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sophilic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8초

한식 잔반처리를 위한 호기성 미생물의 분리 및 그 분해효과 (Isolation of Aerobic Bacteria and Its Efficacy for the Treatment of Korean Food-Wastes)

  • 김광현;김지연;이광배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10-517
    • /
    • 1999
  • For the treatment of Korean food-wastes, three mesophilic and one thermophil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oil and fermented fertilizers. The thermophilic Streptomyces sp. strain WF021 produced two enzymes which were a protease and a lipase at 55$^{\circ}C$. The mesophilic Bacillus sp. strain WF024 produced four enzymes which were a protease, a lipase, a amylase and a cellulase when the strain was grown both at 3$0^{\circ}C$ and 55$^{\circ}C$. The Bacillus sp. PY123 had produced three enzymes which were a protease, a cellulase and a lipase at 3$0^{\circ}C$. The Bacillus sp. strain CM1 produced three enzymes which were a protease, a amylase, and a cellulase at 3$0^{\circ}C$. The bacteria were grown in media containing 6% NaCl at least and did not have antagonism each other. The four isolates treated much more food-wastes than referance strains did. In a flask without aeration, three reference strains treated 15.4% of food-wastes, while four isolates treated 23.7% of food-wastes. In a flask with aeration, food-wastes were treated 67.3% by four isolates, and 64.3% by three reference strains, but 53.9% without bacteria. However, food-wastes were treated about 78% in a 200$\ell$-reactor made by Siwon Co., while 65.8% in a 20$\ell$-reactor made by Sanyo Co.

  • PDF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산발효조의 효율 향상 연구(I) : 식종균의 효과 (Enhanced acidogenic fermentation of food waste (I) : Effect of seed inoculation)

  • 신항식;한선기;송영채;이채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3호
    • /
    • pp.112-117
    • /
    • 2000
  • 음식물쓰레기는 높은 함수율과 VS(volatile solids) 함량으로 인해 수거, 운반 및 매립에 있어서 부패, 악취, 침출수 등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의 산발효는 기질의 생분해도와 식종균의 분해능력과 같은 발효제한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데, 음식물쓰레기의 생분해도는 잘 분해되지 않으며 전체 양의 약 50%를 차지하는 셀룰로우스 성분(야채류)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에 대한 효과적이면서도 경제적인 방법은 셀룰로우스의 분해능력이 뛰어난 미생물을 식종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루멘미생물을 이용하여 산발효의 낮은 효율을 향상시키려 하였으며 그 값을 중온 산발효균과 비교하였다. Leaching bed 반응조에 루멘미생물을 식종했을 때의 산발효 효율은 희석율 $3.0d^{-1}$에서 71.2%의 최대값을 얻었으며, 한편 중온 산발효균을 식종하였을 때는 희석율 $4.5d^{-1}$에서 59.8%의 최대값을 얻었다. 이는 루멘미생물의 음식물쓰레기 분해능력이 보다 뛰어남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

냉장 온도에서 생육, 습식숙성육, 건식숙성육의 저장 안전성 (Storage Stability of Raw Beef, Dry-Aging Beef, and Wet-Aging Beef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 안설빈;황선혜;조용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0-176
    • /
    • 2020
  • 생육, 습식 숙성육, 건식 숙성육을 종류별 3종을 구입하여 냉장 상태로 보관하면서 pH, 휘발성 염기질소(VBN), 미생물 정량, 우점균을 분석하였다. 초기 생육, 건식 숙성육의 중온균은 3.3-3.9 Log CFU/g, 습식 숙성육은 경우 5.4 Log CFU/g 이였으나, 냉장으로 18일 보관 후 생육과 건식 숙성육에 존재하는 중온균은 6.1-6.4 Log CFU/g로 증가하였다. 습식 숙성육의 경우 Lactic acid bacteria (LAB)는 냉장 보관시 4.5-6.0 Log CFU/g으로 나타났으나, 건식숙성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온균, 저온균, LAB, 효모 및 곰팡이 수가 증가하였으나,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육의 오염 및 부패 판단은 7 Log CFU/g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12일 이상 냉장 보관하였을 경우 6-7 Log CFU/g으로 기준을 초과하였다. 이 때 VBN이 평균 15 mg%으로 부패의 초기 단계로 판단 할 수 있었다. 냉장 보관에 따른 우점 미생물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냈다. 생육에서는 초기 우점균으로 S. saprophyticus가 분석되었으나, VBN이 증가함에 따라 Carnobacterium divergens가 우점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습식 숙성육에서 Carnobacterium divergens가 냉장보관 초기에 우점 미생물로 분석되었으나, 이후 Lactobacillus sakei가 우점균으로 분석되었다. 건식 숙성육의 경우 Dermacoccus nishinomiyaensis가 냉장보관 초기에 우점하였으나 이후 Pseudomonas fragi가 우점균으로 변화하였다. 부패의 초기 단계에서 특정 박테리아의 역할 외에도 부패, 향기 분석 및 숙성 육류의 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숙성 육류의 안전한 유통 및 보관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Biphasic Study to Characterize Agricultural Biogas Plants by High-Throughput 16S rRNA Gene Amplicon Sequencing and Microscopic Analysis

