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 $B_2$ powder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9초

Ba(Mg1/3Nb2/3)O3 - La(Mg2/3Nb1/3)O3복합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Ba(Mg1/3Nb2/3)O3 - La(Mg2/3Nb1/3)O3Complex Perovskite Compound)

  • 백종후;이미재;최병현;지미정;임은경;남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718-723
    • /
    • 2004
  • Crystal structure of $(Ba-{1-x}La_x)[Mg_\frac{1+x}{3}}Nb_\frac{{2-x}{3}}]O_3$ (BLMN) ceramics with 0\leq1x \geq was investigated using synchrotron X-ray powder diffraction (XRD) and high reso(B $a_{l-x}$L $a_{x}$)[M $g_{(1+x)}$3/N $b_{(2-x)/3}$$O_3$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When the La content, x, is above 0.1, the 1:2 ordered hexagonal structure found in Ba($Mg_\frac{1}{3}Nb_\frac{2}{3}})O_3$(BMN) was transformed into 1:1 ordered cubic structure. The 1:1 ordered cubic structure was maintained up to x=0.7. When x exceeded 0.7, however, BLMN was transformed into 1:1 ordered structure which has cation displacement and in-phase and anti-phase tilt of octahedra.

녹두분말의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Powders After Various Hydrolysis Protocols)

  • 김옥미;구영아;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1-307
    • /
    • 2007
  • 국내산 녹두의 효율적 활용방안으로 녹두분말(A)와 효소제 무첨가 가수분해분말(B) 및 최적조건에서 가수분해시킨 분말(C)의 기능적 특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수분 등 성분의 함량은 녹두 분말의 처리 방법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색도는 (B)와 (C)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당의 함량은 (C)가 292.63 mg%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페놀 함량은 (A)와 (C)가 각각 38.63 mg%와 38.38 mg%로 나타내었다. SDS-전기영동 패턴을 살펴본 결과 (A)와 (B)에 비하여 (C)구간은 17 kDa 이하의 저분자 분자량을 나타냈다. 유리당 함량은 (A)와 (B)가 각각 86.36 mg%, 54.20 mg%에 비하여 (C)가 1,125.16 m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C)<(B)<(A)순으로 각각 22,116.35 mg%, 2,731.29 mg%, 578.54 mg%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필수아미노산 함량도 (C)가 8,231.42 mg%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능은 (A)와 (C)가 각각 62.16%, 57.63%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B)는 19.26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 활성은 (C)가 24.0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A) 20.69% 그리고 (B) 18.06%의 활성순으로 나타났다. 최적조건에서 가수분해 녹두분말(C)이 가수분해 되지 않은 무처리 녹두분말(B)과 녹두분말(A)에 비해 기능적 및 품질 특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식품 소재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되었다.

민들레복합분말 첨가 쌀 쿠키의 항산화적, 관능적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containing dandelion complex powder)

