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retrix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2초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의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일부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 변화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Several Tissue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in Relation to Gonad Developmental Phases)

  • 김용민;박관하;정의영;김종배;이창훈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5-134
    • /
    • 2006
  •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을 대상으로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생식주기를 조사하였고, 생화학적 분석방법에 의해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종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3월), 후기활성기 (2-5월), 완숙기 (4-8월), 부분산란기 (7-8월) 그리고 퇴화 및 비활성기 (9-2월)로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총단백질 함량은 내장낭에서 폐각근보다 약 2 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ANOVA test 결과, 총단백질 함량의 월별 변화는 폐각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p = 0.071), 내장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01). 내장낭 내 단백질 함량은 초기활성기 (1-3월), 후기활성기 (3-5월), 및 완숙기에 높았고, 7월에 가장 낮았다. 글리코겐 함량은 내장낭보다 폐각근에서 더 높았다. 글리코겐 함량의 월변화는 폐각근 (F = 237.2, p < 0.001) 과 내장낭 (F = 64.04, p < 0.001) 모두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글리코겐 함량은 폐각근의 경우, 완숙기인 4 월에 최대치에 이른 후, 부분산란기 및 퇴화기인 6-9월까지 서서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내장낭의 경우는 초기활성기까지는 비교적 낮은 값을 보인 후, 후기활성기인 5월에 가장 높았다. RNA 함량은 폐각근보다 내장낭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RNA 함량의 월별 변화는 폐각근 (F = 195.2, p < 0.001) 과 내장낭 (F = 78.85, p < 0.001) 모두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RNA 함량은 폐각근의 경우, 초기활성기인 1-2월에 높았고, 후기활성기인 3-4월에 극감하였으며, 완숙기인 5월에 약간 증가된 후 6-7월에 다시 감소하였다. 그리고 내장낭의 경우는 완숙기인 5월에 가장 높았고, 부분산란기인 6-7월에 급격히 그 값이 감소하였다. 총단백질 함량의 경우 폐각근과 내장낭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r = 0.715, p = 0.020). 글리코겐의 경우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처럼 나타났으나 (r = 0.216),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p = 0.550). RNA의 경우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r = -0.233),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p = 0.518). 전반적으로 볼 때, 가리비류와 같이 생식소, 소화맹낭, 중장선이 부위별로 구분이 된 이매패류와 달리 백합은 위 3가지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내장낭으로 분석하여 특정시기(월)에 국한되어 폐각근과 내장낭의 생화학적 함량변화가 역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현상을 보였다. 특히, 폐각근과 내장낭내 총 RNA 함량 변화 양상은 총단백질 함량 변화 양상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RNA 함량 증가시 단백질 함량의 증가가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Revisit on Zonal Macrobenthic Communities in Chokchon Tidal Elat, Incheon, Korea, After the Survey in 1986

  • Hong, Jae-Sang;Yoo, Jae-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6권3호
    • /
    • pp.83-92
    • /
    • 2001
  • An investigation on the zonal communities in Chokchon macrotidal flat, Incheon, Korea, was carried out on July 1994, eight years after the initial survey done by Frey et al. (1987a and b). A survey transect (4 km long) was established with 41 stations having an equi-interval of 100 m. Macrofaunas were sampled in July 1994. R-mode cluster analysis and ordination analysis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or DCA) were performed. The aims of the investigation were to: (1) observe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patterns, including zonation of benthic macrofaunal communities in the area; and (2) gain information about faunal changes between two different periods. The primary feature of distribution was corresponded with Frey's zonation, and this was shaped by three level-specific species groups. Significant changes in dominant species were detected when compared with the faunal assemblages of 1986. The bivalve mollusk, Meretrix petechialis, seemed to have disappeared. Two newly arrived organic pollution indicator species, Theora fragilis and Capitella capitata, were regarded as impregnable proof of response to eutrophication, although the concrete evidence on the eutrophication source was not found.

