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data Schema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2초

Mobile Cloud System based on EMRA for Inbody Data

  • Lee, Jong-Sub;Moon, Seo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327-333
    • /
    • 2021
  • Inbody is a tool for measuring health information with high reliability and accuracy to analyze body composition. Unlike the existing method of storing/processing and outputting data on the server side, the health information generated by InBody requires accurate support for health sharing and data analysis services using mobile devices. However,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information to a mobile service, a problem may occur in data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ing.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ince the network network in the cloud environment is used, if the connection is cut off or the connection is chang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global service, not a temporary area, focusing on the mobility of InBody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InBod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mobile devices, a standard schema should be defined in the mobile cloud environment to enable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standardized InBody data and mobile devices. We propose a mobile cloud system using EMRA(Extended Metadata Registry Access) in which a mobile device processes and transmits body data generated in the inbody and manages the data of each local organization with a standard schema. The proposed system processes the data generated in InBody and converts it into a standard schema using EMRA so that standardized data can be transmitted. In addition, even when the mobile device moves through the area, the coordinator subsystem is in charge of providing access services. In addition, EMRA is applied to the collision problem due to schema heterogeneity occurring in the process of accessing data generated in InBody.

기록 관리 메타데이터의 개념 모델링 (Conceptual Modeling of Record Management Metadata)

  • 이현실;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48
    • /
    • 2006
  • 기록 관리 메타데이터 스키마는 기록물 자체에 내재한 정보 요소뿐만 아니라, 기록 업무에 따른 기록물의 생명 주기 관리 등에 필요한 관리 요소를 표현할 수 있는 강고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메타데이터 스키마에서는 기록 도메인의 정보 모델과, 기록 관리 업무 및 응용에서 요구되는 의미 상세화와 데이터 요소 특수화 등을 지원하는 메타데이터 프레임워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데이터 스키마의 주요 원리와 특성을 분석하여, 기록 관리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ISO 15489와 23081에 제시된 기록 관리 지침과 메타데이터 운용에 근거한 기록 관리 정보 모델을 개발하고 핵심 데이터 요소를 제시하였으며, 기록 관리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 방법을 보였다.

스포츠경기 영상기록물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tadata Schema for Sports Moving Records)

  • 장지원;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57
    • /
    • 2014
  • 본 연구는 스포츠 영상기록물의 효과적인 관리 검색 활용을 목적으로 다중개체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스포츠 영상기록이 가진 특성을 표현하고 풍부한 맥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포츠 경기, 경기 참여자, 영상기록, 기록관리업무의 네 가지 개체들을 선정하였으며, 각 개체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스포츠 인물 및 팀에 대한 용어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인물과 팀에 대한 전거레코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다중개체 모형과 메타데이터 요소들, 그리고 스포츠 인물 및 팀 전거레코드는 체육학과 교수들과 스포츠 마케팅 전문가로 이루어진 전문가 집단과의 면담을 통해서 검정되었고 수정, 확대되었다.

기업간 제품정보 공유를 위한 협업적 제품거래 프레임워크 (CPC Framework for Sharing Product Information Across Enterprises)

  • 김현;김형선;이주행;정진미;도남철;이재열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01-211
    • /
    • 2003
  • Collaborative product commerce (CPC) is a newly emerging technology to support inter-enterprise collaboration through the product life-cycle. From the IT point of view, CPC is software technology to integrate product, process and resources of different enterprises using Web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CPC framework for integrating product information across enterprises, which being developed as a part of the CPC project by ETRI. The product metadata represented by XML schema, which is compatible with ISO STEP PDM Schema standard, is presented to semantically and schematically integrate distributed product information. The web services technologies are discussed to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application systems related to the product development, such as CAD and PDM, where most of these applications run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Finally, we implement the frame-work to integrate distributed product information.

일제강점기 일본어신문 『조선시보』의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과 적용 연구 (Metadata Elements Design and Application for Japanese Newspaper 'Chosunsibo' Issued in Colonial Korea)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37-15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일본어 신문 중 자료의 방대한 양이나 사료로서의 가치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신문기사 검색이 불가능한 『조선시보』의 메타데이터 구축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일제강점기 신문DB구축 현황과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고, (2) 『조선시보』의 형태적·내용적 특성을 파악한 다음, (3) 메타데이터 설계를 위한 기본원칙을 정한 후 『조선시보』에 적용할 메타데이터 요소 및 인코딩 스킴, 통제어휘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설계(안)은 (1) 데이터 입력 테스트를 통한 검토 및 수정, (2) DB 전문기관의 자문, (3) 관련 표준 및 관련 사례와의 crosswalk 작성 등의 과정을 거쳐 확정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조선시보』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요소의 개발 및 이를 토대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기 개발까지로 설정하였다.

