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eorology information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5초

농업기상분석 향상을 위한 농업정보간 격차 도출 (Determining the gaps in agricultural information, such as crop phonology, crop moisture status, and drought indices, to improve agrometeorological analyses for agriculture)

  • Stone, Roger-C;Peter Hayman;Holger Meinke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4-106
    • /
    • 2004
  • Determining those gaps in agricultural and other information to improve agrometeorological analyses for agriculture is a large task. The effective integration of appropriate data systems, including remote sensing systems, with agricultural systems modelling capability is described as a worthy outcome in this endeavour. Data issues, including those associated with data length, quality, maintenance, and archiving remain serious issues to be addressed. The role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agrometeorology is important and is explored here. The value of simulation models to provide the synthesis for future agrometeorological requirements is further elucidated.

기상청의 농업기상 관측환경과 정기보고서: 현황 및 제언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 Environment and Periodic Report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 최성원;이승재;김준;이병렬;김규랑;최병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4-155
    • /
    • 2015
  • 2011년 농업기상 관측장비의 재배치 사업 이후, 기상청의 농업기상 관측환경은 전반적으로 상당히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실시한 현지답사 결과를 바탕으로, 1) 확실한 관리주체의 확립, 2) 유관기관들 간 상호협조 강화, 3) 관측환경 변화에 대한 상세한 기록, 4) 장비와 센서의 표준화 5) 통일된 형태의 안내판 설치, 6) 부적합한 환경 하에 놓여 있는 장비의 인접 장소로의 이동, 7) 자동화된 증발계의 설치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확보된 고품질의 자료를 활용하기 위하여 현재 중단되어 있는 농업기상 정기보고서의 제작이 필요하며, 우리 나라의 현황을 감안할 때 1년에 한 차례 국가 전체에 걸쳐 지난 1년 간 일어난 특징적인 농업기상 현상들을 시간 순으로 서술하는 독일이나 캐나다의 연례보고서를 참고할 것을 제안한다.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수록 논문에 기반한 산림기상 연구 추세와 전망 (Trends and Prospects of Forest Meteorological Studies Based on the Publications 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문나현;신만용;문가현;천정화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1-134
    • /
    • 2019
  • 본 논문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발간 20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20년 동안 학회지에 게재된 산림기상 관련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그동안 수행된 산림기상 분야의 연구 추세를 진단함과 동시에, 앞으로의 산림기상 연구의 방향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산림기상 관련 논문은 총 220편으로 전체 게재된 논문의 35.5%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동안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의 연구가 수행되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전체 220편의 산림기상 논문을 7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된 연구 주제는 산림기상과 산불, 산림기상과 수목생리, 산림기상과 산림보호, 산악지역 미기상, 기후와 산림생장, 기후와 산림식생분포, 그리고 기후변화와 산림생태계의 7개 영역이다. 게재된 220편의 산림기상 관련 논문은 앞에서 분류한 7개 영역에 복수로 포함될 수도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 일부 논문의 경우에는 분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가장 유사한 영역에 포함되도록 조치하였으며, 또한 일부 논문의 경우 저자가 산림분야의 연구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산림을 대상으로 산림기상 연구를 수행한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에는 저자에 상관없이 모두 산림기상 관련 논문으로 취급하여 분류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산림기상과 수목생리 관련 논문이 총 54편으로 가장 많고, 기후와 산림생장이 49편, 산악지역 미기상이 47편으로 이 3개 분야의 논문이 전체의 68.2%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기후변화와 산림생태계 관련 논문이 10편으로 가장 적었고, 다음은 산림기상과 산불이 16편, 산림기상과 산림보호가 21편, 그리고 기후와 산림식생분포가 23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7개 영역의 논문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해당 영역 내에서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림생태계의 현상은 기상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산림분야의 연구는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좀 더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동안 사용가능한 산림기상 자료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산림기상 관련 연구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에 이루어진 산림수치기후도의 제작, 산림기상관측망의 확충, 산악 지역 내의 플럭스 관측망 설치,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사용 등은 앞으로 산림기상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위성영상이나 산림지리정보시스템 등과 같은 과학기술의 접목과 함께 첨단 통계기법의 적용은 산림기상 분야의 연구를 양적 그리고 질적으로 크게 성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업기상 정보의 활용 전망 (Prospects on Agro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 이병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4-30
    • /
    • 2000
  • This paper is to introduce distinctive trends in Agrometeorological Information(AgMI) these days, as well as newly emerging technologies from advanced sciences that are promising to enhanc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AgMI in the future. The basic concept and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AgMI were described either in general or in technical terms. Then AgMI was rather arbitrarily classified here into several groups, simply to show the diversity of AgMI resources available and technologies employed. The production, management, dissemination and communication of AgMI are envisaged to some extent together with the introduction of current status of AgMI production in Korea. Finally a couple of personal prospects on AgMI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are listed in terms of applicable subjects in Agricultural activities, current practicing cases in Korea and future perspectiv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 PDF

