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l extraction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26초

고정성 치과보철물의 제거원인 및 지대치 재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auses for Removal of Fixed Prostheses and Fate of Abutment)

  • 목원균;김희중;정재헌;오상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1호
    • /
    • pp.1-1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고정성 보철물의 제거와 지대치의 생존율을 위한 원인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총 192개의 고정성 보철물이 조선대 치과병원에서 제거되었고 308개의 지대치가 조사되었다. 제거의 가장 빈번한 이유는 치주 문제였고(30.7%), 그 다음이 우식(29.7%), 그리고 치근단 문제(18.8%) 였다. 금속도재관에서 치주 문제는 가장 빈번한 제거의 원인이었다. 완전주조관에서는 우식이 제거의 가장 흔한 이유였다. 치근단과 치주의 문제는 각각 40대 이하와 50대 이상의 사람들에서 가장 흔한 원인이었다. 308개의 지대치 중 생활치와 실활치는 각각 135(43.8%)와 173(56.2%) 이었다. 135개의 생활치 중에서 39(28.9%)개가 발거되었고, 173개의 실활치 중에서 85(49.1%)개가 발거되었다. 고정성 보철물의 제거와 지대치의 발거를 위한 각각의 위험 요소는 최종 보철물과 지대치의 예상과 진단을 위해 더 명확히 평가되어야만 한다.

아연광산 주변 논토양에서 토양(土壤) 화학성(化學性)이 중금속의 형태(形態) 및 그 분포(分布)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on the Distribution and Forms of Heavy Metals in Paddy Soils near Zine Mines)

  • 현해남;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3-191
    • /
    • 1991
  • 본 연구는 아연광산(亞鉛鑛山) 주변의 논토양에 존재하는 Cd, Pb, Cu 및 Zn의 형태별 함량을 조사하여 중금속간의 분포(分布) 특성(特性)을 검토하였으며, 토양 화학적 성질이 이들의 형태별 함량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토양에 존재하는 Cd, Pb, Cu 및 Zn은 주로 해화물-잔류태(殘留態)로 존재하였으며, Cd와 Pb의 산화물(酸化物)-탄산염태(炭酸鹽態)와 Cu의 유기복합태(有機複合態)의 함량도 높은 편이었다. Pb와 Cu의 치환태는 소량 존재하였으며, 수용태는 Zn만 검출되었다. 2. 치환태의 분포비가 높은 토양일수록 산화물-탄산염태 및 황화물-잔류태의 분포비가 낮았다. 3. 토심이 깊어질수록 치환태 Cd 및 Zn의 분포비(分布比)는 낮아지고 항화물-잔류태의 분포비가 높아졌으며, Pb는 산화물-탄산염태의 분포비가 낮아지고 황화물-잔류태의 분포비가 높아졌다. 4. Cu는 유기물이 많은 토양일수록 Cu의 유기복합태 함량이 많았으며, Cd, Pb 및 Zn의 유기복합태는 유기물함량과 관계가 없었다. 치환태 Cd, Pb 및 Zn의 분포비는 pH가 높은 토양일수록 낮았으나, 이들의 산화물-탄산염태과 황화물-잔류태의 분포비의 합은 높았다. Pb의 산화물-탄산염태 및 황화물-잔류태의 분포비는 공시토양의 pH 전범위에서 Cd 및 Zn에 비하여 높았다.

  • PDF

도시 토사중 중금속 함량 (Heavy Metals in Soils of the Urban Area)

