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icillin-resistant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37초

Safety of Temporary Use of Recycled Autoclaved Femoral Components in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Confirming Sterility Using a Sonication Method

  • Park, Hyung-Jin;Kim, Hee-June;Kim, Shukho;Kim, Seong-Min;Mun, Jong-Uk;Kim, Jungmin;Kyung, Hee-Soo
    •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 /
    • 제10권4호
    • /
    • pp.427-432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sonication technique for microbiological diagnosis and the sterility of the recycled autoclaved femoral components from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using a sonication method. Methods: Nineteen femoral implants explanted from patients with infected TKA were sterilized with a standard autoclave method. Standard culture of the fluid before and after sonication of the sterilized implants was performed to detect pathogenic microorganisms. Addition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sterility of the recycled implant by inducing artificial biofilm formati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was inoculated into 10 implants and sterilization in a standard autoclave was performed, and then the fluid was cultured before and after sonication. Results: Two of the 19 sterilized implants were positive for growth of bacteria after sonication, whereas no growth was detected in the cultured fluid from the sterilized implants before sonication. The bacteria were Staphylococcus species in all two cases. In one of 10 implants inoculated with MRSA, the culture was positive for growth of bacteria both before and after sonication. However, Staphylococcus epidermidis was cultured from both occasions and thus this implant was thought to be contaminated. Conclusions: We found sonication for identification of pathogens could be helpful, but this finding should be interpreted carefully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Sterilization of an infected femoral implant with an autoclave method could be a good method for using the temporary articulating antibiotic spacer in two-stage revision arthroplasty.

Strategy for salvaging infected breast implants: lessons from the recovery of seven consecutive patients

  • Yeo, Hyeonjung;Lee, Dongkyu;Kim, Jin Soo;Eo, Pil Seon;Kim, Dong Kyu;Lee, Joon Seok;Kwon, Ki Tae;Lee, Jeeyeon;Park, Ho Yong;Yang, Jung Du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2호
    • /
    • pp.165-174
    • /
    • 2021
  • Background In recent years,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has been performed because of its simplicity, short operation time, and rapid recovery of patients.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reatment methods for implant surgery-related infection, which is a serious complic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our strategy for salvaging infected implants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authors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145 cases from 132 patients who underwent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8. Empirical antibiotics were immediately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suspected infections. The patients then underwent salvage treatment including appropriate antibiotics, ultrasonography-guided aspiration, debridement, antibiotic lavage, and implant exchange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Patient demographics, operative data, duration until drain removal, adjuvant treatment,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total infection rate was 5.5% (8/145). A longer indwelling catheter period and adjuvant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fection. The salvage treatment showed a success rate of 87.5% (7/8). Seven patients who received early aggressive salvage treatment recovered from infection. One patient with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ho received salvage treatment 11 days after symptom onset, did not respond to drainage and antibiotic treatment. That patient subsequently underwent explantation. Conclusions In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prevention of infection is of the utmost importance. However, if an infection is suspected, proactive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and collaboration with the necessary departments are required.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proactive early management, swift and appropriate salvage should be performed.

Interaction of Naegleria fowleri Trophozoites with Escherichia coli and MRSA by N-acetylglucosamine and Galactose

  • Son, Dae-Hyun;Jung, Suk-Yul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3-328
    • /
    • 2021
  • Naegleria fowleri is a free-living amoeba causing primary amoebic encephalitis.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N-aceytlglucosamine (GlcNAc) and D-galactose affected the interaction between Naegleria fowleri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or Escherichia coli O157:H7, and the interaction with bacteria when monosaccharides were treated with N. fowleri for a longer pre-incubation time. When GlcNAc was treated with N. fowleri for 1 hr, the E. coli association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control not treated with GlcNAc until the concentration of GlcNAc was 25 mM. However, the E. coli association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91% with 100 mM GlcNAc. E. coli invasion into N. fowleri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in the group treated with 100 mM GlcNAc. The interaction when treated with galactose showed a very different pattern in the 50 mM galactose group than when treated with GlcNAc. In the MRSA interac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association (76.3% by GlcNAc and 88.7% by galactose) and invasion (3.6% by GlcNAc and 9.3% by galactose) was shown by the concentration of two 100 mM monosaccharides. The group treated with monosaccharides at the same time showed almost no difference in all interactions from the group treated with monosaccharides at the same time. Taken together, it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monosaccharides on the interaction of several Gram-negative or positive bacteria and the evidence that the interaction could be enhanced by longer pre-incubation time.

