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2+

검색결과 1,353건 처리시간 0.026초

바이오플락 탈질수가 어린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의 생존율 및 생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enitrified biofloc water on the survival rate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cific white shrimp juveniles, Litopenaeus vannamei)

  • 김수경;장진우;조영록;김준환;김수경
    • 환경생물
    • /
    • 제37권2호
    • /
    • pp.136-143
    • /
    • 2019
  • 안정된 바이오플락 사육수에는 대량의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사육수온이 높아 재사용이 가능할 경우 빠른 수질안정화 및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바이오플락 사육수 내 부유하고 있는 자가 및 타가 영양세균은 호기성과 혐기성 세균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탄소원을 넣고 산소를 공급하지 않는 혐기성 상태로 만들면 탈질과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바이오플락 탈질수의 특성은 암모니아(6.9 mg L-1), 아질산(0.3 mg L-1), 질산농도(9.2 mg L-1), 높은 pH(8.42), alkalinity (590 mg L-1)였으며 이 탈질수를 첨가한 사육수의 물리적 환경 변화가 어린새우의 생존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탈질수를 100% 사용하여도 생존율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림프를 포함한 체액 분석결과 탈질수 혼합에 의한 조직손상 및 스트레스 지표인 크레아틴, 혈중 요소성 질소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탈질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새우 체내 이온(Na+, K+, Cl-)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향후 삼투압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탈질수를 일정비율로(50% 미만)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심장에서 세포내 Mg2+ 농도 의존적 Mg2+ 유리 (Intracellular Mg2+ concentration dependent Mg2+ release in the hearts)

  • 백성수;김상진;김진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91-299
    • /
    • 2000
  • Magnesium ($Mg^{2+}$) transport across the plasma membrane of cardiac myocytes appears to be under hormonal control. Repeated stimulations with adrenergic or histaminergic agonist produced a progressive decrease in $Mg^{2+}$ efflux from hearts. Thus we hypothesized that the $Mg^{2+}$ efflux may be resulted from a down-regulation of receptors or from a depletion of $Mg^{2+}$ from intracellular pool(s) in the hearts. In the present study, the regulation of $Mg^{2+}$ homeostasis by receptor stimulation was studied in perfused rat and guinea pig hearts. The successive short addition of norepinephrine (NE) to rat and guinea pig, and of histamine (HT) to perfused guinea pig hearts induced a progressive decrease in $Mg^{2+}$ efflux. These $Mg^{2+}$ effluxes were blocked by propranolol or ranitidine, respectively. These decrease in $Mg^{2+}$ efflux were inhibited by sodium cyanide (NaCN), which increases intracellular $Mg^{2+}$ ($[Mg^{2+}]_i$) levels. When NE (or HT) was added after HT (or NE), this efflux was also decreased in the guinea pig hearts. In the rat hearts and myocytes, HT did not stimulate $Mg^{2+}$ efflux. But NE produced a large $Mg^{2+}$ efflux after stimulation with HT. 8-(4-Chlorophenylthio)-adenosine cAMP (cAMP), like NE and HT, also induced a progressive decrease in $Mg^{2+}$ efflux in guinea pig hearts. This effect was inhibited by NaCN. These data provide evidence that the progressive decrease in receptor-stimulated $Mg^{2+}$ efflux is considered to be due to a decrease in $[Mg^{2+}]_i$ levels rather than receptor down-regulation.

  • PDF

감잎 추출물의 유산균 생육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of Persimmon Leaf Extracts)