  • 손동헌;정원태;박종필;김덕희;정성윤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1-228
    • /
    • 1992
  • In order to evaluate the degree of air pollution, soils from 125 and 60points of main streets of Seoul and Daejeon, respectively, were sampled and analyzed for the contents of lead, copper, iron and zinc by nitric acid($HNO_3$) extraction follow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during June and September, 1990. The Pb contents of Seoul and Daejeon were 350.2$\mu$g/g and 175.9$\mu$g/g, respectively, which were 14.5times and 7.3times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control(24.0). In Seoul, the commercial area gave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resdential and industrial areas in the decreasing order, while the order in Daejeon was Industrial,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The Cu contents in Seoul and Daejeon were very similar(236.6 and 234.6, respectively) each other, and about 11times higher than the control(20.9). The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industrial, followed by commercial and the lowest in residential areas in Seoul, while the order in Daejeon was industrial,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The Fe contents were 25716.5 in Seoul and 22838.6 in Daejeon, both being similar to the control value(22537.0). The value was highest in industrial and next in commercial areas and the lowest in residential area both in Seoul and Daejeon. The Zn contents in Seoul and Daejeon were 728.2 and 404.0, respectively, wihch were 6.3 and 3.6times higher than the control(113.3). The value was highest in commercial and next in industrial areas and the lowest in residental area in Seoul, while the order was industrial,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in Daejeon. The heavy metal content was higher in the soil of main streets than that of minor streets in Seoul. The content of lead in Seoul was higher in the streets of Chongro-ku(525.9) and Chung-ku(684.8), the central area of the city which had a heavy traffic, than those in Nowon-ku(320.3) and Kwanak-ku(312.6) which had relatively less traffic crowd. The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in the content of zinc; it was higher in Chongro-ku(1305.0) and Chung-ku(1335.4) than in Nowon-ku(489.1) and Kwanak-ku(569.8). In Daejeon, the contents of lead and zinc were decreasing as the distance from Daejeon Railroad Station increased : they were respectively 157.8 and 447.7 within 2km from the station, 157.6 and 235.7 with in 2-4km, and 63.5 and 156.2 within 4-6km and 58.7 and 142.2 within 6-8km. In summary, the contents of lead, copper and zinc were generally higher in the central area of the city, areas of heavy traffic and areas of industry and commerce.

  • PDF

Porcine Placenta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Porcine Placeta)

  • 김보영;김타곤;강환열;백현;전혜영;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327-331
    • /
    • 2010
  • 돈 태반의 화장품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알칼리 가수분해, 효소처리 및 산처리 가수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돈 태반 추출물의 중금속함량을 측정한 결과 납, 비소, 수은 등이 매우 낮아서 화장품소재로서 적절하였다. 화장품소재의 안전성시험(MTT assay) 결과 돈 태반 추출물은 모두 $50{\mu}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주어서 독성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를 사용한 항산화시험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pH9로 알칼리 처리한 경우가 항산화율이 63%로 가장 높았다. Tyrosinase 활성저해시험을 사용한 미백효과 측정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알칼리처리한 추출물의 효과가 30% 정도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보여주어서 가장 우수하였지만, 대조군인 arbutin이나 비타민 C에 비해 그 효과가 다소 낮았다. Elastase 활성억제시험을 이용한 주름개선 효과 측정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5가지의 처리법에서 모두 20~30%의 elast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어서, 대조군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효소처리한 추출물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돈 태반 추출물 1%를 함유한 스킨제형을 제조하여 온도, 시간에 따른 안정성 시험결과, 안정성 역시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돈 태반 추출물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산업 여건을 고려한 $CD_{2}$ 저장 방안으로서 광물 탄산화 기술의 타당성 (Feasibility of Mineral Carbonation Technology as a $CD_{2}$ Storage Measure Considering Domestic Industrial Environment)

  • 한건우;이창훈;전희동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2호
    • /
    • pp.137-150
    • /
    • 2011
  • $CO_{2}$를 탄산염의 형태로 고정화하는 광물 탄산화 기술은 $CO_{2}$ 지중 저장의 대안 기술의 하나로 중소규모로 $CO_{2}$ 저장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광물 탄산화 기술의 전세계적인 연구 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특히 우리 나라의 지질 및 산업 여건을 고려할 때 $CO_{2}$ 광물 탄산화가 $CO_{2}$ 저감 대책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술적 및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는 연간 1,200만톤 이상의 $CO_{2}$를 고정화할 수 있는 산업 부산물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광물탄산화에 이용한다면 $CO_{2}$ 광물탄산화는 유망한 $CO_{2}$ 저감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의 경제성 증대를 위해서는 산업 부산물의 전처리, 금속 용출액 및 용출 방법, 고속 탄산화 기술 개발, 공정열의 이용 극대화, 생성된 탄산화물의 부가가치 향상 등의 분야에서 향후 추가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Novel Endoscopic Stent for Anastomotic Leaks after Total Gastrectomy Using an Anchoring Thread and Fully Covering Thick Membrane: Prevention of Embedding and Migration