한의학 연구 데이터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Metadata Element Design for Korean Medicine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Re-use)

  • 예상준;장호;김선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23-2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 연구 데이터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계하고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생산되는 연구 데이터를 대상으로 요소검증을 수행하였다. TTAK.K0-10.0976 표준과 DataCite 메타데이터 스키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국가 연구 데이터플랫폼 스키마를 대상으로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다. 최상위 요소로서 Identifier를 포함한 27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필수요소 29개, 권고요소 13개, 선택요소 31개를 도출하였다. 한의학 관련 분야별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도출요소에 대한 필요성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추가적인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 받아 검토하였다. 한의학 연구 데이터 주제 분류를 제안하였으며, 최종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요소로 현재 운영 중인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수용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한의학연구원에 구축되는 데이터 리포지터리에 아이템과 파일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로 활용될 수 있다.

기업간 비즈니스 프로세스 메타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B2B Business Process Metadata Ontology Design)

  • 김형도;김종우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0-176
    • /
    • 2006
  • B2B registries are information systems to registrate B2B related business information such as companies' profiles, business documents, business processes, services and to provide query facilities to find information about potential business partners.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design of the repository for B2B business processes. In this paper, a metadata ontology is designed to registrate B2B business processes. In practice, there are several competitive business process definition languages such as ebXML BPSS (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 WSBPEL (Web Service 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BPMN (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 and so on. In order to registrate business processes based on different representation frameworks, the proposed metadata ontology consist of three layers, common metadata, language-specific metadata, and interrelationship metadata. To implement the proposed metadata ontology using ebXML registry, metadata mapping scheme to ebRIM (ebXML Registry Information Model) are also suggested.

  • PDF

RDF/S 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그래프 데이터 모델 기반 저장 기법 (Storing Scheme based on Graph Data Model for Managing RDF/S Data)

  • 김연희;최재언;임해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85-293
    • /
    • 2008
  • 차세대 웹으로 인식되고 있는 시맨틱 웹에서는 정보 리소스의 개념과 의미적 관계를 정의하는 메타데이터와 온톨로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RDF와 RDF 스키마 같은 시맨틱 웹 언어로 표현되어 있는 시맨틱 데이터의 효과적인 저장 및 검색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RDF와 RDF 스키마를 함께 고려하여 시맨틱 웹 데이터의 질의 유형을 크게 3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RDF와 RDF 스키마가 그래프 데이터 모델로 표현이 가능하고 다양한 질의의 형태가 그래프 모델에서 추출 가능한 경로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데 초점을 맞추고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한 저장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저장 구조는 RDF와 RDF 스키마에 기본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클래스, 프로퍼티, 리소스에 대한 정의나 계층 정보는 물론 추출 가능한 모든 경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저장 기법을 통해 일반적인 질의 유형은 물론 그래프 모델 상의 복잡한 경로식으로 표현되는 질의 유형에 대해서도 테이블의 조인 횟수를 최소화하면서 특정 클래스나 프로퍼티로부터 시작하는 모든 경로에 대한 질의 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 PDF

Business Collaborativ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Using MOXMDR-DAI+

  • Lee, Jong-Sub;Moon, Seo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23-230
    • /
    • 2020
  • Companies have made an investment of cost and time to optimize processing of a new business model in a cloud environment, applying collaboration technology utilizing business processes in a social network. The collaborative processing method changed from traditional BPM to the cloud and a mobile cloud environment. We proposed a collaborative system for operating processes in social networks using MOXMDR-DAI+ (eXtended Metadata Registry-Data Access & Integration based multimedia ontology). The system operating cloud-based collaborative processes in application of MOXMDR-DAI+, which was suitable for data interoperation. MOXMDR-DAI+ applied to this system was an agent effectively supporting access and integration between multimedia content metadata schema and instance, which were necessary for data interoperation, of individual local system in the cloud environment, operating collaborative processes in the social network. In operating the social network-based collaborative processes, there occurred heterogeneousness such as schema structure and semantic collision due to queries in the processes and unit conversion between instances. It aimed to solve the occurrence of heterogeneousness in the process of metadata mapping using MOXMDR-DAI+ in the system.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can visualize business processes. And it makes it easier to operate the collaboration process through mobile support. Real-time status monitoring of the operation process is possible through the dashboard,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llaborative process through expert search using a community in a social network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