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2+

검색결과 1,353건 처리시간 0.025초

Eucheuma cottonii 추출물에 의한 인체 골육종암 Saos-2 세포의 자가사멸 유도 (Extract from Eucheuma cottonii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on Human Osteosarcoma Saos-2 Cells via Caspase Cascade Apoptosis Pathway)

  • 강창원;강민재;김경록;김난희;서용배;강건희;김상호;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7-1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인간 골육종암세포주인 Saos-2 세포를 이용하여 Eucheuma cottonii 추출물(Extract of Eucheuma cottonii, EE)의 항암 활성 및 분자적 작용기전을 분석하였다. 먼저 EE가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WST-1® assay를 통해 확인한 결과 EE는 인간 위암세포 AGS, 인간 간암세포 SK-Hep 1, 인간 뇌교모세포종 U87MG, 인간 정상 신장세포 HEK-293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Saos-2 세포주의 생존율만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 하였다. 또한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aos-2 세포의 외형적 변화가 나타남을 도립현미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DAPI staining을 통해 apoptosis classical hall marker라고 할 수 있는 DNA fragmentation이 EE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EE가 Saos-2 세포에서 세포 내의 어떠한 기작을 통해 apoptosis를 유도하는지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확인한 결과, Fas-Associated Death Domain(FADD)에 의한 caspase cascade signal pathway 발현이 증가하였고, apoptosis의 key protein 이라고 할 수 있는 cleaved caspase-3와 하위 인자인 cleaved PARP가 증가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된 분자적 기전 분석을 위한 immunofluorescence staining과 Flow cytometry analysis를 추가로 수행한 결과, EE 처리시 caspase cascade signal pathway의 시발점인 FAS와 cleaved caspase-3의 발현증가가 실제 세포 내에서 일어남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apoptosis 유발군인 sub G1기가 증가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EE는 인간 골육종암세포에서 FADD에 의한 caspase cascade signal pathway 발현증가가 유도되어 apoptosis를 유발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새로운 골육종암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과 기전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출방법에 따른 양파껍질 추출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비교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nion peel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 정다솜;백다애;권유리;권기만;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7-274
    • /
    • 2015
  • 추출방법에 따른 양파껍질 추출물의 품질 특성 및 생리 활성 특성을 비교하였다. 환류냉각추출의 수율이 13.21%로 가장 높았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압가열추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가압가열추출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 효과는 80.24%로 환류냉각추출이 가장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ACE 저해 효과는 27.05%로 저온고압추출이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가압가열추출이 33.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환류 냉각추출이 32.47%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errous ion chelating 효과에서는 저온고압추출이 54.7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압가열 추출이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분자(Rubus coreanus)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고지방 식이에 대한 흰쥐의 간 지질 개선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hepatic lipids improvement effects of Rubus coreanus in high-fat diet-fed rats)

  • 이수정;송윤오;정민섭;장선희;원청길;송영민;조재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7-125
    • /
    • 2015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hepatic lipid levels in rats fed a high-fat diet (HFD) by the 70% ethanolic extract from Rubus coreanus. The Rubus coreanus extract (RCE) was administered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at 150 mg/kg BW/day for 5 weeks (HFD+RCE). Total phenol content was 157.93 mg gallic acid/g in the RCE. Scavenging activities to DPPH, ABTS, an d hydroxyl radicals by RC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es-dependent manner of $50{\sim}500{\mu}g/mL$ concentrati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over the 70% in the $500{\mu}g/mL$ concentration. During the five weeks study, the food efficiency ratio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FD and HFD+RCE. Liver weight of HFD+RCE (3.75 g/100 g BW)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HFD. Hepatic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of HFD+RCE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HFD. The hepatic TBARS contents in the HFD+R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the HF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arkedly increased in HFD+RCE as normal group. In histological observation of liver tissues, the hepatocytes of HFD+RCE appeared the reduced aspects on the size and numbers of lipid droplets in cytoplasm compared to the HFD. Our results suggest that RCE could have antioxidant activities and hepatic hypolipidemic effects by its phenolic compounds.