  • Maus, Irena;Kim, Yong Sung;Wibberg, Daniel;Stolze, Yvonne;Off, Sandra;Antonczyk, Sebastian;Puhler, Alfred;Scherer, Paul;Schluter, Andrea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321-334
    • /
    • 2017
  • Process surveillance within agricultural biogas plants (BGPs) was concurrently studied by high-throughput 16S rRNA gene amplicon sequencing and an optimized quantitative microscopic fingerprinting (QMF) technique. In contrast to 16S rRNA gene amplicons, digitalized microscopy is a rapid and cost-effective method that facilitates enumeration and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the most significant groups of methanogens regarding their shape and characteristic autofluorescent factor 420. Moreover, the fluorescence signal mirrors cell vitality. In this study, four different BGP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stable process performance in the mesophilic BGPs and in the thermophilic reactor. Bacterial subcommunity characterizatio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BGPs. Most remarkably, the genera Defluviitoga and Halocella dominated the thermophilic bacterial subcommunity, whereas members of another taxon, Syntrophaceticus, were found to be abundant in the mesophilic BGP. The domain Archaea was dominated by the genus Methanoculleus in all four BGPs, followed by Methanosaeta in BGP1 and BGP3. In contrast, Methanothermobacter members were highly abundant in the thermophilic BGP4. Furthermore, a high consistency between the sequencing approach and the QMF method was shown, especially for the thermophilic BGP. The differences elucidated that using this biphasic approach for mesophilic BGPs provided novel insights regarding disaggregated single cells of Methanosarcina and Methanosaeta species. Both dominated the archaeal subcommunity and replaced coccoid Methanoculleus member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of Methanomicrobiales that have been frequently observed in similar BGPs. This work demonstrates that combining QMF and 16S rRNA gene amplicon sequencing is a complementary strategy to describe archaeal community structures within biogas processes.

시금치의 cook-chill 가공 중 오염지표균 및 병원성세균의 변화 (Changes of Indicator Microorganisms and Pathogenic Bacteria in Spinach during Cook-Chill Process)

  • 김혜정;박재갑;이동선;백현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927-930
    • /
    • 2002
  • 시금치를 한국 식단의 식자재로 사용하기 위해 cook-chill 가공과 sous vide 기술을 사용하였다. 시금치는 500 g 단위로 차단성 필름을 사용하여 진공포장하고 Listeria monocytogenes의 6D 사멸조건에서 저온살균하고 $3^{\circ}C$에서 급속히 냉각한 다음 $3^{\circ}C$$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을 측정하였다. 오염지표균은 중온성세균, 저온성세균, 혐기성세균, 내열성세균,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 Enterobacteriacea 및 분원성연쇄상구균을 측정하였다. 원료 시금치에서는 $2.2{\times}10^8\;cfu/g$로 높은 분포를 보였고, cook-chill 가공 후에는 $6.0{\times}10^3\;cfu/g$로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 동안 서서히 증가하였다. 저온성세균과 혐기성세균은 거의 같은 양상을 보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 대장균군, 분원성연쇄상구균 및 Enterobacteriacea는 cook-chill 가공 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람음성의 병원성세균은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Plesiomonas shigelloide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spp., Shigella spp., Yersinia enterocolitica, 그람양성균은 Bacillus cereus, Campylococcus spp.,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을 분리시험하였다. A. hydrophila는 수세한 시금치에서 분리되었으나, 원료 시금치와 cook-chill한 시금치에서는 분리되지 않았다. B. cereus와 C. perfringens는 원료 시금치, 수세한 시금치와 cook-chill 가공한 시금치에서 분리된 반면 S. aureus는 원료 시금치와 수세한 시금치에서만 분리되었다. 그 외의 다른 병원성세균은 cook-chill 과정에서 분리되지 않았다.

