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Commerc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22초

구매자 카테고리 기반 지능형 e-Commerce 메타 서치 엔진 (Buyer Category-Based Intelligent e-Commerce Meta-Search Engine)

  • 김경필;우상훈;김창욱
    • 산업공학
    • /
    • 제19권3호
    • /
    • pp.225-235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lligent e-commerce meta-search engine which integrates distributed e-commerce sites and provides a unified search to the sites. The meta-search engine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1) the user is able to create a category-based user query, (2) by using the WordNet, the query is semantically refined for increasing search accuracy, and (3) the meta-search engine recommends an e-commerce site which has the closest product information to the user’s search intention by matching the user query with the product catalogs in the e-commerce sites linked to the meta-search engine. An experiment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our model is better than that of general keyword-based search.

User Category-Based Intelligent e-Commerce Meta-Search Engine

  • 우상훈;김경필;김창욱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346-355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a-search engine which provides distributed product information through a unified access to multiple e-commerce. The meta-search engine proposed in this paper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I) The user is able to create a category-based user query, (2) by using the WordNet, the query is semantical refined fined for increasing search accuracy, and (3) the meta-search engine recommends an e-commerce site which has the closest product information to the user's search intention, by matching the user query with the product catalogs in the e-commerce sites linked to the meta-search engine. An experiment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our model is better than that of general keyword-based search.

  • PDF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tor Factors and Purchasing Intention in E-commerce Studies

  • Nam, Soo-Tai;Jin, Chan-Yong;Sim, Jaes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2권4호
    • /
    • pp.257-262
    • /
    • 2014
  • Meta-analysis is a statistical integration method that delivers an opportunity to overview the entire result by integrating and analyzing many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will find meaningful mediator variables for criterion variables that affect purchase and repurchase intentions in e-commerc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 meta-analysis. We reviewed a total of 114 e-commerce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2000 and 2014, where a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variables that are specified in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In this meta-analysis, the path betwee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showed the biggest effect size. The second biggest effect size was found in the path between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ion, while the smallest one was obtained with perceived. Thus, we pres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discuss the differences among these result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previous studies.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인지된 가치의 선행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External Factors on Perceived Value in E-commerce)

  • 남수태;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2-114
    • /
    • 2016
  • 데이터 분석은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말한다. 또한,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따라서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인지된 가치의 선행 외부요인들은 연구자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하여 연구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학회지에 게재된 인지된 가치 관련연구에서 어떠한 요인들을 사용하고 있고 또한 이러한 외부요인들이 인지된 가치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는지를 메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 PDF

통상정보연구 메타분석 (Meta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이호형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259-273
    • /
    • 2017
  • 본 연구는 "통상정보연구"의 1999년 창간호에서부터 제18권 4호(2016년 12월)까지 지난 18년간 게재된 논문에 대한 메타분석이다. "통상정보연구"에 2016년까지 수록된 논문은 총 1047편이다. 학문분야를 본다면 전자무역, 상품 및 서비스혁신, 지역통상정보, 통상법제도, 통상협상 순으로 논문이 많이 게재되었다. 20편 이상 논문을 게재한 저자들의 전공분야가 15가지가 넘으므로 "통상정보연구"는 다양한 전공분야의 학자들이 논문을 게재하고 있는 다학제적인 논문집이다. 저자는 대부분 대학 소속이었고 연구비 수혜 논문의 비중은 19.7%이다. "통상정보연구"에 그동안 5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했던 저자는 총 46명인데 이들의 H-지수는 5.6이다. "통상정보연구"의 2016년 영향력지수(IF)는 1.02이므로 "통상정보연구"의 무역학계 영향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2002년 이후 집계된 "통상정보연구" 게재 논문들의 핵심 키워드는 전자상거래, 인터넷, 서비스무역, 중국, 전자무역, 한류, FTA, 중소기업, 해외직접투자 등이다. 그 중에서도 전자무역, FTA, 중국 세 가지 키워드가 가장 자주 등장하였다.

  • PDF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인지된 위험과 종속변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to Criterion Variable on E-commerce)

  • 남수태;김도관;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1-193
    • /
    • 2015
  • 최근 경제발전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상거래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인지된 위험과 종속변수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을 문헌연구와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인지된 위험과 종속변수의 인과관계가 설정된 총 25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인지된 위험과 종속변수 간 경로의 효과 크기는 -0.251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선행연구와 비교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 PDF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만족, 신뢰 및 충성도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on E-commerce)

  • 남수태;김도관;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4-196
    • /
    • 2014
  •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최근 전자상거래나 정보통신기술과 지식정보사회의 융합은 정치, 경제 및 다양한 분야에 빠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만족, 신뢰와 충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을 문헌연구와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만족, 신뢰 및 충성도의 인과관계가 설정된 총 57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만족과 신뢰의 경로가 가장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만족과 신뢰의 경로에 효과 크기는 0.591이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선행연구와 비교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 PDF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인지된 가치, 위험 및 행위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Risk and Behavioral Intention on E-Commerce)

  • 남수태;진찬용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179-189
    • /
    • 2016
  •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지식정보화 사회의 융합은 정치, 경제, 문화 및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또한 메타분석은 효과크기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변수들 간 상관관계의 방향과 크기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전자상거래에서 고객의 행동을 결정하는 행위의도는 중요한 종속변수이다. 행위의도를 결정하는 선행변수에는 인지된 가치와 인지된 위험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과 행위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을 문헌연구 및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전자상거래 연구 중에서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 및 행위의도의 인과관계가 설정된 총 33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인지된 가치와 행위의도 간 경로의 효과크기는 (r = .526)인 것으로 나타나 선행변수인 인지된 가치는 종속변수 행위의도를 약 28%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위험과 행위의도 간 경로의 효과크기는 (r = -.220)인 것으로 나타나 선행변수인 인지된 위험은 종속변수 행위의도를 약 5% 부정적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선행연구와 비교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 PDF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만족, 신뢰 그리고 충성도 간에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in E-commerce)

  • 남수태;양기설;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711-1718
    • /
    • 2015
  •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만족, 신뢰와 충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을 문헌연구와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근 전자상거래나 정보통신기술과 지식정보사회의 융합은 정치, 경제 및 다양한 분야에 빠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만족, 신뢰 및 충성도의 인과관계가 설정된총 57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만족과 신뢰의 경로가 가장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으며, 효과 크기는(r = .591)이었다. 두 번째 효과 크기는 만족과 충성도 경로에서 효과 (r = .554), 다음으로 신뢰와 충성도 경로에서는(r = .552)로 나타났다. 그런데 신뢰와 만족 경로에서는 가장 낮은 효과 크기(r = .484)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인지된 가치, 위험 및 행위의도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Risk and Behavioral Intention on E-commerce)

  • 남수태;김도관;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5-168
    • /
    • 2014
  •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지식정보사회의 융합은 정치, 경제 및 다양한 분야에 빠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과 행위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을 문헌연구와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인지된 가치, 위험 및 행위의도의 인과관계가 설정된 총 25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인지된 가치와 행위의도 간 경로의 효과 크기는 0.508이었다. 또한, 인지된 위험과 행위의도 간 경로의 효과 크기는 -0.251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선행연구와 비교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