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acetate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5초

항염증제인 Etodolac 유도체의 합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ynthesis of Etodolac Derivatives as Potential Anti-inflammatory Agents)

  • 조훈;정용석;장향동;류성렬
    • 공업화학
    • /
    • 제10권1호
    • /
    • pp.135-137
    • /
    • 1999
  • 새로운 인돌 유도체인 항염증제를 합성하기 위하여 ${\alpha}$-benzoyl-1-ethyl-1,3,4,9-tetrahydro-8-ethyl-9-(N-benzoyl)pyrano[3,4-b]indole-1-acetic acid methyl ester(10)을 합성하였다. 출발물질은 7-ethylindole과 oxalyl chloride로 하여 4단계로 이루어졌다. 셋째 단계는 borontrifluoride diethyl etherate을 사용하여 66%로 고리화반응을 하였으며, 환원반응과 고리화반응도 효율적으로 단순화하였다. 최종생성물인 ${\alpha}$-benzoyl-1-ethyl-1,3,4,9-tetrahydro-8-ethyl-9-(N-benzoyl)pyrano[3,4-b]indole-1-acetic acid methyl ester는 4단계에서 얻은 methyl 1,8-dimethyl-1,3,4,9-tetrahydropyrano[3,4-b]indole-1-acetate(etodollic acid methyl ester)를 benzoyl chloride와 반응하여 66%의 수율로 얻었다.

  • PDF

Bioactive Metabolites Produced by Pseudonocardia endophytica VUK-10 from Mangrove Sediments: Isolation, Chemical Structure Determination and Bioactivity

  • Mangamuri, Usha Kiranmayi;Vijayalakshmi, Muvva;Poda, Sudhakar;Manavathi, Bramanandam;Bhujangarao, Ch.;Venkateswarlu, Y.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5호
    • /
    • pp.629-636
    • /
    • 2015
  •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actinobacterial isolate Pseudonocardia endophytica VUK-10 has led to the segregation of two known bioactive compounds, namely 4-(2-acetamidoethyl) phenyl acetate and 4-((1, 4-dioxooctahydropyrrolo [1, 2-a] pyrazin-3-yl) methyl) phenyl acetate. The strain was isolated from a sediment sample of the Nizampatnam mangrove ecosystem, south coastal Andhra Pradesh, India.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active compounds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alysis, including 1H NMR and 13C NMR spectroscopies, FTIR, and EIMS. Th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the bioactive compounds produced by the strain were tested against opportunistic and 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and on MDA-MB-231, OAW, HeLa, and MCF-7 cell lines. The compounds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and fungi and also showed potent cytotoxic activity against MDA-MB-231, OAW, HeLa, and MCF-7 cell lines. This is the first example for this class of bio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Pseudonocardia of mangrove origin.

Dunaliella tertiolecta에 의한 acetate의 이용 -TCA cycle과 glyoxylate pathway의 활성 조사- (The utilization of acetate for the growth and the respiration in Dunaliella tertiolecta.―Enzymes of the tricarboxylic acid cycle and glyoxylate pathway)

  • 권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1_2호
    • /
    • pp.6-11
    • /
    • 1973
  • The utilization of acetate by Dunaliella tertiolecta was examined, and the detections and assays of the enzymes of the tricarboxylic acid cycle and the glyoxylate pathway were described. Acetate could not be utilized as a sole carbon source for the growth. The carboxyl carbon of acetate was incorporated more rapidly into CO2 than the methyl carbon. It was identified that malate, succinate, citrate and etc., were accumulated whne [U-14C] acetate was supplied to the cell free homogenate. The following enzyme activities were measured; acetothiokinase, isocitrate dehydrogenase, fumarase, malate dehydrogenase and aconitase. Though isocitratase, malate synthetase, succinate dehydrogenase and oxoglutarate dehydrogenase could not be detected, 14C from succinate was easily contributed to CO2 and cell component. The evidence suggested that the glyoxylate pathway was not operative and showed that the TCA cycle was the all important pathway in the oxidation of acetate to CO2 in Dunaliella.

  • PDF

Methyl-7-oidoheptanoate의 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Synthesis of Methyl-7-iodoheptanoate)

  • 심영섭;최종욱;김완주;박호군;박영숙
    • 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48-351
    • /
    • 1986
  • New synthetic method for methyl-7-iodoheptanoate was studied. Methyl-7-iodoheptanoate is important compound in the synthesis codlemone, the sex pheromone of codling moth which doing harm to apple tree significantly, and this compound also be used essentially in the synthesis of prostaglandin derivatives. In previous the methyl-7-iodoheptanoate has been prepared from-7-chloroheptanoic acid as a starting material with disadvantage, since the 7-chloroheptanoic acid is expensive and the process is much complicate. In this paper the method to preparing methyl-7-iodoheptanoate was developed economically by using dihydropyran as a starting material in the course of 5 steps. Hence, methyl-7-iodoheptanoate which can be synthesized by new method studied onthis paper should be very useful compound for preparing codlemone or its acetate which will be used to developing pollution-free insecticides, and for preparing prostaglandin derivatives with advantage.