  • PDF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의 Elastase 활성과 DPPH, NO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retrix Pharmacopuncture Extracts on the Elastase Activity and DPPH and NO Scavenging Activities)

  • 임강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17-123
    • /
    • 2011
  • 목적 : 엘라스타제는 폐의 탄성 섬유를 파괴하여 폐기종과 폐고혈압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의 엘라스타제 억제효능과 항산화효능을 측정하여 폐기종과 폐고혈압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의 엘라스타제에 대한 억제효능과 di(phenyl)-(2,4,6-trinitrophenyl) iminoazanium (DPPH) 및 nitric oxide(NO)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결과 :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은 엘라스타제 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DPPH 및 NO 자유기 소거능이 있음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의 엘라스타제 억제효능과 항산화 효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시험관 내 실험 이외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폐기종과 폐고혈압 치료제로서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의 활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낙동강 삼각주 북부의 고환경 (The Paleoenvironment of the Northern Part of the Nagdong River Delta)

  • 오건환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42
    • /
    • 1994
  • The study area is filled up by alluvium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lower and upper beds by the facies of deposits and their degree of weathering. The lower bed is not of marine but of fluvial. The upper bed is mainly composed of clay and silt or fine sand beds col-ored dark or dark gray which are of neritic or brackish yielding mollusca fossils. The oyster(Crassostrea ariakensis) obstained from the depth of 3m below the present sea level in the upper bed was dated at 4,100 110Y.B.P. and the veneridae(Meretrix lamarck) 1m height above the present delta plain in the old sand bar was dated at 1,700 85Y,B,P. It is therfore concluded that the study area a small kern col of terrestri-al basin prior to postglacial age had experienced the Holocene transgression. Consequently the study area is considered to have been progressively formed under neritic or brackish circumstance before 1,700Y.B.P.

  • PDF

어류의 심방에 미치는 5-Hydroxytryptamine, Epinephrine , Norepinephrine 및 Acetylcholine의 영향(제 1 보) (The Effects of Hydroxytryptamine,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Acetylcholine on the Isolated Atria from Fishes (I)-On the Several Species of Fresh Water Fishes)

  • 위인선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8-52
    • /
    • 1964
  • 1. The auther studi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ensibility of heart of fishes to neuro-hormones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acetylcholinie) and 5-hydroxytryptamine and the differentiation of nervous system in the heart . Attempts were also made to develop the similarity and systematic relationship of inter-genus and inter-species. 2. Judging from the reactions to neurohormones, it is considered that inter-genus of locah (Misgurnus mizolepis GNTHER) and eel (Anguilla japonic TEMMINEK & SCHJEGEL) are more closely related than that of Crucian (Carassius carassius L. ). 3. As the sensibility of locach to 50 jhdroxytryptamine is more sensitive over 10, 000 times than that of a Mollusca, Meretrix lusoria RODING, it is very excellent material for the bioassay of 5-jydroxytryptamine.

  • PDF

Virus-cell Fusion Inhibitory Activity for the Polysaccharides from Various Korean Edible Clams

  • Woo, Eun-Rhan;Kim, Wan-Seok;Kim, Yeong-Sh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6호
    • /
    • pp.514-517
    • /
    • 2001
  • In order to find potent virus-cell fusion inhibitory components from Korean edible clams, thirteen prepared polysaccharides were introduced to syncytia formation inhibition assay, which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IV-1 envelope protein gp 120/41 and the cellular membutane protein CD4 of T lymphocytes. Among them, Meretrix petechialis showed a potent viruscell fusion inhibitory activity. Fusion index (F1) and percent (%) fusion inhibition of the polysaccharide of this clam were $0.21{\pm}0.02$, and $67.52{\pm}4.09$ at 100781m1, respectively. It exhibited almost equivalent virus-cell fusion inhibitory activity to that of dextran sulfate which was used as a standard control.

