1}$, 건삼에서 0.12, $0.14\;mg\;kg^{-1}$, 홍삼에서 모두 $0.05\;mg\;kg^{-1}$, 인삼 알코올 농축액 0.28, $0.33\;mg\;kg^{-1}$, 인삼 물 농축액에서 0.22, $0.16\;mg\;kg^{-1}$, 홍삼 알코올 농축액에서 0.31, $0.20\;mg\;kg^{-1}$, 홍삼 물농축액에서 0.09, $0.11\;mg\;kg^{-1}$으로 모두 MRL수준 이하였다. Azoxystrobin의 가공계수는 건삼 3.25, 홍삼 1.34, 인삼 알코올 농축액 7.84, 인삼 물 농축액 4.63, 홍삼 알코올 농축액 6.15, 홍삼 물 농축액 2.56으로 산출되었으며 가공과정을 거치면서 농축에 의해 농약 잔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소계수는 건삼 1.19, 홍삼 0.51, 인삼 알코올 농축액 3.41, 인삼 물 농축액 1.91, 홍삼 알코올 농축액 2.74, 홍삼 물 농축액 1.00으로 약제가 초기 잔류량과 비슷하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귤과피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중 유기인계 농약의 잔류기준 산정 (Computation of residue limit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functional foods from citrus fruit peels)

  • 이미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9-35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가공식품에서의 농약 잔류기준 설정방법을 제안하고 그 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약성분의 감소계수를 추정하는 한편 기준설정을 위해 요구되는 감안인자 및 적용방법을 고안하였고 그에 근거하여 기준안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기인계 농약의 조리 가공에 의한 제거율 데이타를 총정리한 결과 감소계수는 식품의수세-0.55, 세제에 의한 세척-0.44, 과일의 껍질 벗기기-0.99, 채소의 데치기 및 삶기-0.49, 곡류의 도정-0.24, 곡류의 조리 가공-0.40, 식품의 통조림-0.21, 김치발효-0.32, 포도주 발효-0.23(유기인계 이외의 농약 포함), 착유-정제-1.60(유기인계 이외의 농약 포함), 감귤류 과피에서 식이섬유 및 bioflavonoid 분리과정-0.03, 0.09로 추정되었다. 감귤과피에서 추출, 정제된 식이섬유 및 bioflavonoid 제품중 농약잔류 기준으로는 과실 자체에서의 잔류기준, 농약성분의 감소계수, 제품의 소비량을 감안하여 18가지 유기인계 농약에 대한 기준 시안을 제시하였다. 식이섬유 제품에서의 농약잔류 농도는 과피에서의 17.6%에 해당하므로 그 제품중 농약 잔류 기준을 과실 기준의 0.65배로 하여 산정한 기준안은 0.01-3.0mg/Kg이었다. Bioflavonoid 제품에서의 농약잔류 농도는 과피에서의 450%에 해당하므로 그 제품중 농약잔류 기준을 과실 기준의 16배로 하여 산정한 기준안은 0.1-80mg/Kg이었다.

  • PDF

누에와 누에번데기의 혈청지질에 미친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Serum Lipids Levels in Silkworm and Silkworm Pupae)

