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bolic Syndrome X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2초

2형 당뇨병 치료제의 최근동향

  • 허갑범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5-126
    • /
    • 2001
  • 1988년 Reaven이 인슐린저항성증후군(insulin resistance syndrome)의 개념을 처음 소개한 후 전세계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인슐린저항성증후군은 대사성증후군 (metabolic syndrome), X 증후군(syndrome X)이라고도 하며, 인슐린 저항성에 따른 고인슐린혈증,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와 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고혈압 등 일련의 질환은 동일인에서 흔히 병발하고, 이들은 모두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의 위험인자라는 관점에서 상호연관성을 갖는 질환군이라는 개념이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에 대한 말초조직의 저항성과 상대적으로 감소된 인슐린 분비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당수의 2형 당뇨병은 비만, 특히 복부비만을 동반하고 있으며, 비만은 그 자체로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한다. 결국 인슐린 저항성이 장기간 개선되지 못하게 되면 2형 당뇨병이 유발되게 된다. 따라서 2형 당뇨병에 대한 최선의 치료는 혈당조절 뿐만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개선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그 증거로 당뇨병 조절과 관련한 대규모 전향적 연구인 UKPDS(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의 결과를 보면, 2형 당뇨병에서 설폰요소제(sulfonylurea)나 인슐린으로 10년동안 혈당조절을 했을 때 미세혈관 합병증은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나 대혈관 합병증의 발생률은 의미있는 감소를 보이지 못하였다. 반면 대혈관 합병증이 미세혈관 합병증보다 사망에 기여하는 비율이 70배 이상이라는 사실은 당뇨병의 치료가 혈당조절에만 초점이 맞추어져서는 안 되며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개선시키는 치료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시료에서 매우 드물게 관찰된다. 음극선발광(cathodoluminescence) 영상의 해석을 통해 저어콘 결정의 성장사를 유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온현미분석 점(spot)을 정하였다. U-Pb-Th 자료는 퍼스(Perth) 저어콘 스탠다드 (CZ3, 564 Ma, $^{206}$Pb/$^{238}$U=0.0914)를 사용하였다. 아래에 기술하는 연대는 모두 $^{206}$Pb/$^{238}$U 연대에 해당된다. 두 개의 화강암질 편마암 시료로부터 구한 U-Pb 저어콘 연대는 각각 812 $\pm$ 14 Ma(1006-8)와 822 $\pm$ 17 Ma(1006-9)로 분석오차 내에서 서로 일치한다. 이 결과는 춘천 및 전곡 지역의 석류석 각섬암에서 보고된 Sm-Nd 전암연대(852 $\pm$ 24 Ma 및 824 $\pm$ 143 Ma; Lee and Cho, 1995; Ree et al., 1996)와 잘 부합한다. 따라서 후기 원생대 기간 중 화성활동이 한반도에서 광범위하게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한편, 1006-9 시료에서는 예외적으로 한 개의 저어콘 입자 주변부(rim)에서 매우 얇은 과성장띠가 관찰되었으며, 두 개의 점 분석으로부터 구한 U-Pb 저어콘 연대는 약 235 Ma이다. 이 띠는 또한 변성기원의 저어콘에서 흔히 관찰되는 작은 W (<0.05) 비를 보인다. 1006-5 시료는 위 두 시료로부터 수 km 떨어진 지점에서 채집하였으나, 저어콘 연대는 상이한 기록을 보여준다. 즉 매우 작은 Th/U (<0.01) 값을 갖는 저어콘의 주변부에서 223 $\pm$ 5 Ma의 연대가 잘 정의되며, 이는 1006-9 시료에서 관찰된 결과와

  • PDF

뇌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된 제2형 뮤코다당증 1례 (A Case of Mucopolysaccharidosis Type 2 Diagnosed Early through Brain MRI)