  • 변양수;라하나;김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73-1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민들레, 결명자, 유근피 및 건자두 등을 복합 추출한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민들레복합분말 AF-343을 이용하여 항균력을 검정하고, 쌀 쿠키 1개 분량에 250, 500 및 750 mg 나누어 첨가하여 항산화적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민들레복합분말의 수분, 회분함량은 각각 6.67, 11.98%이었고, 조단백 및 조지방 함량은 7.55, 2.48%로 측정되었다. 색도색 차계에 의한 측정 결과 L값 +47.62 a값 +1.98, b값 +27.39로 나타났으며, pH는 4.80의 값으로 산성의 범위로 나타났다. Paper disc 방법에 의한 항균력 검정은 E. coli O157:H7 균주가 $3.31{\pm}0.10cm$의 clear zone을타냈으며, S. aureus, B. cereus 및 L. monocytogenes는 각각 $2.68{\pm}0.39$, $1.97{\pm}0.21$, 및 $1.85{\pm}0.76cm$로 측정되었다. MIC 결과 또한, E. coli O157:H7 0.50-0.25 mg/mL, S. aureus 1.00-0.50 mg/mL, B. cereus와 L. monocytogenes는 2.00-1.00 mg/mL로 측정되어 paper disc 방법으로 측정된 결과와 일관성 있게 측정되었다. 쿠키 반죽은 민들레복합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퍼짐성 지수가 증가하였고 D500 및 D750은 대조군 및 D250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퍼짐성을 보였다(p<0.05). 손실률은 민들레복합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비교 시료군의 밀도는 $1.07{\pm}0.58-1.10{\pm}0.00g/mL$ 사이의 값으로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H는 대조군, D250, D500 및 D750가 각각 7.67, 7.53, 7.44 및 7.30으로 민들레복합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민들레복합분말 첨가 쌀 쿠키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질이 대조군, D250, D500 및 D750 시료가 각각 6.09%, 5.89%, 5.79% 및 5.71% 순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조지방은 대조군이 26.11%로 다른 시료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색도 측정 결과 D500 및 D750이 대조군, D250 시료와 비교하여 L값, b값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고(p<0.05), 적색도는 a값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력의 지표 물질로 이용되는 총 페놀 함량은 D500 및 D750이 201.47, 및 230.33 mgGAE/100g으로 대조군, D250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DPPH free radical 소거능도 페놀함량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관능적 특성 강도시험 결과 달콤한 향과 고소한 향은 시료간의 유의차가 없었고 달콤한 향미와 고소한 향미는 D750의 시료가 유의적으로 약하게 평가되었다(p<0.05). 기호도 검사에서는 외관과 고소한 향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달콤한 향과 향미 및 고소한 향미 등의 항목에서 D750 시료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p<0.05).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를 포함한 알러지 질환과 염증관련 질병개선, 식중독 및 염증 유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이 뛰어난 천연유래 기능성 식품 소재 민들레복합추출분말을 소비자 입장에서 간편하고 더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민들레분말 첨가 쿠키를 개발하였다. 쿠키 1개 분량에 민들레복합분말을 250 mg 첨가하였을 때 1일 2개 정도, 500 mg 첨가 한 경우에는 1일 1개 정도 먹으면 민들레복합분말 일일 섭취 권장량 750 mg의 약 70%를 충족 시킬 수 있으며, 기호도의 감소 없이 피부보습 및 아토피 피부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건강을 고려한 간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키베리 분말 첨가 설기떡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lgidduk added with maquiberry powder)

  • 조남숙;정해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45-9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마키베리 분말을 여러 수준(0%, 2%, 4%, 6%)으로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하고 수분함량, pH, 당도, 색도, 조직감, 기호도, 항산화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37.75~38.79%로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pH는 대조군이 6.2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첨가군이 4.27~5.15로 마키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는 $0.65{\sim}0.80^{\circ}Brix$로 나타났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 값은 마키베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 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첨가군은 (-)값을 나타내었다. 경도와 씸힘성은 대조군이 첨가군보다 낮았고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호도 조사 결과 표면색은 2%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된 반면, 4% 첨가군과 6% 첨가군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 없이 평가되었다. 냄새, 맛, 전체적인 기호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키베리 분말 첨가 설기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군이 8.66 mg GAE/100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첨가군은 76.98~262.71 mg GAE/100 g으로 마키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첨가군이 9.76~31.19 mg C3G/100 g으로 6%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키베리 분말 첨가 설기떡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 모두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마키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마키베리 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실험에서 마키베리 분말 첨가 설기떡의 항산화 활성과 관능성을 모두 고려하여 볼 때 마키베리 분말을 6%까지 첨가하여도 좋을 것으로 여겨지며 향후 기능성 떡으로서의 상품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eparation, Structur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Ordered Perovskite (BaLa)(MgMo)O$_6$

  • 조진호;홍성태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0권1호
    • /
    • pp.8-12
    • /
    • 1989
  • The polycrystalline powder of (BaLa)(MgMo)$O_6$ has been prepared at $1350^{\circ}C$ in a nitrogen flowing atmosphere. The powder X-ray diffraction pattern indicates that (BaLa)(MgMo)$O_6$ has a cubic perovskite structure ($a_0$ = 8.019(3) $\AA)$ with 1:1 ordering or $Mg^{2+}$ and $Mo^{5+}$ in the oxide lattice. The infrared spectrum shows two strong absorption bands with their maxima at 600(${\nu}3$) and 365(${\nu}4$) cm-1, which are attributed to $2T_{1U}$, modes of molybdenum octahedra MoO6 in the crystal lattice. According to the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 the compound shows a paramagnetic behavior which follows the Curie-Weiss law below room temperature with the effective magnetic moment 1.60(1){$\mu}B$, which is consistent with that of spin only value ($1.73{\mu}B$) for $Mo^{5+}$ ($4d^1$ electronic configuration). From the thermogravimetric and X-ray diffraction analyses, it has been found that (BaLa)(MgMo)$O_6$ decomposes gradually into $BaMoO_4$, $MoO_3$ and unidentified phases above $900^{\circ}C$ in an ambient atmosphere, absorbing about 0.25 mole $O_2$ per mole of Mo ion, which also supports that oxidation state of $Mo^{5+}$ in the (BaLa)(MgMo)$O_6$.