해조류(Laminaria species,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Undaria pinnatifida)에 의한 중금속 생물흡착 특성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y Biomass of Seaweeds, Laminaria species,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and Undaria pinnatifida)

  • 최익원;김성은;서동철;강병화;손보균;임요섭;허종수;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0-378
    • /
    • 2005
  • 생물흡착현상을 이응한 중금속오염폐수 처리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중금속흡착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U. pinnatifida, E. stolonifera, Laminaria sp., G. amansii 등 4종의 해조류를 대상으로 중금속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종류별 중금속 흡착능력은 U. pinnatifida$\geq$E. stolonifera$\geq$Laminaria sp.>G. amansii 순이었으며, 중금속 $100mg/{\ell}$ 농도에서 Pb는 $93{\sim}99%$ 정도 흡착이 되었고, Cu와 Cd는 $70{\sim}80%$ 절도 흡착되었다. $CaCl_2$을 이용하여 해조류의 작용기를 치환함으로서 중금속 흡착 및 탈착성능이 개선되었으며, 온도와 pH에 따른 중금속 흡착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다. U. pinnatifida의 중금속 흡착은 Freundlich 흡착등온식 보다는 Langmuir 흡착등온식에 잘 일치하였고, Cu, Cd 및 Zn에 비해서 Pb가 상당히 흡착친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U. pinnatifida의 중금속별 흡착효율은 다성분계 중금속일 때가 단성분계일 때 보다 감소하였으며, 탈착제로서 NTA를 처리하였을때 흡착된 중금속의 탈착효율이 가장 높았다.

제주산 파인애플 유래 Bromelain관련 유전자 (BL1)를 이용반 형질전환 상추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ransgenic Lettuce (Lactuca sativa L.) Using a BL1 Gene Encoding Bromelain Isolated from Pneapple)

  • 정유진;김기훈;최장선;이순열;노일섭;박진희;강권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27-32
    • /
    • 2006
  • 파인애플 (Ananas comosus) 줄기에서 얻어지는 bromelain은 단백질 분해효소 중 cysteine protease의 복합체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파인애플 줄기를 이용하여 bromelain 관련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BL1 유전자는 총 933개의 염기서열로 311개의 아미노산을 coding 하였다. 지금 까지 알려진 식물 유래 bromelain 관련 유전자와의 alignment 분석한 결과 BAA21929 유전자와 94%, T10516 유전자와 93% 및 P14518 유전자와 81%의 상동성을 보였다. BL1 유전자를 상추 게놈내에 도입하고자 NPTII 유전자 와 BL1 유전자로 제작한 pBI 121 BL 벡터를 Agrobacterium tumefacience LBA4404에 도입한 후, 상추잎 절편에 감염시켜 embryogenic callus 및 재분화 식물체를 육성하였다. 이들식물체로부터 T1세대를 육성하여 PCR 분석을 통해 왜래유전자의 도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형질전환체의 발현여부는 Nothern blot분석 및 eno protease활성을 통해 형질전환체에서 BL1유전자가 안정적으로 상추세포내에서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육성된 bromelain 관련 BL1 유전자가 도입한 형질전환 상추를 육종소재르 활용한다면 상업적으로 유용한 단백질을 분해하는 가수분해효소로써 건강 보조제, 사료첨가제 등에 널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충무부근 굴 양식어장의 환경에 관하여 (ON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OF OYSTER FARMAING AREA NEAR CHUNGMU)

  • 임두병;조창환;권우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1-67
    • /
    • 1975
  • 충무부근의 굴 양식어장에 대한 해황특성을 규명하고 양식장의 환경조건이 굴 양식에 어떻게 영향은 미치는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충무부근의 6개 해역은 선정하여 1974년 5월부터 11월까지 환경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충무부근 해역의 유동은 주로 조류로서 창조류는 서쪽으로, 낙조류는 동쪽으로 흐르는데 창조시에 거제도 남단으로부터 외해수의 유입, 낙조시 삼천포 수도로부터 진주만의 저염수 황산이 가능하며 견내양해협을 통한 진해만 해수의 영향은 적다. 2. 수온은 전해역에 큰 차이가 없으나 죽림포와 통영만이 약간 낮다. 염분은 죽림포와 통영만이 높고, 사양도해안, 자란만, 고성만 등이 낮았다. 유동과 수온, 염분 분포로부터 통영만, 죽림포의 해수와 사양도 연안, 자란만, 고성만의 해수는 상당히 이질적이고 한실포는 경개해역으로 통영만수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다. 3. 용존산계량은 5월에 많고 점차 감소하여 9월에 최소인데 해역별로는 여름철 한실포가 가장 낮다. 규산염는 외해수의 영향을 받는 사양도 연안, 통영만, 죽림포에 적고 고성만, 한실포, 자란만에 많았다. 4. 현탁물은 $7.4\~16.6mg/l$의 량이었는데 자란만, 죽림포 및 사양도 연안에는 적었다. chlorophyll a는 심한 연절변동을 하는데 5,9 및 10월에 높고, 6, 7, 8 및 11월에 낮았다. 해역별로는 심한 기복을 보였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조성에 있어서 고성만, 자란만 및 사양도 연안 해역과 한실포, 통영만, 죽림포 해역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5. 6개 해역중 굴의 성장이 가장 나쁜 곳은 한실포이며 다음이 사양도, 자란만의 순이었고 고성만, 통영만, 죽림포는 성장이 좋았는데 그 경향이 비슷하였다. 굴의 폐사율이 가장 높은 곳은 사양도의 $85\%$이었고 다음이 자란만의 $41\%$인데 그외 해역은 $20\%$ 이내로 큰 차가 없었다.