Protective effects of lutein against vancomycin-induced acute renal injury in mice via up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and inhibition nuclear factor-kappaB/caspase 3

  • Emeka, Promise M.;Rasool, Sahibzada T.;Morsy, Mohamed A.;Islam, Mohamed I. Hairul;Chohan, Muhammad S.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5권4호
    • /
    • pp.321-331
    • /
    • 2021
  • Vancomycin, an antibiotic used occasionally as a last line of treatment f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 reportedly associated with nephrotoxicity.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protective effects of lutein against vancomycin-induced acute renal injury.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nd its associated role in renoprotection by lutein was also examined. Male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six treatment groups: control with normal saline, lutein (200 mg/kg), vancomycin (250 mg/kg), vancomycin (500 mg/kg), vancomycin (250 mg/kg) with lutein, and vancomycin (500 mg/kg) with lutein groups; they were euthanized after 7 days of treatment. Thereafter, samples of blood, urine, and kidney tissue of the mice were analyzed, followed by the determination of levels of N-acetyl-β-D-glucosaminidase (NAG) in the urine, renal creatine kinase; protein carbonyl, malondialdehyde, and caspase-3 in the kidney; and the expression of PPARγ,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and nuclear factor-kappaB (NF-κB) in renal tissu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s of protein carbonyl and malondialdehyde, and the activity of NAG, creatine kinase and caspase-3,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vancomycin-treatment groups. Moreover, the levels of Nrf2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NF-κB expression increased. Lutein ameliorated these effect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PPARγ expression. Furthermore, it attenuated vancomycin-induced histological alterations such as, tissue necrosis and hypertrophy. Therefore, we conclude that lutein protects against vancomycin-induced renal injury by potentially upregulating PPARγ/Nrf2 expression in the renal tissues, and consequently downregulating the pathways: inflammation by NF-κB and apoptosis by caspase-3.

DNA microarray-based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henotypes of clinical MRSA strains from animal hosts

  • Schmitt, Sarah;Stephan, Roger;Huebschke, Ella;Schaefle, Daniel;Merz, Axel;Johler, Sophia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54.1-54.11
    • /
    • 2020
  • Backgrou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leading cause of severe infections in humans and animals worldwide. Studies elucidating the population structure,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types, resistance phenotypes, and virulence gene profiles of animal-associated MRSA are needed to understand spread and transmission.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1) clonal complexes and spa types, 2) resistance phenotypes, and 3) virulence/resistance gene profiles of MRSA isolated from animals in Switzerland. Methods: We analyzed 31 presumptive MRSA isolates collected from clinical infections in horses, dogs, cattle, sheep, and pigs, which had tested positive in the Staphaurex Latex Agglutination Test. The isolates were characterized by spa typing and DNA microarray profiling. In addition, we performe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using the VITEK 2 Compact system. Results: Characterization of the 31 presumptive MRSA isolates revealed 3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isolates, which were able to grow on MRSA2 Brilliance agar. Of the 28 MRSA isolates, the majority was assigned to CC398 (86%), but CC8 (11%) and CC1 (4%) were also detected. The predominant spa type was t011 (n = 23), followed by t009 (n = 2), t034 (n = 1), t008 (n = 1), and t127 (n = 1).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tend the current body of knowledge on the population structure, resistance phenotypes, and virulence and resistance gene profiles of MRSA from livestock and companion animals.