어린이 김치 표준화에 대한 연구 -어린이 김치에 적합한 고추가루-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Kimchi for the Children -The Proper Red Pepper Powder for Children대s Kimchi-)

  • 송영옥;빈성미;문정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93-898
    • /
    • 1996
  • 어린이 김치 표준화의 일환으로 어린이 김치의 기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고추가루의 적합한 선정을 위해 경상도 일대에서 생산되어 시판되고 있는 4종류(A, B, C, D)의 고추가루에 대해 고추가루의 일반성분 및 색도, capsaicinoid류 및 당 함량 등을 분석하였고 이들 고추가루로 담근 김치에 대한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4종류의 시판되고 있는 고추가루의 일반 성분은 수분이 11.59~13.48%, 조지질이 7.59~8.39%, 조회분이 4.34~7.45% 로 나타났다. 고추가루의 색깔에 있어서 Hunter 색차계로서 측정된 적색도 a값, 황색도 b값은 A고추가루가 가장 우수했으며, 밝기를 나타내는 ASTA color값은 A(178.20)>C(142.80)>B(114.28)>D(98.06) 고추가루 순으로서 역시 A고추가루가 가장 우수하였다. 고추가루의 매운맛을 나타내는 capsaicinoids에 있어서 capsaicin 함량은 D고추가루가, dihydrocapsaicin은 C고추가루가 가장 높았다. 또한 capsaicin dihydrocapsaicin에 각각 1 : 0.6의 가중치를 주어 산출된 capsaicin equivalent 는 D>C>A>B고추가루 순이었다. 고추가루의 유리당 함량은 주된 성분인 과당, 포도당 모두 B>A>D>C고추가루 순이었고 서당은 A>D>C>B 고추가루 순이었다. 총 당 함량 역시 B고추가루가 16.81%로서 다른 제품에 비해 가장 높았다. 한편 4종의 고추가루를 달리하여 담근 김치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색깔 면에서 발효기간 전반에 걸쳐 A고추가루가 가장 우수하였고 종합적인 맛에 있어서도 가장 좋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A고추가루로 담은 김치는 초등학생들의 관능검사 결과 현재의 초등학교 급식김치 보다 색깔을 비롯한 5개 전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1). 그리고 이때 사용된 A고추가루의 일반특성은 capsaicin equivalent 24.lsmg%, 총 당 함량 15.79% 그리고 ASTA color값 178.2였다.

  • PDF

Analysis of Influenc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Ganoderic Acid Content: in Ganoderma lucidum Using Orthogonal Design

  • Li Na;Liu Xiao Hua;Zhou Jie;Li Yu Xiang;Zhao Ming We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2호
    • /
    • pp.1940-1946
    • /
    • 2006
  •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ganoderic acid (GA) content in the fungus Ganoderma lucidum was investigated using a one-factor-at-a-time design and orthogonal design. Among the various medium components examined, sucrose, soybean powder or peptone, ferrous sulfate, and pH 6.0 were the most suitable carbon source (factor A), nitrogen source (factor B), mineral source (factor C), and initial pH (factor D), respectively, for the GA content in the one-factor-at-a-time design. According to the orthogonal design, the order of effect for the four factors on the GA content was A>C>D>B. The best level of factor A was $A_2$ (sucrose) with a value of +0.34 mg/100 mg DW. The optimal treatment combination was $A_2B_1C_3D_1$ with which the GA content reached up to 2.63$\pm$0.011 mg/100 mg DW.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mineral ion and the nitrogen source, and the mineral ion and the pH were both highly significant (P<0.01). The highest interaction effect was ($B_2{\times}D_2$) with a value of +0.19 mg/100 mg DW, which was higher than the level effect value for $B_2$ (peptone) and D$_2$ (pH 5.0). Therefore, the results proved that interactions between factors cannot be ignored.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factors, which may help to understand the metabolic pathway leading to triterpene biosynthesis and the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the key enzymes involv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ulggitteok made by Chestnut Powder