  • PDF

붉은지렁이 (Lumbricus rubellus)를 이용한 농약의 급성독성 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test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pesticide acute toxicity using earthworm(Lumbricus rubellus))

  • 박연기;박경훈;김병석;경기성;신진섭;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56-60
    • /
    • 2000
  • 국내 널리 사육되고 있는 지렁이를 이용한 농약의 급성독성 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붉은지렁이(Lumbricus rubellus)를 이용한 독성 시험 조건을 설정하고 이 조건에서 원예용 살균제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OECD guideline에서 추천하고 있는 인공토양(artificial soil)에서 환경조건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 붉은지렁이의 최적 시험 온도는 $22{\pm}2^{\circ}C$, pH는 $7{\pm}1$, 그리고 토양 수분함량은 40%이었다. 위의 설정된 시험조건에서 4종의 원예용 살균제에 대하여 14일간 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가벤다수화제, 베노밀수화제, 지오판수화제, 치아벤다졸수화제에 대한 지렁이의 반수치사농도($LC_{50}$)는 각각 59, 53, 64, 36 mg/kg건토 이였다. 또한 붉은지렁이의 실내사육이 용이하고 14일 간의 급성독성 시험기간 동안 대조군에서 치사 및 이상증상을 보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농약의 농도 수준에 따른 독성반응 차이가 명백히 나타나 붉은지렁이를 이용한 농약의 급성독성평가가 가능하였다.

  • PDF

$Ca^{++}$ 처리가 한지형 잔디의 생육 및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 Treatment on Growth and Mineral Elements of Cool-Season Turfgrass Species)

  • 김성규;강훈;소인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0
    • /
    • 2002
  • Creeping bentgrass 'Penn-Al', Perennial ryegrass 'Palmer ll', Kentucky bluegrass 'Nassou', Tall fescue 'Boonsai 2000'의 생육에 대한 칼슘의 영향을 온실에서 조사하였다. Creeping bentgrass 'Penn-Al', Kentucky bluegrass 'Nassou'와 Tall fescue'Boonsai 2000'의 shoot 생육은 Ca 4.0me/L에서, Perennial ryegrass 'Palmer II'는 Ca 2.0me/L.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Creeping bentgrass 'Penn-Al', Perennial ryegrass 'Palmer II'와 Kentucky bluegrass 'Nassou'의 뿌리생육은 Ca 1.0me/L, Tall fescue'Boonsai 2000'는 Ca 4.0me/L에서 가장 양호하였지만 처리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Creeping bentgrass 'Penn-Al'와 Kentucky bluegrass 'Nassou'의 분얼수는 Ca 4.0me/L., Perennial ryegrass 'Palmer II'는 Ca 1.0me/L에서 가장 많았으며, Tall fescue 'Boonsai 2000'의 분얼수는 Ca 4.0me/L에서 가장 많았지만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다. 식물체 내 무기성분 함량은 Ca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Ca 함량이 많았고, 반대로 Mg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Fe는 Ca 4.0me/L까지는 함량이 증가하였고, N, P, K, Zn는 큰 영향이 없었다. 식물 영양실험에 있어서 심지화분의 이용성은 정확도와 간편성이 탁월하여 앞으로의 연구에 많이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acilitation of AMPA receptor-mediated steady-state current by extrasynaptic NMDA receptors in supraoptic magnocellular neurosecretory cells