최근 6년간 소아청소년기 급성 화농성 골관절염의 원인균과 임상 양상; 2003-2009 (The Et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Osteoarthritis in Children; 2003-2009)

  • 최진형;최영준;홍기배;이진아;유원준;김한수;박문석;조태준;정진엽;이환종;최인호;최은화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31-39
    • /
    • 2011
  • 목 적 : 급성 화농성 관절염 및 골수염은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으로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거나 부적절할 경우 만성적인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6년간 우리나라 2개 대학병원에서 경험한 급성 관절염 및 골수염의 원인균과 임상 양상을 분석하였다. 방 법: 2003년 6월부터 2009년 7월까지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급성 화농성 골관절염으로 서울대학교 어린이 병원과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한 15세 이하 환아들 중 혈액이나 관절액, 조직에서 시행한 세균 배양 검사상 원인균이 증명된 63례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총 63명의 중앙 연령은 60개월이고, 남아는 35명, 여아는 28명으로 약 1.25:1의 비율을 보였다. 침범 부위 중 관절은 고관절을 침범한 것이 15례(37.5%) 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슬관절 7례(17.5%), 견관절과 주관절이 각각 4례(10%)에서 침범되었고, 골수 침범 부위는 대퇴골이 20례(33.9%), 경골이 13례(22%), 요골과 상완골이 각각 7례(11.9%)씩 차지하였다. 원인균 중 S. aureus가 49례로 77.8%를 차지하였고, 이 49례 중 MSSA가 41례(83.7%), MRSA는 8례(16.3%)를 나타내었다. GBS, Salmonella spp.는 각각 3례를 차지하였다. 한편 생후 1개월 미만의 신생아 4례중 3례에서 GBS가 동정되었다. 초기 항생제로는 1세대 cephalosporin 또는 nafcillin 단독 요법을 선택한 경우가 27례(42.9%)로 가장 흔했고 vancomycin을 포함한 경우는 총 9례 (14.3%)이었다. 총 63례 중 54례(85.7%)에서 합병증 없이 호전되었고, 만성 골수염, 성장판 손상, 관절 신전 장애, 재감염 및 재수술 등 합병증을 동반한 호전을 보인 경우가 9례(14.3%)이었고 사망례는 없었다. 결 론 :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소아청소년 관절염 및 골수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S.aureus이고 이 중 MRSA 는 16.3%를 차지하므로 신중한 항생제 선택을 필요로 한다.

단일 기관에서 2002년부터 2016년까지 발생한 소아 황색포도알균 균혈증의 역학 (Epidemiology of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in Children at a Single Center from 2002 to 2016)

  • 임선희;하석균;차한;전인상;류일;손동우;조혜정;선용한;김효정;안정민;조혜경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1호
    • /
    • pp.11-21
    • /
    • 2019
  • 목적: 본 연구를 통해 소아청소년에서 발생한 황색 포도알균혈증(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SAB)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 간 가천대 길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중 SAB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212명의 소아청소년 SAB 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연간 SAB 발생률은 입원환자 1,000명당 0.77-1.95명이었다. 전체 SAB 중 신생아군(28일 미만)과 소아청소년군(28일-18세 이하)은 각각 51.4% (n=109), 48.6%(n=103)이었으며, 지역사회 관련 감염(community associated [CA])과 의료기관 관련 감염(healthcare associated [HA])은 각각 43.9% (n=93), 56.1% (n=119)였다. 소아청소년군(47.6%)보다 신생아군(64.2%)에서 HA-SAB의 비중이 더 높았다(P=0.015). CA-SAB와 HA-SAB에서 합병증 발생 여부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망률은 HA-SAB에서 더 높았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ce S. aureus [MRSA])의 비율은 신생아군에서 가장 높았고(88.1%),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5세 이상에서는 36.4-37.5%였다. MRSA 비율은 72.2%로 시간에 따른 일정한 추세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지난 15년 간 소아청소년에서 SAB의 발생률 및 MRSA의 비율은 일정한 추세 없이 유지되었다. 소아청소년의 SAB에서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기 위해 환자의 연령 및 감염 기원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국소화 농흉의 외과적 치료 - 폐쇄식 늑골절제 배농술 - (Surgical Treatment of Loculated Empyema - Closed Rib Resectional Drainage)