  • PDF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초기치패의 사육방법별 성장 및 생존 (Growth and Survival by the Breeding Method of Early Young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 김병학;조기채;지영주;변순규;김민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5-119
    • /
    • 2011
  •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0년 7월 13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하여 채란을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초기치패는 수정란으로 부터 3일간 유생사육 한 착저치패 (각장 $198{\pm}12{\mu}m$) 6,000만 마리를 사용하였고, 기간은 2010년 7월 16일부터 10월 4일까지 80일간 실험하였다. 사육방법은 모래상자식, 저면여과식, 가두리식, 바닥식으로 하였고, 수온별 사육실험은 수온을 25, 28, 31, $34^{\circ}C$로 하였다. 먹이생물 종류에 따른 초기치패의 사육실험은 Isochrysis galbana, Chaetoceros gracilis, Phaeodactylum tricornutum, Tetraselmis tetrathele를 단독으로 공급한 시험구와 4종을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구로 각각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 하였다. 초기치패의 사육방법별 시험 결과, 성장은 가두리 실험구가 각장 $2.64{\pm}0.59{\mu}m$로 가장 빨랐고, 모래상자 실험구가 각 장 $2.59{\pm}0.64{\mu}m$, 저면순환여과 실험구가 각장 $2.56{\pm}0.52{\mu}m$, 바닥 실험구가 각장 $2.52{\pm}0.56{\mu}m$ 순이었다. 생존율은 모래상자 실험구가 35.9%로 가장 높았고, 바닥 실험구 34.6%, 저면순환여과 실험구 29.5%, 가두리 실험구 9.3% 순으로 나타났다. 수온별 초기치패의 성장은 $34^{\circ}C$ 실험구가 각장 $2.70{\pm}0.76{\mu}m$로 가장 빨랐고 $31^{\circ}C$ 실험구 각장 $2.69{\pm}0.43{\mu}m$, $28^{\circ}C$ 실험구 각장 $2.66{\pm}0.39{\mu}m$, $25^{\circ}C$ 실험구 각장 $2.45{\pm}0.41{\mu}m$ 순으로 수온이 높을수록 빠른 성장을 나타내었다. 생존율은 수온 $31^{\circ}C$ 실험구가 38.2%로 가장 높았고, 수온 $28^{\circ}C$ 실험구 36.8%, 수온 $25^{\circ}C$ 실험구 24.7%, 수온 $34^{\circ}C$ 실험구 14.2% 순으로 나타났다. 먹이생물 공급에 따른 성장은 혼합공급 실험구가 각장 $2.52{\pm}0.66{\mu}m$로 가장 빨랐고 I. galbana 실험구 각장 $2.47{\pm}0.45{\mu}m$, C. gracilis 실험구 각장 $2.36{\pm}0.39{\mu}m$, T. tetrathele 실험구 각장 $2.32{\pm}0.76{\mu}m$, P. tricornutum 각장 $2.29{\pm}0.43{\mu}m$순이었다. 생존율은 혼합 실험구가 36.9%로 가장 높았고, I. galbana 실험구 32.4%, C. gracilis 실험구 28.5%, P. tricornutum 실험구 18.4%, T. tetrathele 16.2%순으로 나타났다.

대합(Meretrix lusoria)과 가무락(Cyclina sinensis)의 초기발생 및 성장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EARLY EMBRYONIC DEVELOPMENT AND GROWTH OF MERETRIX LUSORIA AND CYCLINA SINENSIS)