  • Jhee, Ok Hwa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6-102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gitteok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s of chestnut powder: 0%, 5%, 10%, 15%, and 20%.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hestnut Sulggi without added chestnut powder was 38.24% than that of any other chestnut powder added groups and gradually decreased from 33.34~26.27% based on the addition of chestnut powder. In terms of color, the lightness (L) decreased significantly but redness (a) and yellowness (b) significantly (p<0.001)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s of chestnut powde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as the amount of chestnut powder increased and decreased. Total phenol contents of phenol contents was higher in the 10% added group (347.50 mg GAE/100 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5% added group ($69.35{\pm}2.02%$) and 10% added group ($74.33{\pm}2.29%$). Texture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the hardness, adhesiveness, chewines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test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showed that the taste, color, flavor, chewiness, sof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the highest in the 10% added group while the color and flavo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hestnut Sulggi with up 10% added chestnut powder can be developed as products.

작두콩분말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Sword Bean Powder)

  • 박복희;고경미;전은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4-381
    • /
    • 2018
  •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sword bean powder(0, 5, 10, 15%) to determine the most preferred noodle recipe for consumer's desire.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sword bean powder was as follows: Moisture contents were $13.4{\pm}0.08%$, protein $30.2{\pm}0.12%$, fat $0.3{\pm}0.09%$, protein $1.0{\pm}0.11%$ and carbohydrates $55.1{\pm}0.12%$,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content of sword bean powder was measured 23,054.266 mg/100 g, especially in the order of histidin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The flavonoid content of sword bean powder was 17.9750 mg%. Water-binding capacity increased as the level of sword bean powder increased. When viscosity of wheat flours containing sword bean powder was measured by amylograph, the gelatinization point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 of sword bean powder increased, but peak viscosity decreased. As the level of sword bean powder increased, L value decreased, whereas a and b values increased. Weight, water absorption and volume of cooked noodles prepared with wheat flours containing sword bean powder decreased, whereas turbidity of soup increased. For textural properties, addition of sword bean powder increased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of cooked noodles, whereas adhesiveness decreased.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such as appearance, color, flavor, taste, texture, overall preference, it was revealed noodles with 10% sword bean powder was the most preferr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ddition of sword bean powder positively affects the overall sensory evaluation of wet noodle, and 10% is the optimal level for addition.

누에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를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품질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방혜열;박무현;홍은영;김연경;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04-205
    • /
    • 2003
  • Change in Quality properties of the Kochujang Prepared with the powder of Paecilomyces japonica and extract of p. japonica by different solvents were investigated during 90 days of fermentation at 20$^{\circ}C$. The moistur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H of Kochuiang made with p. japonica was lower than control group and decreas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time. Amino nitrogen continuously increased till 60 days and decreased slightly on 90 days. Amino nitrogen of Kochujang made with P. japonica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and was highest on 30 days and 60 days by 179.2mg% and 282.2mg% respectively. Value of L, a, b in Color decreased with proportion to fermentation period and L, a, b value of Kochujang made with P. japonica was lower and in particular that of Kochujang made with P. japonica powder was lowest. from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test, the color of control group was similar to“clear red”but that of Kochojang made with powder of P. japonica was close to“dark reddish brown”and that of Kochujang made with extract of P. japonica was dark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preference of dark color was low. Texture was“glossy and smooth”in all and preference was high. In salty taste, the Kochujang by P. japonica addition was stronger and Kochujang made with extract was stronger than that made with powder. In hot taste, the Kochujang made with P. japonica was weaker than control group and the Kochujang made with P. japonica was scored higher in flavor than control group and Kochujang made with powder of P. japonica was the highest in score. In overall preference, the Kochujang made with P. japonica was better than control group like the result of flavor but expecially Kochujang made with water extract of P. japonica among the extract was best one unlike the result of flav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