  • 허진필;이정철;정태은;이동협;한승세;선기남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063-1069
    • /
    • 1998
  • 연구배경 : 다발성으로 국소화된 농흉은 치료를 더욱 어렵게 만들며 특히 흉막천자와 흉관배농술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는 더욱 그렇다. 재료 및 방법 : 저자들은 1991년 12월에서 1997년 12월까지 18례(남 14례, 여 4례)의 국소화된 섬유소화농성기 농흉(16례) 및 초기의 만성기 농흉(2례)환자들에 있어서 폐쇄식 늑골절제 배농술(closed rib resectional drainage)을 실시하였다. 결과 : 수술은 증상이 지속되면서 흉관을 통한 부적절한 배농(10례)이나 흉막천자가 실패(8례)한 국소화된 농흉을 가진 환자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농흉의 선행질환은 13례(72.3%)에서 폐렴, 3례(16.7%)에서 응고혈흉, 그리고 담낭절제술과 결핵성 흉막염이 각각 1례씩(5.5%)이었다. 원인균은 8례(42.1%)에서 배양이 되었는데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가 3례로 가장 많았으며, pseudomonas aeruginosa가 2례, 그리고 enterococcus aerogens, α-hemolytic streptococcus, acinetobacter baumannii가 각각 1례씩 있었다. 농흉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였는데 흉부단층촬영에서 1∼4개(평균 1.78±1.00)의 국소화 소견을 보였다. 수술시간은 55∼140분(평균 102.8±30.8)으로 짧았으며 술 후 모든 환자에서 발열이 소실되었고 전신 상태의 호전을 이루었다. 술후 흉관 거치 기간은 3∼42일(평균 11.4±11.5), 재원기간은 6∼36일(평균 12.9±8.1)이었다. 합병증은 지연된 배농이 2례에서 있었고 수술사망은 없었다. 술 후 재발한 례는 없었으며 3∼6개월에 촬영한 흉부사진 소견상 14례(77.8%)에서는 정상 소견을, 그리고 4례(22.2%)에서는 경미한 흉막비후의 소견을 보여 전 례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 폐쇄식 늑골절제 배농술은 수술이 간편하고 합병증이 적으며 효과는 매우 양호하여 국소화된 섬유소화농성기 및 초기의 만성기 농흉환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적절한 수술이라 하겠다.

  • PDF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포도알균 감염에 대한 임상적 고찰과 위험 요인 조사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staphylococcal infectio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정민국;최정호;장진근;정성훈;배종우;차성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2호
    • /
    • pp.1287-1295
    • /
    • 2006
  • 목 적 :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포도알균 감염이 증가하고 있어서 감염시 사망률과 유병율이 높기 때문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포도알균 감염의 임상적인 특징과 위험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최근 늘어가고 있는 Methicilline 저항성 포도알균과 관련하여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한일병원과 경희의 대부속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세균 배양 검사상 포도알균에 양성을 보인 환아 2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 기록을 후 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포도알균을 MRSA, MSSA, S.epidermidis, S.epidermidis 외 CNS로 나누어 감염에 대한 임상적 특징과 여러요인과 발생빈도에 있어서의 연관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포도알균에 양성을 보인 240명의 환아중 MRSA는 88명, MSSA는 41명, S.epidermidis는 63명, S.epidermidis 외 CNS는 48명이었다. 결 과 : 5년동안 신생아실에 입원한 3,593명 중에 배양검사를 시행한 환아수는 7,481명이었으며 배양검사상 양성 환아수는 2000년도에 23명, 2001년도에 109명, 2002년도에 53명, 2003년도에 35명, 2004년도에 20명이었다. 포도알균 감염의 위험요인은 제태연령 37주 미만, 5분 아프가 점수가 7점 미만, 입원후 총정맥영양 시행, 입원후 인공호흡기의 사용, 제대정맥관 또는 제대동맥관 삽입, 입원후 비강 또는 구강용 영양튜브의 사용 등이었다. 항생제 감수성에 있어서는 모두 vancomycin에 감수성이 100%였으며 teicoplan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hloramphenicol, clindamycin에 감수성이 높았으며 gentamycin과 erythromycin에는 감수성이 낮았다. 결 론 : 포도알균 감염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철저한 산전 관리 등을 통해 미숙아 출생을 낮춰야 하며 신생아실에 입원하는 환아에게 총정맥영양의 시행, 인공호흡기 사용, 중심정맥도관의 삽입, 비강 또는 구강용 영양튜브의 사용을 최소한도로 해야 하겠으며 최근 신생아실에서 증가하고 있는 methicillin 저항성 포도알균에 대해서는 조기에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MRSA 감염으로 인한 유병률과 사망률을 낮출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세균성 폐렴의 원인균과 그 치료 (Etiologies of Bacterial Pneumonia with Implications for Therapy)

