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retrix petechiali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3초

인천 을왕동 패총 출토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의 성장선 분석을 이용한 패류 채집의 계절성 연구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determined by growth-line analysi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recovered from the Eurwang-dong Shell Midden, Incheon, Korea)

  • 안덕임;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5-30
    • /
    • 2016
  • Growth-lin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80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from the Neolithic Age Eurwang-dong Shell Midden, Incheon, Korea, to determine the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and site occupation. Growth increments and the marginal index (MI) of the specimens were examined. And then the marginal index was compared to the monthly MI of modern specimen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growth pattern was the same as it is today. MI of the archaeological specimens ranged from 0.12 to 1.55 and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0.63, spring; 0.63-0.76, summer; 0.76-0.89, fall; $${\geq}_-0.89$$, winter collection. As a result, 57 specimens (71.25%) of 80 specimens represented spring, 8 (10.0%) summer, 3 (3.75%) fall and 12 (15.0%) winter collec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shellfish could be collected year-round at the site with an emphasis on spring. Based on the size distribution of shells and the content of the midden, however, it seems that the midden site was not occupied permanently throughout the year but was used repeatedly but temporally for shellfish gathering and processing.

먹이생물에 따른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유생의 성장 및 생존 (Growth and Survival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Larvae to Food Organisms)

  • 김태익;고창순;허영백;양문호;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5-180
    • /
    • 2011
  • 본 연구는 말백합의 안정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해 먹이생물의 종류 및 공급량을 조사하였고, 일정기간 절식 후 먹이생물의 재공급에 따른 영향을 관찰하였다. 유생의 먹이생물은 I. galbana, C. calcitrans, N. oculata를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공급할 경우 C. calcitrans를 D형 유생 1개체당 3,000-5,000 세포를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D형 유생을 일정기간 절식 후 먹이생물을 공급한 경우 먹이생물을 공급한 시점부터 4일째에 평균각장 $192.5{\mu}m$ 이상의 침착기 유생으로 성장하였다. 생존율은 절식기간이 길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Ultrastructure of Germ Cells during Spermatogenesis and the Reproductive Cycle in Male Meretrix petechiali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Chung, Ee-Yung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4
    • /
    • 2006
  • Gonad index, spermatogenesis and the reproductive cycle of Meretrix petechialis were investigated by cytological, histological observations. Monthly changes in the gonad index coincides the gonadal development. The morphology of the spermatozoon had a primitive type and is similar to that of other bivalves having a short mid-piece with five to six mitochondria surrounding the centrioles. The morphology of the sperm nucleus type and the acrosome shape of this species were cylindrical type and cap-like shape, respectively. The spermatozoon was approximately 40-45 ${\mu}m$ in length including the sperm nucleus length (about 1.50 ${\mu}m$), acrosome length (0.60 ${\mu}m$) and tail flagellum. The axoneme of the tail flagellum consisted of nine pairs of microtubules at the periphery and a pair at the center.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ed 9 + 2 microtubular arrangement.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June to September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from July to August when seawater temperatures were higher than $20^{\circ}C$.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ould be categoriz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Febr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February to May), ripe stage (April to July), partially spawned stage (June to September), and spent/inactive stage (September to February).

  • PDF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의 난 발생에 미치는 수온, 염분, 수용밀도의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Rearing Density on the Egg Development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 김태익;고창순;허영백;진영국;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7-173
    • /
    • 2011
  • 말백합의 채란 채정 후 경과시간에 따른 수정률과 D형 유생의 발생률은 채란 채정 직후 수정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1시간 이후부터는 수정률과 발생률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정란의 적정 발생수온은 $25-27^{\circ}C$였으며, $33^{\circ}C$에서는 정상적으로 발생되지 않았다. 수정란에서 D형 유생까지 발생소요시간은 $20^{\circ}C$에서 37시간 15분, $25^{\circ}C$에서 20시간 50분, $30^{\circ}C$에서 15시간 20분이었다. 초기 발생에 있어 난 발생이 정지하는 생물학적영도는 평균 $12.4^{\circ}C$로 나타났다. 수정란이 D형 유생으로 발생 가능한 염분은 20.0-37.5 psu, 적정염분은 27.5-32.5 psu였다. 발생률이 높은 수정란의 수용밀도는 사육수 1 mL당 40개 이하였다.

Ovarian Cycle, the Biological Minimum Size and Artificial Spawning Frequency in Female Meretrix petechialis (Bivalvia: Veneridae) in Western Korea

  • Jun, Je-Cheon;Kim, Yong-Min;Chung, Jae-Seung;Chung, Ee-Yung;Lee, Ki-You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3호
    • /
    • pp.205-217
    • /
    • 2012
  • The ovarian cycle, the biological minimum size, and artificial spawning frequency by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of the femal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morphometric data. The ovarian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late active stage, ripe stage, partially spawned stage, and spent/inactive stage.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June to September,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between July and August when the seawater temperature exceeds over $20^{\circ}C$. The biological minimum size (shell length at 50% of first sexual maturity) in females were 40.39 mm in shell length (considered to be two years of age), and all clams over 50.1 mm in shell length sexually matured. In this study, the mean number of the spawned eggs by spawning induc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ize (shell length) classes. In case of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for the clams > 40.39 mm, the number of spawned eggs from the clams of a sized class was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spawning frequenci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awning). In the experiments of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during the spawning season, the interval of each spawning of this species was estimated to be 15-18 days (approximately 17 days).