  • 우준영;백남수;김영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8-38
    • /
    • 2005
  • 본 연구는 감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L. acidophilus MG501, L. brevis MG19, L. bulgaricus MG515, L. lactis MG530, L. casei MG311 균종에 대한 생육조건 및 동결건조 보호제로서의 효과, 가혹조건에서의 경시변화, vitamin C 함량 변화, DPPH 라디칼 소거효과, SOD 유사활성을 조사하였다. 유산균 생육은 L. acidophilus MG501, L. brevis MG19, L. bulgaricus MG515, L. lactis MG530, L. casei MG311에서 각각 37℃/48hr 동안 배양한 후 3.2×10/sup 9/cfu/mL, 2.9×10/sup 9/cfu/mL, 1.1×10/sup 9/cfu/mL, 1.6×10/sup 9/cfu/mL, 3×10/sup 9/cfu/mL 생균수을 나타냈으며 pH는 3.82∼3.88, 산도는 1.697∼l.842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감잎추출물 10% 첨가에 4.4×10/sup 9/cfu/mL, 4.3×10/sup 9/cfu/mL, 2×10/sup 9/cfu/mL, 3.3×10/sup 9/cfu/mL, 3.4×10/sup 9/cfu/mL에 생균수을 보여 유산균 생육시 감잎 추출물 첨가가 유산균 증식에 효과를 보였으며 pH는 3.74∼3.82, 산도는 1.528∼1.805로 낮게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보호제에서는 L. acidophilus MG501는 약30%정도 생존율의 감소를 보였으며 L. brevis MG19, L. bulgaricus MG515의 경우는 약 10% 정도 생존율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L. lactis MG530는 약 10%정도 생존율 증가를 보였으며 L. casei MG311은 거의 동등한 효과를 나타냈다. Vitamin C 함량 변화는 L. lactis MG530에서 190.26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 acidophilus MG501에서는 56.05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효과는 감잎 추출물 10% 첨가시에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L. brevis MG19에 감잎 추출물을 10% 첨가하여 배양한 경우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전반적으로 대조군보다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상수리나무림의 계절별 버섯 생산량 및 영양염류 함량 (Seasonal Diversity, Production and Nutrients Concentration of Mushrooms in an Oak Forest)

  • 남궁정;표재훈;문형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315-322
    • /
    • 2001
  • 1999년 3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공주시 근교의 참나무림에서 계절별 버섯의 출현종과 개체수, 생산량 및 영양염류 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방형구 내에서 출현한 종은 114종류이었고, 총 개체수는 352,750개/ha이었다. 8월에 버섯의 출현종 수와 생산량이 가장 높았고, 출현한 개체수도 전체의 47%를 차지하였다. 월별 우점종은 6월과 7월에는 잿빛젖버섯, 8월은 애기낙엽버섯, 9월은 노랑끈적버섯, 10월은 노랑끈적버섯과 민자주방망이버섯이 우점하였다. 버섯의 연간 생산량은 1999년과 2000년에 각각 84.8 kg·ha/sup -1/·yr/sup -1/, 86.7 kg·ha/sup -1/·yr/sup -1/로 조사되었다. 버섯의 현존량은 7월, 8월, 9월, 10월에 각각 27.1, 35.9, 17.1, 3.7 ㎏/㏊이었다. 월별 현존량이 많은 종은 6월 횐꽃무당버섯, 7월 수원무당버섯, 8월과 9월 횐무당버섯아재비, 10월 민자주방망이버섯이었다. 연간 최대 현존량을 보인 버섯은 횐무당버섯아재비로 전체의 17.5%를 차지하였다. 버섯의 평균 영양염류 함량은 N 45.2±8.9 mg/g, P 1.5±0.8 mg/g, K 29.6±8.1 mg/g, Ca 0.2±0.3 mg/g, Mg 0.8±0.3 mg/g Ca과 Mg을 제외하고는 주변의 낙엽이나 토양보다 훨씬 높은 값이었다. 버섯을 통해 연간 임상에 축적되는 영양염류의 양은 N 4,163.1 g·ha/sup -1/·yr/sup -1/, P 130.1 g·ha/sup -1/·yr/sup -1/, K 2,568.2 g·ha/sup -1/·yr/sup -1/. Ca 12.4 g·ha/sup -1/·yr/sup -1/. Mg 68.5 g·ha/sup -1/·yr/sup -1/이었다.

  • PDF

지베렐린 처리에 따른 서어나무 16년 저장 종자의 휴면타파 및 발아촉진 효과 (Effects of Gibberellin Treatment on the Dormancy-breaking and Germination Promotion of Carpinus laxiflora Seeds Stored for 16 Years)

  • 한심희;구자정;김두현;임효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531-5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15년 이상 장기 저장된 서어나무 종자의 활력 평가와 동시에, 서어나무 종자의 휴면 원인 제거와 재생률 개선을 위한 최적 전처리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서어나무 종자는 2000년 10월에 채집하여 16년간 -18℃에 냉동 보관되었던 것을 사용하였다. 종자의 재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은 대조구, 온습 처리구(23℃에서 30일간), 냉습 처리구(4℃에서 30, 45, 60, 120일간), 호르몬 처리구(100, 500, 1000, 2000, 3000 mg·L-1의 GA3 용액에 24시간 침지), 냉습과 호르몬 병행 처리구(4℃에서 30일간 냉습 처리 후, 100, 500, 1000 mg·L-1 GA3 용액에 24시간 침지)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무처리 종자의 평균 발아율은 2%였고, 온습 처리 종자의 평균 발아율은 10%였다. 냉습 처리한 종자는 45일간 처리에서 가장 높은 81%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120일 냉습 처리한 종자는 가장 낮은 67.3%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지베렐린 처리된 종자의 평균 발아율은 77%(100 mg·L-1)에서 99%(1000 mg·L-1)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처리 농도 간 통계적으로 차이가 뚜렷하였다. 지베렐린 처리 효과는 500 mg·L-1과 1000 mg·L-1에서 가장 높았으며, 100 mg·L-1에서 가장 낮았다. 냉습 처리 후 지베렐린을 병행 처리 한 종자의 평균 발아율은 68%로, 냉습 단독 처리(73.2%)와 지베렐린 단독 처리(88.4%)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네 가지의 처리에 따른 서어나무 종자의 발아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평균 발아율이 가장 높은 지베렐린 500 mg·L-1 전처리가 장기 저장된 서어나무 종자의 재생을 위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18℃에서 16년간 저장된 서어나무 종자는 높은 활력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전처리를 하면 재생할 수 있다.