  • 이윤경;조성윤;김진섭;허림;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7-92
    • /
    • 2015
  • 뮤코다당증(mucopolysaccharidosis)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의 분해에 필요한 리소좀 효소의 결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질병으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대사 산물이 세포의 리소좀 내에 축적되어 세포, 조직 그리고 기관의 기능 이상을 초래해 신체적, 신경학적인 퇴행을 보이며, 심한 경우 조기에 사망하게 되는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뮤코다당증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헌터증후군(뮤코다당증 제2형)은 조기에 진단하여 효소보충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언어발달지연과 등과 엉덩이에 몽고반점, 간비대, 두껍고 거친 피부가 있었으며 과성장된 신체 검진소견을 보였던 환아에서, 뇌자기공명영상 검사 결과에서 뇌교량체에 다수의 낭종, 백색질에 비정상 신호 증가 병변들, 미만성 뇌수축 소견을 보여 헌터증후군을 의심하였으며 효소검사 결과를 통해 확진하였다. 저자들은 언어발달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게 시행한 뇌자기공명영상에서 조기에 헌터증후군을 의심하여 효소검사를 통해 확진을 할 수 있었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신증후군 환아에서 스테로이드 유발 대사성 골질환에 대한 Alendronate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Efficacy of Alendronate for Glucocorticoid Induced Metabolic Bone Disease in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 이지은;이현옥;백경훈;이숙향;진동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1호
    • /
    • pp.33-42
    • /
    • 2004
  • 목 적 :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 장기투여에 따른 대사성 골질환은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저자들은 성인에서의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치료에 유효한 bisphosphonate(alendronate)를 투여하여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 유발 대사성 골질환에 대한 치료효과에 대해 전향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신증후군 이환 기간이 2년된 5-8세의 환자 58명에게 DEXA로 골밀도를 측정하여 요추 골밀도가 Z-score -1 이하인 환아 30명(51.7%)을 대상으로 선정한 후 이들을 alendronate 주 1회 투여군, calcitriol 투여군, 약제 비투여군등의 세 군으로 분류하여 1년간 연구하였다. 치료 6개월, 1년에 요추 L1-L4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치료 전과 치료 1년 후 생화학적 검사를 측정하였다. 각 군간 평균 연령, 기저 요추 골밀도, 스테로이드 축적량, 골밀도% 변화율, 요추 골밀도 Z-score를 측정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30명 환자에서 기본 요추 골밀도 측정시 환아의 나이는 $7.4{\pm}1.7$세였고 신증후군 이환기간은 $2.2{\pm}1.2$년이었다. Z-score로 진단된 골밀도 감소증은 23명(76.7%), 골다공증은 7명(23.3%)이었다. 각 생화학적 변수들은 치료 전후로 차이가 없었으며, 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빈번 재발형 신증후군과 스테로이드 의존형 신증후군은 22명(73.3%)으로 드문 재발형 신증후군 8명(26.6%)에 비해 대사성 골질환의 빈도가 높았다. 골밀도 변화율은 alendronate 군에서 치료 1년에 8.56%였고, calcitriol군은 5.79% 증가를 보였으며, 비투여군은 1.9%증가를 보였다. Z-socre 변화는 alendronate 군과 calcitriol 군에서만 호전되었고, 비투여군에서는 감소하였다. 골밀도 증가율은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0002), alendronate 군과 비투여군, calcitriol 군과 비투여군 간에 있었고(P<0.05), alendronate 군과 calcitriol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lendronate 투여시 약복용을 중단할 만큼의 심각한 부작용은 발현되지 않았다. 결 론 : 소아 신증후군 환자에서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투여해야 하는 경우 대사성 골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골밀도 측정이 필요하며, 그 평가 도구로는 요추 골밀도 Z-score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증후군 환아의 스테로이드 유발 대사성 골질환에서 alendronate 주 1회 경구투여는 요추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법이었다.

  • PDF

흉부 X-선 검사에서 복부비만에 따른 입사표면선량과 영상 왜곡도 평가 (Assessment of Entrance Surface Dose and Image Distortion in Accordance with Abdominal Obesity in the Chest Radiography)

  • 김부순;박정규;권순무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73-478
    • /
    • 2015
  •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보정 하였을 때 대사 증후군의 예측에 가장 높은 연관이 남녀 모두에서 비만-복부 비만군이라고 보고되고 있으며, 의료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방사선에 대한 피폭선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흉부 X선 검사에서 복부의 비만정도를 가정하여 흉부팬텀에서 앞쪽방향(forward)으로 각도를 부여한 후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입사표면선량과 영상의 왜곡 정도를 평가하였다. 흉부팬텀의 각도가 앞쪽방향으로 $5^{\circ}$ 증가할 때 마다 폐의 가로직경은 1.22%, 세로직경은 0.44% 증가하였다. 심장직경은 앞쪽방향으로 $5^{\circ}$ 증가할 때 마다 1.01% 증가, CTR은 0.27% 감소가 관찰되었다. 그 중 폐의 가로직경이 가장 큰 증가, 폐의 세로직경이 가장 작은 증가를 보였고 CTR은 작은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팬텀에 입사하는 표면선량 측정의 경우, 흉부팬텀의 각도가 앞쪽방향으로 $5^{\circ}$ 증가할 때 마다 6.12%의 비교적 큰 증가를 보였다. 임상에서 흉부 X-선 후전방향촬영을 시행하는 경우, 복부비만 등으로 인해 흉부의 각도가 기울어짐에 따라 영상의 왜곡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노출되는 선량이 증가되고 재촬영으로 추가적인 방사선 피폭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위치잡이에 주의를 기울여 환자의 방사선피폭 감소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일 지역사회 한국여성의 화병증상에 따른 심혈관 건강, 우울 및 안녕 (Cardiovascular Health and Depressive Symptoms and Well-being Status in Community-based Korean Women according to Hwa-byung Symptoms)