  • 우준희;이재석;권강호;김경호;최창현;박춘식;이위교;최태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67-75
    • /
    • 1995
  • 연구배경: 최근 세균성 폐렴을 일으키는 원인균주의 변화양상, 폐렴의 임상상, 균주에 따른 항생제의 감수성 및 치료성적등을 알아보기위해 순천향대학병원에서 세균성 폐렴으로 진단된 190예를 후향적으로 입원기록 검토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1989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4년간 순천향대학병원에서 폐렴으로 진단된 환자 897예 중 화농성 객담, 호흡곤란, 흉통등의 증상, 이학적 소견, 흉부 X-선에서 새로운 또는 진행하는 폐 병변, 혈액배양 및 의미 있는 객담에서 다수 또는 순수배양 상태로 나온 것을 병원균으로 간주하고, 항균제치료에 대한 반응등으로 세균성 폐렴으로 진단 받은 환자 19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병원체는 혈액이나 객담 배양검사로 원인균이 확인된 것만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 환자의 나이, 성별, 기저절환, X-선소견, 원인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및 사망률에 대해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는 모두 190예이었고 성별빈도는 남자가 123예(65%), 여자가 67예(35%)로서, 남녀의 비가 1.8:1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1세(17~84세)이고, 60대 이상이 반수(53%)이상을 차지했다. 2) 세균성 폐렴환자의 기저질환은 175예에서 관찰되었으며 기저질환이 없었던 예는 22예 뿐이었다. 기저질환으로는 폐결핵 및 만성폐쇄성폐질환등 호흡기계 질환이 78예(43%)로 가장 많았고, 뇌혈종 및 경색의 뇌혈관계 질환은 33예(20%), 악성종양 29예(16%), 당뇨 19예(12%) 및 만성 신부전증 10예(5%) 순이었다. 3) 객담배양은 173예에서 양성을 보였고, 균주빈도는 그람음성간균이 154예(89%), 그람양성구균은 19예(11%)이었으며, 이중 가장 흔히 동정된 균주는 Pseudomonas 49예(28%), Klebsiella pneumoniae 29예(17%), Enterobacter species 25예(14%), Acinetobacter species 20예(12%) 순이었고, 원내폐렴에서도 Pseudomonas 균주가 13예(34%)로 가장 많았다. 4) 혈액배양은 16예에서 양성을 보였고, 균주빈도는 그람음성간균이 7예(43%), 그람양성구균은 9예(57%), 이중 가장 흔히 동정된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6예(38%)으며, 그 다음 흔한 균주는 Pseudomonas specise 3예(19%)의 순이었다. 5)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Pseudomonas species는 amikacin(56%), ciprofloxacin(91%), aztreonam(85%), ceftazidime(50%)에 50% 이상의 감수성을 보였고, piperacillin(60%), gentamicin(73%), carbenicillin(79%)에는 60% 이상의 내성을 보였다. Klebsiella species는 chloramphenicol(74%), gentamicin(75%), cefotetan(78%)에 70% 이상의 감수성을 보였고, carbenicillin(73%), ampicillin(81%)에는 70% 이상의 저항성을 보였다. Staphylococcus의 감수성 검사에서는 methicillin에 64%의 감수성을 보였고, Streptococcus pneumoniae의 경우 oxacillin에 94%의 감수성을 보였다. 6) 세균성 폐렴의 치료결과 154명(81%)이 치유되었고 사망 및 가사상태로 퇴원한 경우는 36명(19%)이었으며, 병원획득폐렴 환자의 사망율은 25예(75%)로 높았다. 결론: 항생제의 개발과 더불어 폐렴의 임상상의 변화, 원인균주의 변화 및 새로운 내성균의 출현등을 고려할 때 무분별한 항생제 투여를 지향하고 세균배양 및 감수성검사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항생제의 투여가 절실히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