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Retardation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5초

정신지체환자에서 발생한 Streptococcus constellatus와 혐기성 균에 의한 거대 농흉 1예 (A Case of Massive Empyema Caused by Streptococcus constellatus and Anaerobic Bacteria for Mental Retardation)

  • 김경현;김세현;허정원;이상훈;한선숙;이승준;김우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6호
    • /
    • pp.476-479
    • /
    • 2011
  • The Streptococcus milleri group, which also includes S. anginosus, S. intermedius and S. constellatus, is found in the oropharynx, upper respiratory tract, gastrointestinal tract, and urogenital tract mucosa. Bacteria in the Streptococcus milleri group are associated with bacteremia and abscess formation. Most of the reports of of Streptococcus milleri group (SMG) infection occur in patients with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Predisposing factor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S. milleri group empyema include mucosal disturbances (sinusitis, periodontal disease, enteric disease), preceding to pneumonia, thoracic surgery, malignancy, neurological disease, alcohol abuse, and also diabetes mellitus. We report on a 42-year-old man with mental retardation. He who suffered from dyspnea and a fever that he had developed for over 14 days. S. constellatus and anaerobic bacterias (Prevotella buccae and Micromonas micros) were culture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the drainage of pleural effusion and clindamycin and levofloxacin.

정신지체 및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 다양한 치료방법의 사용실태 (Use of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Mental Retardation)

  • 김경민;최인철;이석범;이경규;백기청;이정엽;임명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2호
    • /
    • pp.73-81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of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including pharmacotherapy, educational-behavioral therapy, and complementary alternative treatment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MR) or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 Korea. Methods : The sample consisted of 50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MR (N=28) or ASD (N=22) : 38 boys, 12 girls ; mean age 14.06 (4.14) years old.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experienced modality, duration, cost, satisfaction, etc.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56.0%, 100.0%, and 36.0% of children with MR or ASD have experienced pharmacological treatment, educational-behavioral therapy and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CAM), respectively. Children who experienced educational-behavioral therapy and CAM experienced 3.52 kinds of education-behavioral therapy and 2.78 kinds of CAM, respectively. Monthly cost of pharmacological treatment was lowest among three modality categories. Regarding treatment satisfaction by parental report, the lowest score was recorded for CAM. Conclusion : Parents who have a child with MR or ASD are trying many treatment modalities and feeling the burden of their treatment.

지적장애 아동의 균형과 호흡 기능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치료: 개별 실험 연구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and Breath Abilities for Mental Retardation by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Single Subject Research)

  • 김경미;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44
    • /
    • 2011
  • 목적 : 감각통합치료는 개별아동에 맞는 감각의 기회를 제공하고, 적절한 도전의 과제를 제공하여 적응반응을 이끌어 내는 아동 중심의 접근법이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에게 적합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아동의 균형과 호흡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5세 3개월의 남아로 지적장애 진단을 받았다. 실험기간은 2009년 5월 25일부터 2009년 8월 13일까지이었다. 실험설계는 개별실험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A(감각통합치료) 3회기와 중재 B(감각통합치료, 감각식이) 21회기이었다. 실험기간 동안 아동의 문제점인 균형과 호흡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첫째,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호흡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지적장애아동의 균형과 호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적용,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정신지체장애환자에서 Computer-Guided Surgery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및 즉시 보철물 장착: 증례보고 (Immediately loaded dental implants with fixed prostheses using a computer-guided surgery in a mental retardation patient: a case report)

  • 한세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3호
    • /
    • pp.246-252
    • /
    • 2014
  • 통상적인 임플란트 치료는 식립 후 약 3 - 5개월 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을 제작한다. 이러한 치료과정의 단점으로는 환자가 임플란트 식립 후 보철물이 장착되는 최종 치료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유지력과 저작능력이 떨어지는 임시의 치를 사용하여 생활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의 임플란트 식립 후 즉시 부하 보철물 치료는 시술 적응증에 따른 제한이 있긴 하지만, 잦은 치과 방문이 어렵고 진료에 대한 협조도가 낮은 정신적, 신체적 장애 환자들에게 더욱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본 증례에서는 삼차원 컴퓨터 유도 수술법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후 즉시 부하 보철치료를 정신지체장애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시술 후 좋은 경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SGS)을 동반한 Cockayne 증후군 1례 (A Case of Cockayne Syndrome with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신혜경;김건하;임형은;홍영숙;이주원;원남희;유기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1호
    • /
    • pp.100-105
    • /
    • 2007
  • Cockayne 증후군은 지능저하와 발육부전을 특징으로 하며 피부의 광과민성, 색소성의 망막증, 백내장, 신경전도성 귀머거리 외에 다기관 이상을 동반하는 드문 질환이다. 신장학적 이상 소견 또한 드물지 않게 동반되는 합병증 중 하나이며 병리학적으로 사구체의 유리질화, 세뇨관의 위축 및 간질 내 섬유화가 관찰될 수 있다. 저자들은 7세된 남아에서 Cockayne 증후군의 특징적인 외모와 임상양상을 확인하고 동반된 국소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을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경피적 내시경적 위루술을 이용한 병적 공기 연하증 치료 경험 1례 (A Case of Pathologic Aerophagia with Mental Retardation Managed by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 이은주;송애령;최은진;황진복;오희종;이영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93-97
    • /
    • 2000
  • 저자들은 정신 지체를 가진 병적 공기 연하증환자를 임상 증상과 단순 흉부 X-선 사진상의 '식도 내 공기 징후'와 투시진단법으로 진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며, 본 증례와 같이 장기적으로 호전을 보이지 않는 공기 연하증 환자에서 조기에 PEG를 시행하여 공기를 빼내는 도구로 이용하면,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윌름즈 종양, 무홍체증, 비뇨생식기계 기형, 정신지체 (WAGR) 증후군 : 양측성 윌름즈 종양을 성공적으로 치료한 국내 첫 증례 보고 (Wilms' tumor, aniridia, genitourinary anomalies, and mental retardation (WAGR) syndrome: Successful treatment of the first case with bilateral Wilms' tumors in Korea)