  • 최신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5-195
    • /
    • 1975
  • 1. 본 논문은 1969연부터 1974연에 이르기까지 인천 송도, 안면도, 부안 근해에서 채집한 대합 M. lusoria와 가무락 C. sinensis의 산란 유발, 초기 발생 및 유생 성장에 관한 연구를 한 것이다. 2. 대합은 4/100와 5/100N의 $NH_4OH$ 해수용액을 난소에 직벚 주사하여 $25.0\~33.3\%$ 산란유발이 가능했고, 가무락에서는 1/100, 1/180, 3/100 N의 $NH_4OH$의 해수 용액으로 $12.5\~19.0\%$의 산란 유발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무락의 경우는 반복온도 자극에 의해서 $40.0\%$까지 방란 및 방정 유발을 가능하게 했다. 3. 대합과 가무락에 있어서의 각각 $36.9\%$$39.3\%$였다. 4. 1/1000N $NH_4OH$, 해수용액에 의한 대합과 가무락의 초기 발생과정에서는 수정란 50분에 극체가 출현하고 5시간 40분이 경과되면 담륜자 유생으로 되고 2시간이 지나면 D형 피면자 유생이 됨을 관찰하였다. 5. 두 종의 유생을 사육한 결과 대합은 수정 후 1일이 지나면 평균 각장이 $10.9.5{\pm}0.7\mu$인 초기 D형기에, 11일 경과하면 $14.6{\pm}1.3\mu$ 인 각정기에, 20일이면 $208.0{\pm}0.0\mu$인 변태기에 달하였고, 가무락은 1일이 지나면 평균 각장이 $110{\mu}5{\pm}0.6\mu$인 초기 D형기에, 10일 이면 $141.8{\pm}1.7$인 각정기에, 20일이면 $235.0{\pm}0.0\mu$의 변태기에 달함을 관찰하였다. 6. 초기 D형으로부터 변태기까지의 각장(L)과 각고(H)의 상대성장 관계는 대합이 H=0.77L+6.82 이고, 가무락은 H=0.75L+8.50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PDF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유생과 초기치패의 영양강화제에 따른 성장 및 생존 (Growth and Survival on Enrichment of Larvae and Early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 김병학;조기채;지영주;변순규;김민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3-358
    • /
    • 2011
  • 본 연구는 백합 인공종묘생산 시 유생 및 치패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에 $B_{12}$, 키토산, PSB 및 다당류 등으로 영양 강화한 먹이생물을 공급하여 유생과 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0년 7월 23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하여 채란한 D형 유생 (각장 $89.7{\pm}6.4{\mu}m$) 과 착저 치패 (각장 $198{\pm}12{\mu}m$) 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70일간 시험하였다.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 에 $B_{12}$ 0.1 ppm, 키토산 0.2 ppm, PSB 3 ppm 및 다당류 1 ppm 으로 영양 강화하여 유생사육 시 매일 $3{\times}10^3-15{\times}10^3Cells/mL$를 공급하여 성장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생의 성장은 PSB 실험구 $199{\pm}0.59{\mu}m$, $B_{12}$ 실험구 $198{\pm}0.64{\mu}m$, 키토산 $197{\pm}0.52{\mu}m$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99.3%로 가장 높았고, $B_{12}$ 95.9%, 키토산 94.5%로 나타났다. 초기치패의 성장은 PSB 실험구가 $2.74{\pm}0.58mm$ 로 가장 높았고, 다당류 $2.67{\pm}0.55mm$, $B_{12}$ $2.54{\pm}0.48mm$, 키토산 $2.49{\pm}0.51mm$ 순이었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32.1%로 가장 높았고, $B_{12}$ 31.6%, 키토산 28.5%, 다당류 21.4% 순이었음. 이러한 결과 PSB의 경우 백합 초기치패 사육 시 저질 개선 효과가 있어 매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고, 특히 바닥식 초기치패 사육의 경우 원생동물과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차후에 다른 약품들과 다양한 부분에서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조개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관한 연구 IV. 백합(Meretrix lusoria)에서 검출되는 Himasthla kusasigi YAMAGUTI, 1939에 대하여 (Studios on a Trematode Parasitic in Bivalves IV. On the Metacercaria of Himasthla kusasigi YAMAGUTI, 1939(Trematoda) found in the clam, Meretrix lusoria Roding)

  • 김영길;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67
    • /
    • 1984
  • 서해안 내초도 및 부안돈지산 백합의 족부 근육내에서 Himasthla kusasigi의 피낭유충을 다량 검출하고, 충체의 형태와 기생률을 조사하였고, 검출된 피낭유충을 괭이갈매기에 먹여 10일, 25일후 충체를 분리함으로써 동흡충의 감염 경로를 규명하였다. 검출된 피낭유충의 크기는 $210{\sim}230{\times}220{\mu}m$, 탈낭된 유충은 $420{\times}160{\mu}m$이며, 두극은 좌우 우극을 포함하여 31본이다. 구흡반은 $52{\times}52{\mu}m$이고, 복흡반은 $112{\times}100{\mu}m$으로서 충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식도는 가늘고 길며, 장은 복흡반 상단에서 좌우로 분지되어 중체 후단에 까지 달한다. 내초도산 백합 448개중 441개, 부안산 123개중 118개가 감염되어 각각 $98.43\%,\;95.93\%$의 감염률을 나타낸 반면에 서산산은 동흡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조개의 크기가 클수록 기생충수가 많았고, 최고 99개(각장 6.64cm), 최저 1개(각장 2.05cm)이었다. 조개에서 얻은 피낭유충 120개를 괭이갈매기에 먹여25일후 102개의 성충을 장에서 분리하였다. 이 성충은 크기가 $4.8{\sim}7.5{\times}0.22{\sim}0.24mm$이었고, 구흡반은 $68{\sim}120{\times}70{\sim}120{\mu}m$, 인두는 $80{\times}50{\mu}m$, 복흡반 $630{\sim}680{\times}610{\sim}680{\mu}m$, 두관부는 $48{\sim}75{\times}10{\mu}m$의 두극 31개가 배열되어 있다. 충난은 $92{\sim}95{\times}58{\sim}60{\mu}m$의 크기이다. H. kusasigi의 제이중간숙주는 백합이며 종숙주는 괭이갈매기 및 삑삑도요새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