  • PDF

진도(珍島) 홍주(紅酒)의 보존중(保存中) 휘발성분(揮發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of Volatile Substances in Jindo Hong-Ju on Storage)

  • 정지흔;강성훈;김용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5-299
    • /
    • 1993
  • 술의 향미에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분에 관하여 진도홍주의 보존중 그 함량 변화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Ethanol과 total acid 함량은 보존중 감소현상을 나타내었고, 휘발성분의 함량은 acetaldehyde, fusel oil, acetate, furfural, methanol 순으로 나타났는데 1년 경과 후 methanol은 검출되지 않았고 furfural을 제외한 다른 성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년 경과 후에는 acetaldehyde는 $21.4{\sim}58.4\;mg%$로 1년 경과 후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n-propanol, 2-methyl-1-propanol, 2-methyl-1-butanol이 주성분을 이루는 fusel oil은 감소현상을 나타내어 $0.71{\sim}1.03\;mg/ml$ 함량을 보였다. Acetate는 계속 증가현상을 보여 $0.24{\sim}0.52\;mg/ml$로서 초기 함량보다 $4{\sim}6$배 증가하였으며 furfural은 $0.01{\sim}0.02\;mg/ml$로 감소하였다.

  • PDF

자근으로부터 혈소판에 작용하는 천연색소물질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hikonin Pigments from the Roots of Lithospermum eryhrorhizon on Rabbit Platelets)

  • 박영현;장성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7-172
    • /
    • 2000
  • 최근 동물성 식품 및 지방 섭취 증가로 인한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로 혈소판 활성화가 직접적 원인인 뇌 .심혈관질환의 사망률이 증가되고, 성인병 예방과 치료의 대처방안으로 식품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천연착색료이며 항균, 항암 작용이 있는 자근(Lithospermum erythrorhizon)으로부터 추출, 분리 . 정제한 분획물에서 혈소판 활성화 억제작용이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분리 . 동정하였다 자근에서 methanol, n-hexane, ethyl acetate 등의 용매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에 NaOH프 처리한 n-hexane 추출물에 대한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은 collagen의 응집작용에 대하여 n-hexane재추출물이, thrombin의 응집작용에 대하여 ethyl acetate추출물이 큰 억제작용을 보였고, 이러한 추출물에서 컬림 및 HPLC로 분리 .정제한 5개 물질의 화학구조를 IH과 13C-NMR 스펙트라 분석한 결과 shikonin, acethylshi onin, isobutylshikonin, $\alpha$-methyl-n-butylshikonin, $\beta$,$\beta$-dimethylacrylshikonin을 확인하였고,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은 $\beta$,$\beta$-dimethylacrylshi onin$\geq$$\alpha$-methyl-n-butylshikonin>isobutylshikonin>acetylshikonin>shikonin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자근색소의 생리활성은 shikonin유도체이며 11번 탄소에 치환된 aliphatic 기의 탄소수가 많을수록 억제작용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사료된다.

  • PDF

Rhizopus japonicus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 이택수;한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91-698
    • /
    • 2000
  • Rhizopus japonicus균을 파종하여 만든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GC와 GC-MS를 사용하여 분석 동정한 결과 ester 24종, alcohol 19종, acid 9종, aldehyde 10종, 기타 4종 등 66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 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일에 ester 14종, alcohol 12종을 비롯한 총 39종 이었으나, 발효 2일에 ester 6종, alcohol 4종을 포함한 17종이 추가 검출되어 56종으로 증가 되었다. 발효 12일에는 66종으로 향기 성분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eth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등 alcohol류 12종, ethyl acetate, ethyl caprylate, isoamyl acetate 등 ester류 14종 acetaldehyde 등 aldehyde 6종, pentanoic acid 등 acid 5종등 총 38종은 발효 전과정을 통하여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의 면적비율은 ethanol이 $76.2149{\sim}92.1155\;%$로 발효 전기간을 통하여 탁주 술덧에서 타 성분 보다 월등히 높았다. ethanol을 제외하고 발효 전과정을 통하여 면적비율이 높은 성분은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ethyl caprylate, benzene-ethanol, 2,3-butanediol이었다. 이외 발효기간에 따라서 ethyl acetate, diethyl succinate, octanoic acid, acetic acid, isobutyl aldehyde 등의 성분도 동종 계열간의 향기 성분중 면적비율이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 PDF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피부 보습효과에 관한 연구 (Antibaterial Activity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of Cedrela sinensis A. Juss Shoots Extracts)

  • 김선영;이민혜;조나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5-32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피부 상재균에 대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균 작용과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여 인체 피부를 대상으로 보습 효능을 측정하였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네 가지 피부 상재균에 대한 MIC를 측정한 결과, P. acnes과 S. aureus에 대한 MIC는 각각 0.13 %, 0.03 %로 비교 물질인 methyl paraben보다 더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P. ovale과 E. coli에 대한 MIC는 모두 0.25 %로 methyl paraben 보다 낮은 MIC를 나타내었다. 피부 보습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을 0.25 %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고, 이를 14명의 피실험자의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 보유랑과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각각 30 min, 60 min 간격으로 180 min 동안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 보유량은 placebo 크림에 비하여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함유 크림이 10 ~ 15 % 정도 더 큰 수분 보유량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을 때, 무도포(control) 상태의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8.9 g/$m^2h$, 추출물 함유 크림은 6.7 g/$m^2h$으로,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이 피부 표면의 수분 손실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항균 활성과 피부 보습효과에 대한 결과로부터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