  • Jung, Gum Mo;Lee, Seung Hyun;Myung, Dae Seong;Lee, Wan Sik;Joo, Young Eun;Jung, Mi Ran;Ryu, Seong Yeob;Park, Young Kyu;Cho, Sung Bum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1호
    • /
    • pp.37-47
    • /
    • 2018
  • Purpose: The endoscopic management of a fully covered self-expandable metal stent (SEMS) has been suggested for the primary treatment of patients with anastomotic leaks after total gastrectomy. Embedded stents due to tissue ingrowth and migration are the main obstacles in endoscopic stent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endoscopic management were evaluated for anastomotic leaks when using a benign fully covered SEMS with an anchoring thread and thick silicone covering the membrane to prevent stent embedding and migration.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of 14 consecutive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anastomotic leaks after total gastrectomy treated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6. Results: The technical success rate of endoscopic stent replacement was 100%, and the rate of complete leaks closure was 85.7% (n=12). The mean size of leaks was 13.1 mm (range, 3-30 mm). The time interval from operation to stent replacement was 10.7 days (range, 3-35 days) and the interval from stent replacement to extraction was 32.3 days (range, 18-49 days). The complication rate was 14.1%, and included a single jejunal ulcer and delayed stricture at the site of leakage. No embedded stent or migration occurred. Two patients died due to progression of pneumonia and septic shock 2 weeks after stent replacement. Conclusions: A benign fully covered SEMS with an anchoring thread and thick membrane is an effective and safe stent in patients with anastomotic leaks after total gastrectomy. The novelty of this stent is that it provides complete prevention of stent migration and embedding, compared with conventional fully covered SEMS.

WOx/SBA-15 촉매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선박용 경유의 산화 탈황 연구 (Oxidative Desulfurization of Marine Diesel Using WOx/SBA-15 Catalyst and Hydrogen Peroxide)

  • 오현우;김지만;허광선;우희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567-573
    • /
    • 2017
  • 선박용 경유(황 농도 약 230 ppmw)의 황화합물 제거를 위해 산화텅스텐($WO_x$)을 실리카로 이루어진 다공성 물질인 SBA-15에 담지한 산화 촉매를 제조하였으며 산화제로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산화공정과 추출 용매로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한 추출공정을 통해 촉매의 산화성능을 확인하였다. XRD 및 XRF, XPS 분석과 BET 이론을 통해 제조한 촉매의 물리적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담지된 $WO_x$는 삼산화텅스텐($WO_3$)으로 존재하였으며 실제 담지율이 약 10 wt% 부근일 때 단일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한 촉매의 산화성능을 확인한 결과, 0.1 g의 13 wt% $WO_x$/SBA-15 촉매와 과산화수소(산소/황 몰 비=10)를 도입하여 $90^{\circ}C$에서 3시간 동안 반응이 이루어졌을 때 76.3%의 가장 높은 황 제거율을 나타냈다. 연속반응 비교 실험을 통해 1회의 산화반응으로 황 화합물의 산화가 충분히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5회의 추출공정을 통해 최대 94.4%의 황 제거율을 나타냈다.

노화(aging)가 연안 퇴적물 내 납과 카드뮴의 흡/탈착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ing on the sorption and desorption behaviors of Pb and Cd in the coastal sediment)

  • 곽문용;신원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47-252
    • /
    • 2006
  • 오염 퇴적물내 중금속의 방출과 이에 따른 생이용성(bioavalability)은 기존의 가역 평형관계로써 설명하기에 불충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탈착 저항성을 설명하기 위한 비가역적 모델에 의해 퇴적물내 중금속의 탈착저항성 부분이 존재함이 밝혀졌다. 탈착저항성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오염물질의 노화(aging)에 의해 일단 탈착저항성을 띠게 되면 생이용성(bioavailability)이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aging)가 연안 퇴적물 내 납과 카드뮴의 흡/탈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속 탈착실험과 biphasic 탈착모델을 적용함으로써 납과 카드뮴의 탈착저항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연속 추출 실험을 통해서 노화(aging)에 따른 퇴적물 내 납과 카드뮴의 흡착 기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속탈착 실험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탈착저항성부분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연속추출 실험 결과 납의 경우 carbonate fraction에서 추출된 납이 가장 많았으며, 노화(aging) 따라 exchangeable fraction에서 추출된 납이 감소하는 반면 reducible, organic material, residual fraction에서 추출된 납의 양이 증가하였다. 카드뮴의 경우 가장 많은 양이 추출된 단계는 exchangeable fraction이였으며, organic material fraction에서는 카드뮴이 추출되지 않았다. 노화(aging) 따라 reducible fraction과 residual fraction에서의 추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양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화(aging)에 따른 exchangeable fraction과 carbonate fraction에서의 추출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대해서는 북한지역의 분포상황을 밝혔다.것을 알 수 있었으며, 크롬과 비소의 경우는 초기에 많이 용출되고, 구리의 경우는 꾸준히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년 된 통나무집이 8년 된 통나무집보다. 용출양이 더 컸으며, 이는 CCA성분이 초기에 많이 용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Hep3B에서는 부탄을 분획물 (1 mg/mL)에서 82%의 비교적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as a "front" and "back". Thus, Germany′s private space may face a genuine public space and street, which is rare in the Korean housing. Although the layout of indoor space in the korean housing tends to be open, such an openness may be outstanding in living and dining spaces, kitchen and various accesses to rooms. In the case of Germany, such indoor spaces are usually closed to each other. Thus corridors act to separate these spaces. Such differences are analysed to be due to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and socio-cultural attributes as intra-family and inter-neighbor relationships or communications. 알 수 있었다.도 질소와 인산처럼 토양지지대가 있는 경우가 낮은 함량을 유지하였다.pe from the daily life, to fantasize and daydre

