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iozoli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제초제 Methiozolin의 급성독성평가 (Evaluation of Acute Toxicity of the Herbicide Methiozolin)

  • 구석진;권민;박철범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3-388
    • /
    • 2011
  •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제초제인 methiozolin의 인체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랫드를 이용한 급성 독성 시험에서 2,000 mg/kg의 용량을 고용량으로 하여 단계적으로 투여한 결과 methiozolin의 $LD_{50}$은 2,000 mg/kg bw 이상이었다. 급성 경피독성시험결과 시험물질을 고용량 4,000 mg/kg을 투여한 결과 별다른 사망동물이 발생하지 않아 시험물질의 $LD_{50}$이 4,000 mg/kg bw 이상으로 나타났다. 피부자극성 시험결과 시험물질의 약한 자극성이 나타났으며, 안점막 자극성 시험결과 약한 자극성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경구 독성의 경우 methozolin은 GHS 카테고리 IV에 해당하는 물질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methiozolin은 안전한 제초제로서 추후 만성 독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제초제 Methiozolin의 유전독성평가 (Mutagenicity Studies of the Herbicide Methiozolin)

  • 구석진;이종윤;박철범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4-382
    • /
    • 2011
  • 제초제인 methiozolin에 대한 유전독성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in vitro 시험으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염색체 이상시험을 수행하였고, 그리고 in vivo 시험으로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 TA98, TA100, TA1535 및 TA1537 및 Escherichia coli WP2uvrA를 이용한 복귀 돌연변이 시험에서 직접법과 대사활성화법(S9 mixture) 모두 $5,000{\mu}g$/plate에서 돌연변이 수는 음성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Chinese hamster lung(CHL) 세포를 이용한 구조적, 숫적 염색체 이상시험결과 직접법과 대사활성화법의 경우 methiozolin을 투여한 모든 군(80, 40, $20{\mu}g$/mL)의 세포에서 염색체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ICR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는 methiozolin의 복강투여가 골수세포에서 다염성 적혈구(polychromatic erythrocytes) 및 소핵(micronucleous)을 가진 다염성 적혈구의 출현율을 조사하였는데, 모든 농도(1,500, 1,000, 500 mg/kg)에서 음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소핵을 유발하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초제인 methiozolin은 세균, 세포 및 동물체내에서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물질로 사료된다.

Methiozolin의 분석법 개발 및 골프장 그린에서의 잔류소실특성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 of methiozolin and dissipation in golf course's green)

  • 조형욱;황규원;황기환;문준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31-336
    • /
    • 2016
  • Methiozolin의 토양, 유출수, 잔디 중 잔류 분석법 확립 및 토양과 그린잔디에서 잔류량 감소현상을 연구하였다. 잔류량은 acetone으로 추출 후, dichloromethane으로 분배하고, SPE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자외선 검출기가 부착된 HPLC로 280 nm에서 검출하였다. 최소검출량과 정량한계는 유출수, 잔디, 토양에서 각각 1.0, 0.5, 1.0 ng과 0.001, 0.1, 0.01 mg/kg이었다. 분석법의 회수율은 유출수, 잔디, 토양에서 각각 87.5~111.3, 92.8~97.4, 78.2~98.5 %로 methiozolin 잔류분석에 적합하였다. 골프 코스 그린에 약제 처리 후 0, 1, 4, 7, 14, 30, 45, 60일차에 토양과 잔디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methiozolin 잔류량은 하부 토양으로 이동현상이 관찰되지 않았고, 잔디와 잔디 근권토양에 존재하였다. 잔디와 토양 중 반감기는 각각 10.7일과 8.8일로 확인되었다.