  • 박영주;신나미;최지원;이숙자;남명현;김성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0-7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cardiovascular health (CVH), depressive symptoms, and well-being among community-based Korean women according to hwa-byung (HB) symptom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measured HB symptoms, depressive symptoms, quality of life (QoL), and spiritual well-being (SWB) in addition to biophysical indicators of CVH. Results: Fourteen women of the HB group are more likely to live alone with lower income than 36 women in the comparison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HB group has larger mean waist circumference and higher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along with more knee arthritis and back pain. Although women in the HB group appeared worse in other CVH than their counterparts,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noteworthy, that the HB group showed a higher probability of having a hard cardiovascular event (CVE) within 10 years than the comparison group. Women in the HB group reported more depressive symptoms, poor QoL, and low SWB as well as smoking and sleep difficulties. Conclusion: Despite the small sample size,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HB symptoms to abdominal obesity, the probability of a hard CVE within 10 years, and psychosocial health were found. Strategies for effective community-based cardiovascular programs for Korean women may include HB screening and/or management.

초록 : 비만 실험동물쥐 (obese Zucker rats)에서의 육미지황탕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 of Yukmijihwangtang-Jahage in obese Zucker rats)

  • Kim, Cheorl-Ho;Seo, Eun-Kyung;Kang, Dong-Hwi;Seo, Jin-Woo;Kim, Kyoung-Sook;Lee, Tae-Kyun;Lee, Young-Choon;Nam, Kyung-S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88-396
    • /
    • 2000
  • The effect of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 Yukmijihwangtang-Jahage(YJ) on the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and lipid profile was studied using a model for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lean (Fa/-) and obese (fa/fa) Zucker rats. Yukmijihwangtang-Jahage feeding for 4 weeks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plasma triglyceride in both lean and obese Zucker rats. Furthermore, Yukmijihwangtang-Jahage markedly decreased both plasma cholesterol and fasting plasma insuli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ostprandial glucose level at 30 min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obese Zucker rat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rude glucose transporter 4 protein level of Yukmijihwangtang-Jahage dieted obese rats tended to increase when compared to that of obese control rats.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Yukmijihwangtang-Jahage may be useful in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metabolic disorders characterized by hyperinsulinemia states such as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syndrome X and coronary artery disease.

  • PDF

전전뇌증(Holoprosencephaly)의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Holoprosencephaly)

  • 송승한;강낙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528-530
    • /
    • 2007
  • Purpose: Holoprosencephaly(HPE) is a rare developmental defect due to incomplete cleavages of the prosencephalon during the third week of fetal development. Chromosomal anomalies, genetic syndrome, teratogen, or genetic disorder of non-syndromic HPE are usually accepted as etiology. The consequences of prechordal mesoderm defect are varying degrees of deficit of midline facial development, especially the median nasal process(premaxilla), and incomplete morphogenesis of the forebrain. We experienced a case of lobar HPE with complete cleft lip and palate. Methods: A female newborn infant was born at $38^{+6}$ weeks' gestational age via NSVD. The infant's birth weight was 3.6 kg, height 52 cm, and head circumference 32.5 cm, showing microcephaly, flat nose, median complete cleft lip & palate, and hypotelorism, along with defects of midfacial development including losses of premaxilla, philtrum, nasal septum, and columella. Results: There were no specific findings noted from the head and neck X-ray and tests for endocrine and metabolic disorders, but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idface and dysgenesis corpus callosum on brain MRI were seen, so that this case was diagnosed with HPE. Conclusion: HPE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alobar, semilobar, and lobar prosencepha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erebral hemisphere separation. Assesment of patient's brain abnormality and malformation is essential in determining the extent and benefit of surgical intervention. This case was included in the lobar type HPE which shows relatively good prognosis compared with other types and reconstruction of median complete cleft lip & palate and midfacial defects will be performed.