생장 온도 범위별 최적의 유류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경작 정화기술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현장 적용성 연구 (A Field Study on the Enhancement of Landfarming Performance Using Oil-degradable Microbes Adapted to Various Temperature Range)

  • 유재봉;김정호;김국진;오승택;이철효;박이경;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5호
    • /
    • pp.10-17
    • /
    • 2009
  • 생물학적 정화는 TPH로 오염된 지역을 정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미생물의 분해 활성이 적정온도 이하,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기 때문에, 생분해 효율이 온도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유류 분해 효율이 우수한 중저온성 미생물을 분리하여 TPH로 오염된 지역에 적용할 때의 정화효율을 평가해 보는 것이다. 먼저 탄화수소 분해효율이 뛰어난 중온성($30^{\circ}C$)미생물 5종과 저온성($80^{\circ}C$) 미생물 3종의 consortia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미생물 consortia를 실험실내에서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 적용해 본 결과, 중온성 미생물의 경우 초기 TPH 4,044 mg/kg이 10일 경과 후 1,084 mg/kg으로 73.2%, 저온성 미생물은 TPH 5,427 mg/kg이 50일 경과 후 1,756 mg/kg으로 67.6%의 처리효율을 보였다. 이 분해율은 휘발이나 희석에 의한 물리적 저감을 포함한다. 이후 분리된 미생물들을 토양 경작 현장에 적용해 본 결과, TPH 2,560 mg/kg의 오염이 56일 경과 후 87.1%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이때의 생분해 반응 속도상수는 $0.0374\;day^{-1}$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저온, 중온 상태에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정화가 더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Purification of a Thermostable Recombinant Sulfolobus solfataricus Esterase Expressed in a Mesophilic Host

  • 김성훈;이선복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01-504
    • /
    • 2000
  • The purification of a thermostable esteras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was investigated using thermoprecipitation of unclarified cell homogenates followed by after applying the heat-treated lysate to phenyl-sepharose column, and elution with detergent. Heat treatment at $70^{cdot}C$ was capable of removing to E. coli proteins. Specially, the thermoprecipitation with 15% polyethylene glycol 8000 can remove host proteins and nucleic acids efficiently. Various detergents were used to recover the esterase, which was strongly bound to phenyl-sepharose resin. Triton X-100, non-ionic detergen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of all tested detergents.

  • PDF

SITE-DIRECTED MUTATION STUDY ON HYPERTHERMOSTABILITY OF RUBREDOXIN FROM PYROCOCCUS FURIOSUS US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IN WATER

  • Jung, Dong-Hyun;Kang, Nam-Sook;Jhon, Mu-Shik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1996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1-21
    • /
    • 1996
  • The hyperthermostable protein, rubredoxin from Pyrococcus furiosus is 53-residue protein with a three-stranded anti-parallel $\beta$-sheet and several loop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s of electrostatic and hydrophobic interactions on the structure and dynamic property of P. furiosus rubredoxin,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in water were performed on three mesophilic rubredoxins, P, furiosus rubresoxin, and 5 mutants of P. furiosus rubredoxin. (omitted)

  • PDF

플러그 흐름 소화기 속에서 Grain Dust의 혐기성 소화에 의한 메탄가스 생산 (Methane Production by Anaerobic Digestion of Grain Dust in a Plug Flow Digester)

  • Tae-Kyung Yoon;Sung-Bum Han;Moon-Ki Park;Seung-Koo So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311-316
    • /
    • 1993
  • 3리터의 실험실 크기의 플러그 흐름의 혐기성 소화기를 사용하여 grain dust로부터 메탄가스를 생산하였다. 이 실험에서 사용한 소화기는 온도(35, 45, 55$^{\circ}C$), 체류 시간(6, 12일), 초기농도(7.8, 9.0% Total Solids)의 함수로 10가지 조건에서 실험이 행하여 졌는데, 실험 결과 55$^{\circ}C$, 6일 HRT, 7.8%TS 에서 가장 높은 메탄가스를 생산하였으며, 실험결과를 토대로 메탄가스생산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의 실험의 조건에서는 thermophilic 의 경우가 mesophilic 경우보다 메탄가스 생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육회 중에 분포하는 미생물과 주요 식중독 세균의 조사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and Foodborne Pathogens in Yukae)

  • 이시형;김진만;김명희
    • 육가공
    • /
    • 통권35호겨울호
    • /
    • pp.34-45
    • /
    • 2008
  • 육회는 가열처리 없이 섭취하기 때문에 다양한 미생물에 노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의 육회 전문점 5곳을 선정하여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식당에서 판매되고 있는 조리된 육회를 식품공전 방법에 따라 중온성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측정하였고 식품중에 검출되어서는 아니되는 병원성 세균인 Salmonella spp., Staph. aureu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의 검출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육회에는 중온성균이 6.6$\times$103-2.7$\times$105 CFU/g, 대장균군이 8.9$\times$101-2.1$\times$105 CFU/g으로 분포되었다. 모든 육회 시료에서 Salmonella spp., E.coli O157:H7,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한 시료에서 Staph. aureus가 검출되었다. 이외 임상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들이 동정되었다. 가열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는 육회는 원료의 생산 및 조리과정에서 엄격한 위생 감독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