신규 잔디 제초제 메티오졸린(methiozolin) 개발 (Development of The New Turf Herbicide Methiozolin)

  • 구석진;황기환;전만석;김성헌;임종수;이동국;정근회;고영관;류재욱;구동완;우재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3-329
    • /
    • 2010
  • Methiozolin (5-(2,6-difluoro-benzyloxymethyl)-5-methyl-3-(3-methyl- thiophen-2-yl)- 4,5-dihydro-isoxazole) is a new turf herbicide in isoxazoline chemistry. The herbicide controls grass weeds and has a high safety to various cool and warm season turfgrasses. This paper describes basic chemical, biological, and regulatory information of methiozolin.

Kentucky bluegrass 내 새포아풀 방제를 위한 경엽처리제 선발 (The selection of Post-emergence Herbicides to Control of Poa annua in Kentucky Bluegrass)

  • 홍범석;태현숙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76-81
    • /
    • 2013
  • 본 연구는 켄터키블루그래스에 이미 발생된 새포아풀을 제거할 수 효과적인 제초제를 선발하고자 시행되었다. 다양한 경엽처리제로 구성된 총 8개의 처리구에서는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약해를 낮추기 위해 추천농도 또는 추천농도보다 낮은 농도가 처리되었으며, 그린 주변에 제초제를 처리한 후 벤트그래스 그린에 밟고 들어간 경우 발생되는 발자국 피해를 함께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 본 시험에서 경엽처리제 처리 후 40일 동안 켄터키블루그래스에서 가장 안전한 약제는 Methiozolin이었으며, 처리 후 20일 동안 조사된 벤트그래스 그린 내footprints test에서도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새포아풀에 대한 방제효과는 60.4%로 다른 7개의 처리구에 비해 낮았다. Asulam sodium과 Iodosulfuron + Asulam sodium 처리구는 켄터키블루그래스에 심각한 약해를 발생시키지 않았고, 각각 81.7%와 82.2%의 양호한 방제가를 보였으며, 벤트그래스 그린 내 발자국 시험에서도 경미한 피해를 발생시키는 데 그쳤다. 반면, Trifloxysulfuron-sodium, Foramsulfuron, Rimsulfuron, Flazasulfuron 처리구에서는 추천농도의 1/4인 저농도에서도 켄터키블루그래스에 심각한 약해가 발생되며, 벤트그래스 그린에도 많은 뚜렷한 발자국 피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methiozolin은 켄터키블루그래스로 조성된 페어웨이나 그린주변 프린지에 처리하여 큰 약해 없이 잡초의 밀도를 서서히 줄여나가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Asulam sodium 또는 Iodosulfuron plus + Asulam sodium은 부분처리 방법을 통해 에이프런을 포함한 그린 주변에 발생된 새포아풀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며 부분이라도 그린에 직접 처리하는 것은 위험하다.

잔디밭잡초 발생현황과 방제기술 (The Occurrence of the Weeds on the Lawn and the Effective Control System)

  • 이인용;김창석;이정란;박남일;박재읍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11-121
    • /
    • 2013
  • 잔디밭에 발생하는 잡초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방제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문헌조사를 하였다. 공원 등 잔디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방동사니대가리 등 사초과 3종, 바랭이, 새포아풀 등 화본과 9종, 쑥, 꽃다지, 피막이 등 광엽잡초 25종 등 총 16과 37종이나, 산지와 인접한 묘지 잔디밭에는 53과 196종의 잡초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산지와 인접한 골프장에서는 묘지에서 발생되는 잡초들이 만연할 가능성이 많다. 잔디밭에 발생되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등록된 제초제는 2012년 5월말 현재 토양처리제는 디클로베닐입제, 메티오졸린유제, 옥사지클로메폰액상수화제, 이마자퀸입제 등 32품목, 경엽처리제로는 메타미포프유제, 비페녹스.플루세토설퓨론입상수화제, 플라자설퓨론수화제, 트리플록시설푸론소듐입상수화제 등 35종 총 67품목이 있다. 잔디밭에서의 잡초방제체계는 일반적으로 토양처리제는 3~4월과 8~9월에 2회 처리하고, 경엽처리제는 6~7월에 처리하면 효과적으로 잡초를 방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