  • Pai, Yoon Hyoung;Lim, Chae Seong;Park, Kyung-Ah;Cho, Hyun Sil;Lee, Gyu-Seung;Shin, Yong Sup;Kim, Hyun-Woo;Jeon, Byeong Hwa;Yoon, Seok Hwa;Park, Jin B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4호
    • /
    • pp.425-432
    • /
    • 2016
  • In addition to classical synaptic transmiss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between cells via the activation of extrasynaptic receptors that generate persistent tonic current in the brain. While growing evidence supports the presence of tonic NMDA current ($I_{NMDA}$) generated by extrasynaptic NMDA receptors (eNMDARs),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tonic $I_{NMDA}$ in various brain regions remains poorly understood. Here, we demonstrate that activation of eNMDARs that generate INMDA facilitates the ${\alpha}$-amino-3-hydroxy-5-methylisoxazole-4-proprionate receptor (AMPAR)-mediated steady-state current in supraoptic nucleus (SON) magnocellular neurosecretory cells (MNCs). In $low-Mg^{2+}$ 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 (aCSF), glutamate induced an inward shift in $I_{holding}$ ($I_{GLU}$) at a holding potential ($V_{holding}$) of -70 mV which was partly blocked by an AMPAR antagonist, NBQX. NBQX-sensitive $I_{GLU}$ was observed even in normal aCSF at $V_{holding}$ of -40 mV or -20 mV. $I_{GLU}$ was completely abolished by pretreatment with an NMDAR blocker, AP5, under all tested conditions. AMPA induced a reproducible inward shift in $I_{holding}$ ($I_{AMPA}$) in SON MNCs. Pretreatment with AP5 attenuated $I_{AMPA}$ amplitudes to ~60% of the control levels in $low-Mg^{2+}$ aCSF, but not in normal aCSF at $V_{holding}$ of -70 mV. $I_{AMPA}$ attenuation by AP5 was also prominent in normal aCSF at depolarized holding potentials. Memantine, an eNMDAR blocker, mimicked the AP5-induced $I_{AMPA}$ attenuation in SON MNCs. Finally, chronic dehydration did not affect $I_{AMPA}$ attenuation by AP5 in the neur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nic $I_{NMDA}$, mediated by eNMDAR, facilitates AMPAR function, changing the postsynaptic response to its agonists in normal and osmotically challenged SON MNCs.

재발하였거나 수술적 제거가 불가능한 뇌수막종에 대한 Hydroxyurea 치료 - Preliminary Report - (Hydroxyurea Treatment for Unresectable and Recurrent Meningiomas - Preliminary Report -)

  • 이정환;김오룡;김성호;배장호;최병연;조수호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1호
    • /
    • pp.120-123
    • /
    • 2001
  • 1988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본 교실에 내원하여 뇌수막종으로 진단받고 수술요법을 실시한 87례 중, 완전제거 후 재발한 경우와 부분적 절제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4례를 대상으로 hydroxyurea를 이용해 치료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남자가 1례, 여자가 3례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23세에서 55세였다. 조직학적으로 3례가 meningothelial type이었으며 1례는 angiomatous type이었다. 3례에서 소뇌교각부에 발생하였으며 1례에서 해면정맥동에 발생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았으며 3례의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Hydroxyurea를 20mg/kg/day용량으로 투여하였으며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4개월이었다. 치료기간중 4례에서 종양이 줄어든 예는 없었으나 종양이 성장하지는 않았다. 삼차신경통 증상이 있던 1례는 증상 호전 되었으며 수술적 치료를 3차례 받았던 1례에서 두개골절제부위에 팽창되어 있던 뇌는 축소되어 두개강내로 복귀되었다. 혈액학적 부작용으로 백혈구 수치가 1례에서 감소되었으나 2주정도 복용을 중단한 후 다시 수치는 회복되었고 다른 심각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자들은 뇌수막종 환자중, 수술후 재발한 경우와 불완전 제거를 시행한 경우 보조적 치료방법으로 hydroxyurea의 사용하여 종양크기의 감소는 없었으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오랜 기간 추적관찰과 많은 증례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뇌수막종 치료의 보조 방법으로 hydroxyurea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