서산 대죽리 패총에서 출토된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의 성장 연구 (Growth Analysi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collected from the Daejuk-ri Shell Middens, Seosan, Korea)

  • 류동기;안덕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1-1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서산 대죽리 패총에서 출토된 말백합의 패각에 나타난 윤문을 판독하여 성장식을 추정하고 현재의 말백합 개체군과의 성장을 비교하였다. 패총 출토 패각의 수는 총 206개체였다. 각 연령군별로 각장과 윤경 간에 대응성을 보였고, 각 윤문군이 비교적 뚜렷이 구분되어 윤문판독의 타당성이 확인되어 판독된 윤문을 연륜으로 간주하였다. 패총 출토 말백합의 윤문은 2-5개까지 확인되어 2-5세군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패총 개체군의 성장식은 $SL_t=102.9025[1-e^{-0.18657(t+1.0906)}]$ 이었으며, 현생 개체군은 $SL_t=104.2583[1-e^{-0.2277(t+0.7499)}]$ 이었다. 각장 (SL) 과 각고 (SH) 간의 상대성장식은 패총 개체군 SH = 0.7791SL + 3.6636 ($R^2$ = 0.946) 이었으며, 현생 개체군은 SH = 0.8103SL + 0.5145 ($R^2$ = 0.991) 이었다. 두 개체군의 성장계수 (k) 는 차이가 없었고 (p < 0.05), 극한각장 ($SL_{\infty}$) 은 차이가 있었으나 (p > 0.05) 전체적으로 두 개체군의 상대성장식의 차이는 크지 않아 성장의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두 개체군의 서식 환경이 비슷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석기시대의 대죽리 패총이 형성될 당시 인근 연안의 해수온은 현재의 김제 연안지역과 비슷하게 높았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인공종묘의 대량생산 (Mass Production of Artificial Seedlings in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 김태익;고창순;허영백;진영국;이정용;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3-319
    • /
    • 2012
  • 2001년 8월 8일부터 12월 5일까지 말백합 대량 인공종묘 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채란은 평균각장 $65.8{\pm}8.4mm$의 어미 100 개체로부터 공기노출과 수온상승자극 방법으로 채란 하였으며, 수정란에서 D형유생까지 발생 소요시간은 수온 $27^{\circ}C$에서 17시간 40분, 발생률은 6.1%, D형유생은 각장 $131.4{\pm}2.6{\mu}m$였다. D형유생은 4일간 사육하여 각장 $190.2{\pm}7.5{\mu}m$의 침착기 유생으로 성장하였고, 생존율은 48.1%였다. 이후 침착기 유생 130,000 개체를 저면 모래순환여과 방법으로 침착시켜 사육하였으며, 46일째 평균각장 $3.1{\pm}0.8mm$, 87일째 $6.6{\pm}1.8mm$, 그리고 114일째에 $10.5{\pm}0.9mm$로 성장하였다. 치패의 각장 (SL) 에 대한 각고(SH) 의 상대성장식은 SH = 0.8501SL + 0.0196 ($R^2=0.9987$)로 나타났다. 초기 침착치패인 각장 3.1 mm 이하에서 대량폐사가 일어났으며, 생존율은 사육 46일째 53.8%, 87일째 43.6%, 그리고 114일째에 51,000 개체가 생존하여 생존율 39.2%를 나타냈다.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초기치패의 저질개선제 종류에 따른 성장 및 생존 (Growth and Survival on Different Kinds of Sediment Improvements of Early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 김병학;조기채;변순규;김민철;지영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5-129
    • /
    • 2012
  •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1년 7월 4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 후 채란하여 3일간 유생 사육한 초기치패 (각장 $196{\pm}14{\mu}m$) 9천 6백만 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7일부터 8월 6일까지 30일간 사육 실험하였다. 실험 개시 전 각 저질개선제의 농도별로 치패의 생존가능 범위 조사 하였고, 농도는 요오드 10 ppm, 과산화수소 5 ppm, 차염소산나트륨 100 ppm, 이산화염소 100 ppm, 과망간산칼륨 5 ppm 으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성장은 차염소산나트륨 100 ppm 실험구가 $1.04{\pm}0.26mm$ 로 가장 높았고, 이산화염소 100 ppm 실험구 $1.03{\pm}0.25mm$, 요오드 실험구 $1.01{\pm}0.28mm$ 순이었고, 생존율은 이산화염소 100 ppm 실험구가 31.4% 로 가장 높았고, 차염소산나트륨 실험구 100 ppm 12.1%, 요오드 실험구 10 ppm 11.6%, 과산화수소 실험구 5 ppm 1.5% 순이었으며, 과망간산칼륨 실험구 5 ppm 은 전량 폐사하였다.

서산 대죽리 패총 출토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을 이용한 패류 채집의 계절성 연구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determined by growth-line analysi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recovered from the Daejuk-ri Shell Middens, Seosan, Korea)

  • 안덕임;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7-82
    • /
    • 2013
  • 백합류의 패류는 선사시대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온 이매패류로서 유적 점유 및 생계활동 연구와 고환경 연구에 좋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서산 대죽리 패총에서 출토된 말백합이 채집된 계절을 밝히기 위하여 표면 관찰을 바탕으로 한 연령 사정과 연변부지수를 산출하여 보았다. 그 결과 연변부지수 값은 0.13-1.29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현생 말백합의 월별 연변부지수 자료와 비교 검토한 결과 대죽리 패총 출토 말백합 시료 총 206점의 시료 가운데 봄 170점 (82.5%), 여름 18점 (8.7%), 가을 10점 (4.9%), 겨울 8점 (3.9%) 으로 봄에 채집된 것이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미루어 신석기시대의 대죽리 패총 지역에서 말백합의 채집은 연중 이루어졌으며, 특히 봄에 집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대죽리 패총은 연중 점유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연변부지수를 이용한 성장선분석은 다량의 패각 시료에 대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에 분석비에 대한 부담 없이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향후 보다 많은 고고학적 적용을 통하여 고고학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