석탄비산재로 합성한 Na-A 제올라이트의 Ca2+와 Mg2+ 이온교환 성능평가 (Evaluation of Exchange Capacities of Ca2+ and Mg2+ ions by Na-A Zeolite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

  • 이창한;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975-982
    • /
    • 2018
  • In this study, zeolite (Z-C1) was synthesized using a fusion/hydrothermal method from coal fly ash. The morphological structures of Z-C1 were confirmed to be highly crystalline with a cubic crystal structure. Exchange capacities of $Ca^{2+}$ and $Mg^{2+}$ ions in a single and a mixed solution reached equilibrium within 120 min. The exchange kinetics of these ions were well predicted by the pseudo-second-order rate equation. The exchange isotherms of the $Ca^{2+}$ and $Mg^{2+}$ ions matched the Langmuir isotherm better than the Freundlich isotherm. The maximum cation exchange capacities ($q_m$) obtained by the Langmuir isotherm model were 2.11 mmol/g (84.52 mg/L) and 1.13 mmol/g (27.39 mg/L) for the $Ca^{2+}$ and $Mg^{2+}$ ions, respectively.

Electrochemical Degradation of Textile Effluent Using PbO2 Electrode in Tube Electrolyzer

  • Chao Wang; Yongqiang Li;Junmin Wan;Yi Hu;Yi Huang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90-197
    • /
    • 2024
  • A commercial PbO2 mesh cylinder electrode was utilized as the anode for the electrochemical degradation of the textile effluent after the biological treatment with the titanium cylinder as the cathode in a self-made tube electrolyzer.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the PbO2 electrode in tube electrolyzer under different initial pH, electrolyte flow rates, current densities and times of the electrochemical degradation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illustrated that the PbO2 electrode can reduce the chemical oxygen demand (COD) of the textile effluent from 94.0 mg L-1 to 65.0 mg L-1 with the current efficiency of 88.3%, the energy consumption of 27.7 kWh kg-1 (per kilogram of degraded COD) and the carbon emissions of 18.0 kg CO2 kg-1 (per kilogram of degraded COD) under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COD of the textile effluent could be reduced from 94.0 mg L-1 to 22.0 mg L-1 after the fifth electrochemical degradation. Therefore, PbO2 mesh cylinder electrode in the tube cylinder was promising for the electrochemical degradation of the textile effluent.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fat-soluble nutrients and phospholipids in seven types of commercial infant formulas

  • Tae Yong, Ahn;Jung-Ah, Sh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771-786
    • /
    • 202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fat-soluble nutrients (tocopherols, retinol, carotenoids, fatty acids, and cholesterol) and phospholipids (PLs) in seven types (imported SPA, SPS, SFS, and SSI; and domestic MLM, MPM, and NIX) of commercial infant formulas (IFs). The contents of tocopherol and retinol activity equivalent (RAE) in the seven IFs were 1.42 - 3.86 mg α-TE·100 kcal-1 and 64.90 - 144.95 ㎍ RAE·100 kcal-1, respectively. The imported IFs contained high contents of lutein + zeaxanthin (29.68 - 32.49 ㎍·100 g-1) and lycopene (71.80 - 93.28 ㎍·100 g-1), while the domestic IFs did not contain lycopene. The contents of linoleic acid (C18:2) and α-linolenic acid (C18:3) in the seven IFs were also within the recommended ranges (C18:2, 300 - 1,400 mg·100 kcal-1 and C18:3, over 50 mg·100 kcal-1) of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ratio of arachidonic acid (ARA, C20:4)/docosahexaenoic acid (DHA, C22:6) was 2.42 - 2.74 in the imported IFs and 0.96 - 1.08 in the domestic IFs. However, the DHA content of the domestic IFs (0.37 - 0.65 g·100 g-1 fat%)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imported IFs (0.16 - 0.18%). Total PL contents were 108.02 - 135.93 mg·100 kcal-1 for the domestic IFs and 6.05 - 66.70 mg·100 kcal-1 for the imported IFs. The main PLs of the domestic IFs were phosphatidyl choline (48.5 - 71.1% of total PLs), phosphatidyl ethanolamine (12.8 - 23.1%), phosphatidyl serine (7.0 - 11.6%), and sphingomyelin (4.3 - 21.5%).