  • PDF

중금속(重金屬)(Cd)의 피해경감(被害輕減)을 위(爲)한 토양개량(土壤改良)에 관(關)한 연구(硏究) I. Cd침출(浸出)과 개량제(改良劑) 시용(施用)으로 인(因)한 치환성(置換性) Cd의 감소(減少) (Studies on the Alleviation of Heavy Metal (Cadmium) Damage through Soil Improvement (Extraction of Cadmium and the Damage through Exchangeable Cd++ by the Application of Soil Amendments))

  • 오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2-249
    • /
    • 1982
  • 카드뮴의 해독(害毒)을 경감(輕減)하는데 필요(必要)한 기초지식(基礎知識)을 얻기 위(爲)하여 카드뮴이 처리(處理)된 토양(土壤)에 석회물질(石灰物質)과 개량제(改良劑)를 사용(使用)한 것과 이미 석회(石灰)가 사용(使用)된 토양(土壤)에 Cd를 처리(處理)한 것을 분(盆)에 담아서 1981년(年) 여름 또는 가을에 자연토양수분조건하(自然土壤水分條件下)에 묻고 처리후(處理后) 40일(日)~70일(日)사이에 토양시료(土壤試料)를 채취분석(採取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카드뮴은 토양(土壤)을 0.1N-HCl나 2%구연산으로 침출(浸出)했을 때에 많고, $N-AcNH_4$로 침출(浸出)했을때 적었으며 물로 침출(浸出)했을 때는 나오지 않았다. 침출(浸出)된 카드뮴의 처리간(處理間) 차이(差異)는 $N-NH_4A$ 침출(浸出)에서 가장 뚜렷하여 이것을 유효카드뮴으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2) 치환성(置換性)카드뮴을 줄이는데 가장 유효한 것은 수산화(水酸化)카드뮴이며 탄산(炭酸)카드뮴, 규산(珪酸)카드뮴의 순서(順序)로 효과가 적어졌다. 3. 과석(過石)도 치환성(置換性)카드뮴을 줄였는데 인산(燐酸)카드뮴을 침전(沈澱)시키기 때문으로 판단(判斷)되었다. 4. 치환성(置換性)카드뮴은 토양(土壤)의 pH 6.0~6.5에서 많고 그 이하(以下)나 이상(以上)에서 적었다. pH 5.0이하(以下)에서는 $Mn^{+{+}}$으로 인(因)한 $Cd^{+{+}}$의 침전(沈澱)때문이고, pH 6.0이상(以上)에서는 수산화(水酸化)카드뮴의 침전(沈澱)때문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방연석 제련실험을 통한 납 추출과정 및 물리화학적 거동변화 연구 (Extraction Process of Lead and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using the Smelting Experiment of Galena)

  • 한우림;김소진;이은우;황진주;김수기;한민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9
    • /
    • 2013
  • 납을 획득하는 방법과 처리과정에서 일어나는 물리 화학적 거동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납이 함유된 고대 금속유물의 제작기법 연구에 활용하고자 방연석을 현재 가행 중인 광산에서 채취하여 세척 및 선광 등의 전처리 공정을 거쳐 제련 및 정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납은 배소-화학반응에 의해 추출되며, $1,000^{\circ}C$이상의 고온에서도 방연석이 matte 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잔존하고 있는 방연석을 제거하기 위해 정련실험을 실시한 결과, 약 $11.1g/cm^3$의 비중을 갖는 금속 납이 추출되었으며 방연석 내 미량으로 존재하고 있던 Ag가 입계 내에 응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고순도의 납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번 이상의 정련 과정과 은을 제거하기 위한 회취법 등이 시행되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