복합운동과 작약 음료 섭취가 중년여성들의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and Peony Drinking on Inflammatory Factors in Middle Aged Women)

  • 어경태;김찬회;김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25-431
    • /
    • 2018
  • 본 연구는 40~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복합운동군 6명, 복합운동 및 작약음료섭취군 6명, 통제군 5명으로 무선 배정하여 주 3회 1일 60분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중년여성의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규칙적인 복합운동프로그램과 작약음료섭취 여부에 따른 집단간 염증인자의 변화에서는 피브리노겐의 그룹별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지만, 시기, 시기${\times}$집단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례수가 적어 외생 변수가 많았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사례수를 늘려 후속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mega-6$ 다중불포화지방을 섭취한 백서에서 비타민 E보충이 인슐린저항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Insulin Resistance and Oxidative Stress in Sprague Dawley Rats Fed High $\omega-6$ Polyunsaturated Fat Diet)

  • 박선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6호
    • /
    • pp.644-653
    • /
    • 1999
  • Background : Excessive intakes of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can increase oxidative stress, which may increase insulin resistance and could be the cause of metabolic syndrome X such as diabetes mellitus. One of the ways to reduce oxidative stress is the consumption of antioxidants such as vitamin E. It is controversial that vitamin E intakes may alleviate insulin resistanc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whether high vitamin E intake may influence whole body glucose disposal rate(GDR), glycogen deposites, triglyceride content, lipid peroxide level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Sprague Dawley rats fed high $\omega$6 PUFA diest. Methods : Sprague 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consumed chow diet. High and low vitamin E groups consumed 40% PUFA of total energy intakes. One kilogram of diet mixture contained 300IU of $\alpha$-tocopherol in high vitamin E group, while it had 30 IU in low vitamin E group. Diets were given for 8 weeks. After 7 were of diet consumption, indwelling catheters were inserted in carotid artery and jugular vein of all rats so that GDR could be measured in awake and unstressed state. Results : Daily PUFA intakes were lower in the control group than others. Daily vitamin E intake of high vitamin E group was about ten times higher than those of low vitamin E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0001). $\alpha$-tocopherol content in lier was highest in the high vitamin E group. GDR of the control group was 24% higher than others, and vitamin E intakes did not affect GDR. Glycogen deposit of liver i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and it was not altered by vitamin E supplementation. Muscle glycogne content showed a similar tendency as liver glycogen in different diet groups. Triglyceride deposit in muscle was not different among groups. Lipid peroxide content of liver in the high vitamin E group was lower than the low of glutathione peroxidase were lowered in low vitamin E group than others, however, those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were not different. Conclusions : High vitamin E intakes can decrease oxidative stress in rats fed high (())-6 PUFA diet, but they cannot alleviate insulin resistance. Thus, increased oxidative stress through high (())-6 PUFA diet may be minimal for influencing insulin resistance.

  • PDF

저지방 무설탕 쿠키의 제조와 혈당 강하 효과 (Development and Hypoglycemic Effect of Low-fat and Sugar-free Cookie)

  • 박선민;김영순;윤인철;서은혜;고병섭;최수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87-492
    • /
    • 2002
  • 당뇨병 환자가 열량이 낮고, 섭취한 후 혈당의 상승폭이 적은 쿠키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스파탐과 사카린의 비와 양, 지방의 양, 식이 섬유소의 첨가량, 한약재 추출물의 첨가량의 비율에 따라 쿠키를 개발하여 건강한 여자 대학생(n = 10)과 당뇨병 환자(n = 10)를 대상으로 정상적으로 만든 일반 쿠키와 비교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ANOVA로 통계처리를 하여 가장 선호도가 높은 제품을 선택하였다. 당뇨병 환자와 여대생에게 선호도가 높은 저지방 무설탕 쿠키 3 가지를 선택하여 이것들이 혈당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당뇨 모델과 정상 실험 동물을 대상으로 경구 내당 검사를 하였고, 건강한 여대생과 당뇨병 환자에게 공복과 섭취 2시간 후에 혈당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인 Px 흰쥐(n = 8)와 정상 흰쥐(n = 8)를 대상으로 경구 내당 검사를 하였을 때 당뇨 모델과 정상 모델에서 모두 아스파탐과 사카린 중량비 7.5 : 1, 펙틴 5%, 둥굴레 뿌리 추출건조물 5%을 넣어 제조된 저지방 무설탕 쿠키가 일반 쿠키에 비해 포도당에 대한 GAUC가 현저하게 낮았고(p<0.05), 혈당의 최고값도 저지방 무설탕 쿠키에서 낮았다(p<0.05). 또한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섭취후 혈당이 상승하는 속도가 느렸고, 최고 혈당도 낮았다. 건강한 여자 대학생과 당뇨병 환자가 공복시 30g을 섭취한 지 45분과 90분 후에 정상인에서는 두 군 사이에 혈당의 차이가 현저하지 않았으나, 당뇨병 환자에서는 실험군인 저지방 무설탕 쿠키를 섭취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현저하게 낮았다. 이상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저지방 무설탕 쿠키는 갑작스럽게 높게 혈당이 상승하지 않으므로 당뇨병 환자의 간식으로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