Effect of Rumex acetosella Extract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Festuca arundinacea

  • Yosep Kang;Но-Jun Gam;Eun-Jung Park;Bo-Ram Choi;Ki-Yong Kim;Sang-Mo Kang; In-Jung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2-112
    • /
    • 2022
  • 외래잡초인 애기수영(Rumex acetosella)는 생태계 교란종으로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우리나라 목초지에 우점하고 있어 큰 문제를 야기한다. 애기수영의 경우, 살초효과 및 제초활성물질인 chrysophanic acid와 catechd이 밝혀져 있지만, 톨페스큐(Festuca arundinacea)에 대한 살초 효과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톨페스큐 종자에 대해 애기수영 MeOH 추출물을 처리한 Seed bioassay를 진행해 IC50 값을 구하고, 톨페스큐에 애기수영 MeOH 추출물을 경엽처리를 진행한 후 생육조사를 진행했다. Seed bioassay의 경우, petri dish 위에 톨페스큐 종자 20개가 치상하고, 애기수영 지상부 추출물과 지하부 추출물을 각각 20,000 mg L-1, 10,000 mg L-1, 5,000 mg L-1, 2,500 mg L-1 농도로 serial dilution 하여 1mL씩 분주한 뒤, 일주일 뒤에 발아한 종자에 대해 생체중을 조사하고 Prizm 프로그램을 이용해 IC50을 구하였다. 경엽처리의 경우, 톨페스큐 종자 파종4주 뒤에 IC50값이 더 낮았던 지상부 추출물을 100,000 mg L-1, 50,000 mg L-1, 25,000 mg L-1, 12,500 mg L-1, 6,250 mg L-1 농도로 serial dilution 한 뒤 5mL씩 일주일 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를 진행하였고, 마지막 처리 일주일 뒤 초장, 근장, 생체중, 건물중을 조사하였다. Seed bioassay 결과, 애기수영 지하부 추출물에 대한 톨페스큐의 IC50값은 3274가 나왔고, 애기수영 지상부 추출물에 대한 톨페스큐의 IC50값은 2728가 나왔다. Seed bioassay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 이 었던 지상부 추출물을 이용해 톨페스큐 경엽처리를 진행하였다. 애기수영 지상부 추출물 경엽처리 결과, 톨페스큐 초장과 생체중이 추출물 처리량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졌으며, 100,000 mg L-1 처리구는 Control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처리량이 높아짐에 따라 근장이 감소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건물중은 100,000 mg L-1 처리구가 Control, 12,500 mg L-1, 6,250 mg L-1 처리구와 비교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 PDF

수도권 일대 신갈나무 숲의 토양이온, 식물체 영양염류 함량 및 생장의 비교 (Comparison of Soil Ion, Plant Nutrient Contents and Growth in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Seoul and Its Vicinity)

  • 김준호;임병선;김종욱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1호
    • /
    • pp.13-19
    • /
    • 1999
  • 토양산성화로 인해 나타나는 토양의 양이온결핍과 신갈나무의 당년지 및 잎의 영양염류 함량 변화 및 연륜생장의 변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남산을 기점으로 동쪽으로 25 km 떨어진 경기도 남양주군 예봉산으로부터 185 km 떨어진 강원도 명주군 매봉산까지 신갈나무 숲 14개 지소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토양 Ca/sup 2+/, Mg/sup 2+/, Na/sup +/ 및 양이온 유효치환능(ECEC)은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토양 pH도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증가하였다. 당년지의 Ca과 Mg함량은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당년지의 K및 Na함량은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대체로 감소하였다. 신갈나무 잎의 Ca함량은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당년지의 K 및 Mg함량은 서울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당년지의 생장은 경기도 지방의 것이 강원도 지방의 것보다 작았다. 대기오염지역으로서 남산과 대조지역으로서 예봉산의 연륜생장을 조사하였는데 평균연륜폭은 1970년대 초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남산의 것이 예봉산의 것에 비하여 좁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