  • 김은주;이소영;김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73-282
    • /
    • 2020
  • 본 연구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가치가 있는 미래의 식량자원인 곤충식품의 산업적 활용도를 높이고자 최근 10년간(2009년~2019년) 발표된 곤충식품들 중 누에와 누에번데기의 생리활성 연구자료를 수집하여 혈청 지질 수준 개선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누에와 누에번데기 연구물의 총 편수는 20편이었으며, 총 사례 수는 261개로 산출되었다. 연구단위로 분석한 연구의 수는 총 20개였다. 전체 연구결과의 효과크기는 0.852로 큰 효과크기였으며, 95% 신뢰구간의 범위는 0.662~0.999였다. Q 값은 23.264(p<0.001), Higgin's I2 값은 92.217로 각각의 연구가 이질성이 있다고 확인되었다. 관측값과 추정치를 보정한 관측값이 0.654로 동일하게 나타나 출판편향은 없었다. 누에 연구는 혈당과 혈중지질이 각각 0.801, 0.948로 큰 효과크기였으며, 그중 LDL-콜레스테롤은 1.371로 매우 큰 효과크기였다. 간 세포 손상(AST/GOT)은 0.768, 만성 간 세포 손상(ALT/GPT)은 0.788로 중간 효과크기였다. 실험기간은 5~8주가 1.170, 섭취량은 1~50 mg/kg이 1.020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였다. 누에번데기는 혈중지질과 총 콜레스테롤이 각각 0.991, 0.951로 큰 효과크기였다. 실험기간은 9주 이상이 1.103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였으며, 섭취량은 5001 mg/kg 이상이 0.855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2003년 하계 진해만 수질 개선을 위한 생태계 모델링 (Ecosystem Modelling for Improvement Summer Water Quality of Jinhae Bay in 2003)

  • 홍석진;이원찬;정래홍;오현택;장주형;구준호;김동명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3-110
    • /
    • 2007
  • 2003년 하계 진해만의 수질개선을 위한 육상오염물질 삭감량을 산정하기 위해 생태계 모델을 적용하였다. 모델에 의해 재현된 진해만의 수질은 마산만 측의 내측에서 해양수질 등급 III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등급 II의 수질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육상부하를 50% 삭감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해만 전 해역을 목표수질인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농도 2.0mg/L을 만족하는 조 건은 전체 육상부하의 $70\sim90%$를 삭감하거나, 전체 육상부하와 저질 용출부하의 50%를 동시에 삭감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 II등급을 유지하기 위해 삭감해야 할 양은 유기물과 영양염을 동시에 삭감할 경우, 유기물 (COD) 5,632kg/day, 용존무기인 481kg/day 및 용존무기질소 7,991kg/day이며, 이 때 오염부하량의 한계 즉, 환경용량은 화학적산소요구량 부하 13,112kg/day, 용존무기인 206kg/day 그리고 용존무기질소 3,425kg/day 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쌀 세척 및 취반 방법에 따른 isoprothiolane의 감소 효과 (Reduction effects of isoprothiolane during rice washing and cooking)

  • 김명헌;조미현;안소은;임무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72-482
    • /
    • 2023
  • 본 연구는 쌀의 세척 및 취반 방법에 따른 isoprothiolane 잔류량을 GC-µEC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척 전 현미 잔류량은 17.03 mg/kg이었으며, 도정 후 백미는 1.67 mg/kg이었다. 세척 방법에서 물의 비율과 세척 횟수에 따라 현미와 백미의 isoprothiolane 잔류량은 19.3-59.3 및 43.1-66.5%이었으며, 세척물 온도가 5-40℃ 증가할수록 현미는 56.6-63.1%, 백미는 67.1-74.9% 감소하였다. 세척 방법을 손으로 살살 휘젓거나 비비는 방법으로(A, B 및 C)로 달리하였을 때 현미의 농약 감소율은 63.1-71.6%, 백미는 75.4-87.4%이었다. 현미를 압력밥솥과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즉시 취반하였을 때 농약은 78.4 및 78.5%, 백미의 경우 94.0 및 94.0%로 감소하였으며, 30분간 불린 후 취반하였을 때 잔류농약은 현미에서 83.4%, 백미는 95.8% 감소하였다. 따라서 현미와 백미의 잔류농약 감소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세척 및 취반 방법은 40℃ 물, 7배 물로 6회 (2, 3회 차는 손으로 비벼서 세척) 세척 후 30분간 물에 불리기이다. 밥솥의 종류에 관계없이 취반할 경우 현미는 평균 83.4%, 백미는 95.8% isoprothiolane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