  • 민경선;백희조;한동균;유주희;황태주;권동득;국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55-1358
    • /
    • 2008
  • WAGR 증후군은 윌름즈 종양, 무홍채증, 비뇨 생식기계 기형, 정신지체 증상을 동반하는 증후군이다. 이는 윌름즈 종양 유전자인 WT1와 무홍채증 유전자 PAX6를 포함하는 11번 염색체 단완의 13째 부분의 결실에 의해 유발된다. 이에 저자들은 태어나서부터 양측성 무홍채증을 가졌고 복부팽만과 정신지체를 주소로 내원한 2세 여아에서 염색체 검사에서 11p11.2-13의 결실을 보인 국내 최초의 WAGR 증후군을 보고하는 바이다. 양측성 윌름즈 종양은 항암제와 수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고, 환아는 항암치료 종료 후 19개월째 정상적인 신기능을 보이며 생존하고 있다.

단독성 고메티오닌혈증 환아들의 임상적 특성과 유전자 분석 (Clinical Findings and Genetic Analysis of Isolated Hypermethioninemia Patients in Korea)

  • 유상수;이민희;이정호;이동환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8-103
    • /
    • 2013
  • Purpose: MAT-I/III deficiency by MAT1A gene mutation causes isolated hypermethioninemia, which is considered to be a clinically benign disease. But in some patients,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delay, myelination disorder may be show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isolated hypermethioninemia. Methods: Clinical, biochemical and genetic analysis were done to 10 patients with isolated hypermethioninemia who were referred to department of pediatrics,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999 to March 2012. Results: At first visit, all patients' mean plasma methionine level was 5.5 mg/dL (2.1-14.6) and there were no increase of amino acid levels including homocystine in all patients.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evaluated in seven patients who visited after year 2003, and ranged from 4.96 to $11.15{\mu}mol/L$ (normal < $25{\mu}mol/L$). Methionine restricted diet was started to all patients. Nine patients who managed regularly showed normal development, but one patient whose initial plasma methionine level was 14.6 mg/dL showed language delay at 1 year of age and was diagnosed as mild mental retardation (IQ=66) at 6 years of age. Genetic analysis was done to eight patients, R264H mutation was identified in seven patients. Also, both R299C and R356Q mutation were identified in one patient. Conclusion: Clinical findings in patients with isolated hypermethioninemia were generally good, but one patient showed mental retardation and language difficulty. R264H mutation which usually inherits as an autosomal dominant trait was most frequently found in our patients, and R299C/R356Q mutation were also identified.

  • PDF

다운증후군의 Dyrk1A 의존적 뇌기능저하의 치료: 인간 Dyrk1A 특이적 shRNA 발굴 (Treatment of Dyrk1A-dependent Mental Retardation of Down Syndrome: Isolation of Human Dyrk1A-specific shRNA)

  • 정민수;김연수;김주현;김정훈;정설희;송우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7-321
    • /
    • 2009
  • 다운증후군은 추가적으로 존재하는 인간염색체 21번에 위치한 유전자의 과발현으로 발병한다. 다운증후군 환자에서 보이는 여러 증상들 중 학습과 기억능력 저하와 같은 뇌기능 저하는 다운증후군 환자가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인간염색체 21번에 위치하는 Dyrk1A는 신경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Dyrk1A를 과발현 하는 형질전환 생쥐에서 심각한 해마 의존적 학습과 기억 장애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Dyrk1A를 과발현 하는 형질전환 생쥐와 RNA interference (RNAi) 방법을 이용하여 endogenous mouse Dyrk1A의 발현은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 exogenous human Dyrk1A 발현은 특이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인간 Dyrk1A 과발현에 의한 학습과 기억 능력저하를 회복시킬 수 있는지 동물모델에서 검증하기 위한 첫 단계로 인간 Dyrk1A 특이적 lentiviral short hairpin RNA (shRNA)를 발굴하였다. 발굴된 shRNA를 이용한 형질전환 모델생쥐에서의 증상의 회복 가능성 검증은 다운증후군의 뇌기능저하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