경기도 벼 재배 농가를 위한 농업기상 및 병해충예찰 정보시스템 (Inform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Weather and Disease and Insect Pest Management for Rice Growers in Gyeonggi-do, Korea)

  • 홍순성;강위수;조성인;김진영;박경렬;한용규;박은우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87-87
    • /
    • 2003
  • Th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has developed a web-site (http://www.epilove.com) in collaboration with EPINET to provide information on agricultural weather and rice disease and insect pest management in Gyeonggi-do. Weather information includes near real-time weather data monitored by automated weather stations (AWS) installed at rice paddy fields of 11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ATC) in Gyeonggi-do, and weekly weather forecast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omitted)

  • PDF

시스템 구성요소 통합 및 현업서비스 구축 (Implementation of a Weather Hazard Warning System at a Catchment Scale)

  • 신용순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74-85
    • /
    • 2014
  • This study is a part of "Early Warning Service for Weather Risk Management in Climate-smart Agriculture", describes the delivery techniques from 840 catchment scale weather warning information using 150 counties unit special weather report(alarm, warning) released from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chronic weather warning information based on daily weather data from 76 synoptic stations. Catchment weather hazard warning service express a sequential risk index map generated by countries report occurs and report grade(alarm, warning) convert to catchment scale using zonal summarizing method. Additional services were chronic weather warning service at crop growth and accumulated more than 4 weeks, based on an unsuitable weather conditions, representing a relative risk compared to its catchment climatological normal conditions (normal distribution ) in addition to special weather report. Service provided by a real-time catchment scale map overlaid with VWORLD open platform operated b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lso provide a foundation for weather risk information to inform individual farmers to farm located within the catchment zone warning occur.

  • PDF

국내 항공운항에서 기상현상이 결항 및 지연에 미치는 영향 분석 (A Study on the Critical Meteor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Flight Cancelation and Delay: Focusing on Domestic Airports)

  • 이중우;고광근;권태순;이기광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9-37
    • /
    • 2011
  • Last April, Europe was severly damaged as all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came to a halt prompted by the cancellation of all flights resulting from volcanic ash. This exemplifies that the meteorology condition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lights of airplanes. Hence, in this research the influence that the meteorology has on the domestic flights and its characteristics will be examined, and the core meteor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flights in each airport will be drawn. In order to do this, statistical analysis on the influence that the meteorology has on flight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about flight cancelation and delay and also its cause, primarily based on the Gimpo, Gimhae, and the Jeju airports. As a result, first, the meteorological factors which impact flight cancellation and delay were different among the domestic airports, an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fog was the main meteorological factor in the Gimpo airport, strong wind in the Jeju airport, and fog in the Gimhae airport. Third, between the day the flights were cancelled and delayed occurred, and the day that weren't, the fact that there existed a difference among the actual meteorological factors was statistically drawn. With the result of such analysis, meteorological factors pertaining to the cancellation and delay of flights must be considered seperately by each airport and specialized meteorological information must be provided accordingly. Further, when selecting the position of an airport that is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implications that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the meteorology effect evaluation based on past meteorology data can be dra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